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노생지몽[盧生之夢]~노서[鷺序]~노서[澇暑]~노서소미[老鼠燒尾]


노생지몽[盧生之夢]  노생(盧生)의 꿈. 한때의 헛된 부귀영화(富貴榮華). 인생(人生)의 영고성쇠(榮枯盛衰)는 한바탕 꿈처럼 덧없음을 이른다. 중국 당나라 때 노생이 한단으로 가는 길에 주막에서 도사 여옹을 만나 그 베개를 빌어 베고 자면서 일생의 영화를 꿈꾸었다는 데에서 나온 말로, 세상의 부귀영화가 덧없음을 비유하는 말이다. 노생은 당나라 때 인물인데, 여옹이란 도사를 만나 인생의 고통에 대해 푸념을 늘어놓았다. 그러자 여옹은 도자기 베개 하나를 주며 잠을 권하였고, 잠이 든 노생은 베개에 뚫린 구멍 속으로 들어가 과거에 급제하고 예쁜 여성과 혼인도 하며 재상에도 올랐다가 다시 좌절을 맞보고 결국 여든 나이에 죽고 말았다. 그러나 이 모든 것이 꿈이었음을 깨닫고는 인생의 고통과 부귀에 대한 집착을 모두 버리고 참된 삶을 살았다 한다.

노생지몽[盧生之夢]  인생과 영화(榮華)의 덧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심기제(沈旣濟)의 침중기(枕中記)에 나오는, 노생(盧生)이 한단(邯鄲) 땅에서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서 잠을 자며 80년간의 영화로운 꿈을 꾸었는데, 깨고 보니 여옹이 누른 조밥을 짓는 사이였다는 고사에서 유래한 말이다. 당나라 현종 때, 도사 여옹(呂翁)이 한단의 한 주막에서 쉬고 있는데 행색이 초라한 젊은이가 옆에 와 앉더니 산동에서 사는 노생(盧生)이라며 신세 한탄을 하고는 졸기 시작하였다. 여옹이 보따리 속에서 양쪽에 구멍이 뚫린 도자기 베개를 꺼내 주자 노생은 그것을 베고 잠이 들었다. 노생이 꿈속에서 점점 커지는 그 베개의 구멍 속으로 들어가 보니 고래등 같은 기와집이 있었다. 노생은 최씨 집안의 딸과 결혼하고 과거에 급제한 뒤 벼슬길에 나아가 순조롭게 승진했다. 경조윤(京兆尹)을 거쳐 어사대부 겸 이부시랑에 올랐으나 재상이 투기하는 바람에 단주자사로 좌천되었다. 3년 후 호부상서로 조정에 복귀한 지 얼마 안 되어 마침내 재상이 되었다. 그 후 10년간 노생은 황제를 잘 보필하여 태평성대를 이룩한 명재상으로 이름이 높았으나 어느 날, 갑자기 역적으로 몰렸다. 변방의 장군과 모반을 꾀했다는 것이다. 노생은 포박 당하는 자리에서 탄식하며 “내 고향 산동에서 땅뙈기나 부쳐먹고 살았더라면 이런 억울한 누명은 쓰지 않았을 텐데, 무엇 때문에 애써 벼슬길에 나갔는지 모르겠다. 그 옛날 누더기를 걸치고 한단의 거리를 걷던 때가 그립구나. 하지만 이제 와서 후회한들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라 하고는 그는 칼을 들어 자결하려 했지만 아내와 아들이 말리는 바람에 미수에 그쳤다. 노생과 함께 잡힌 사람들은 모두 처형당했으나 그는 환관이 힘써 준 덕분에 사형을 면하고 변방으로 유배되었다. 수년 후 원죄임이 밝혀지자 황제는 노생을 소환하여 중서령을 제수한 뒤 연국공(燕國公)에 책봉하고 많은 은총을 내렸다. 그 후 노생은 모두 권문세가와 혼인하고 고관이 된 다섯 아들과 열 손자를 거느리고 행복한 만년을 보내다가 황제의 어의가 지켜보는 가운데 80년의 생애를 마쳤다. 노생이 깨어 보니 꿈이었다. 옆에는 여전히 여옹이 앉아 있었고 주막집 주인이 짓고 있는 기장밥도 아직 다 되지 않았다. 노생을 바라보고 있던 여옹이 웃으며 “인생이란 다 그런 것이라네.”라고 하였다. 노생은 여옹에게 공손히 작별 인사를 고하고 한단을 떠났다. 한단지침(邯鄲之枕), 한단몽침(邯鄲夢枕), 노생지몽(盧生之夢), 일취지몽(一炊之夢), 영고일취(榮枯一炊), 황량지몽(黃粱之夢).

노서[鷺序]  노서는 백로(白鷺)가 나는데 차서가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벼슬아치[조관朝官]의 반차(班次)를 가리킨다.

노서[魯書]  서경(書經) 주서(周書)의 비서편(費誓篇)을 이른다.

노서[澇暑]  장마와 더위를 이른다.

노서소미[老鼠燒尾]  늙은 쥐가 꼬리를 태움. 재능(才能)이 없으면서 과거(科擧)에 급제(及第)함을 비유(比喩)해 이르는 말이다. 송(宋)나라 손광헌(孫光憲)의 북몽쇄언(北夢瑣言)에 보인다. 중국 당(唐)나라의 우문굉(宇文翃)이 그의 딸을 두번(竇璠)에게 시집보내어 그 덕택으로 상과(上科)에 급제하였음을 상국(相國)인 위열(韋說)이 “물고기가 장차 용이 되기 위해 천둥번개로 꼬리를 사른다고 하더니, 근래에 늙은 쥐 역시 그 꼬리를 태우는 일이 있었다.[魚將化龍, 雷爲燒尾, 近日老鼠亦有燒尾之事.]”라고 기롱한 데서 유래하였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