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내번[內藩]~내범[內範]~내보지이외불탕야[內保之 而外不蕩也]


내반원[內班院]  내반원(內班院)은 조선조 때 궁중내시(宮中內侍)의 일을 맡아보던 관청으로 내시부(內侍府)를 가리킨다.

내반전두[內班殿頭]  내반(內班)은 내시부(內侍府)의 별칭이고, 전두(殿頭)는 내시(內侍)를 가리킨다.

내백[內帛]  내탕고(內帑庫)에서 나온 비단이다.

내번[內藩]  천자의 도읍(都邑)과 가까운 거리에 있는 조정에서 직접 관할하여 다스리는 제후국(諸侯國)이이다. 외번(外藩)은 이와 반대이다.

내범[內範]  순암(順菴) 안정복(安鼎福)이 1741년(영조17) 30세 때에 지은 책으로, 아녀자가 집안에서 지켜야 할 예법을 기록한 책이다. 안정복은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문인으로, 본관은 광주(廣州), 자는 백순(百順), 호는 순암・상헌(橡軒)이다. 목천 현감(木川縣監), 익위사 익찬(翊衛司翊贊) 등의 관직을 지냈다. 문집 순암집(順菴集)이 있다.

내병조[內兵曹]  궁중에 있는 병조의 분관(分館)으로, 궁중에서 시위(侍衛)・의장(儀仗)에 관한 일을 관장하였다.

내병조첨지[內兵曹僉知]  병조에 속한 관청으로, 궁중에서 시위(侍衛)・의장(儀仗)에 관한 일을 관장했다.

내보지이외불탕야[內保之 而外不蕩也]  안에서 잘 보전되고, 밖으로 파동(波動)하지 않음을 이른다. 탕(蕩)은 움직인다는 뜻이다. 장자(莊子) 제5편 덕충부(德充符)에 “평평한 것으로는 정지하고 있는 물이 가장 성대하다. 그것이 기준이 될 수 있으니, 안에서 잘 보전되고, 밖으로 파동(波動)하지 않기 때문이다. 덕이란 완전한 평정을 닦은 것이다. 덕이 밖으로 드러나지 않는 사람은 다른 사람들이 떠날 수 없다.[平者, 水停之盛也. 其可以爲法也, 內保之而外不蕩也. 德者, 成和之修也. 德不形者, 物不能離也.]”라고 한 데서 보인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