Close

남복관풍[南服觀風]~남북겸취[南北縑毳]~남북순타[南北順橢]


남복[南服]  복(服)은 서울 밖 500리 되는 지역을 뜻한다.

남복관풍[南服觀風]  복(服)은 도성 밖 5백 리 되는 지역으로, 남복은 영남(嶺南)을 뜻하며, 관풍은 ‘관풍찰속(觀風察俗)’의 줄임말로 왕명을 받들어 지방을 순시하며 풍속과 기강을 살피는 관찰사를 이른다.

남봉[濫捧]  수량을 규정에 어긋나게 함부로 더 받음. 과다하게 거두어들이다.

남부[南府]  산 너머 남쪽 도시.

남부여대[男負女戴]  남자(男子)는 짐을 등에 지고, 여자(女子)는 짐을 머리에 인다는 뜻으로, 가난한 사람이나 재난(災難)을 당(當)한 사람들이 살 곳을 찾아 이리저리 떠돌아다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피난 행렬을 일컫는 말로도 쓰인다. 계옥지탄(桂玉之歎). 삼순구식(三旬九食).

남북거[南北居]  당나라 위응물의 하야억노숭(夏夜憶盧嵩)이라는 오언고시에 “고인이 남북으로 갈려 사는데, 몇 달 동안 소식을 들을 수 없네.[故人南北居 累月間徽音]”라는 말이 나온다. <韋蘇州集 卷6>

남북겸취 방조겸량[南北縑毳 方艚兼兩]  송서(宋書) 권94 은행전 서(恩倖傳序)에, 권세를 좇아 뇌물을 보내는 사람들의 모습을 형용하여 “남방의 황금과 북방의 모피를 모두 배로 실어 나르고, 백색 비단과 진귀한 호박(琥珀)을 모두 수레에 실어 보낸다.[南金北毳 來悉方艚 素縑丹魄 至皆兼兩]”라고 한 내용이 보인다.

남북국자감[南北國子監]  국자감(國子監)이라 함은 공・경・대부(公卿大夫)의 자제들을 모아 교육하는, 즉 국립대학이다. 진 무제(晉武帝) 때에 국자학(國子學)을 설치하였는데 그 뒤 수대(隋代)에 국자감으로 고쳤고 당 나라 때에는 남・북 두 곳에 국자감을 두었다. 그 학장으로서 국자좨주(國子祭酒)를 두었고 주로 십삼경(十三經)을 교수하였다. <隋書 百官志, 唐書 百官志・選擧志>

남북군[南北軍]  한(漢)나라 때에 경사(京師)에 주둔한 금위군(禁衛軍)인 남군(南軍)과 북군(北軍)의 통칭으로, 남군(南軍)은 천자(天子)의 정궁(正宮)인 미앙궁(未央宮)을 숙위하였는데 위위(衛尉)가 통솔하였고, 북군(北軍)은 황후가 거처하고 있는 장악궁(長樂宮)을 숙위하였는데 중위(中尉)가 통솔하였으나 문제(文帝) 때에 통합되어 하나가 되었다.

남북사[南北司]  당나라 때 황궁 북쪽에 위치한 환관(宦官)들의 집무소, 즉 내시청(內侍廳)을 가리켜 북사(北司)라 하고, 남쪽에 있었던 재상들의 집무소는 남사(南司)라고 하였다.

남북순타[南北順橢]  남북이 타원형이다. 굴원(屈原)의 초사(楚辭) 중 천문(天問)에 “남북은 타원형인데 그 넓이는 얼마나 되는가? 곤륜과 현포는 그 위치가 어디인가?[南北順橢 其衍幾何 崑崙縣圃 其尻安在]”라고 하였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