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노전분하[爐田分下]~노전왕후[盧前王後]~노정도[露井桃]


노전분하[爐田分下]  그 당시 현장에 있는 사람에게만 나누어 주는 것을 말한다.

노전왕후[盧前王後]  문재(文才)의 우열을 말한 것으로, 초당(初唐) 때, 똑같이 문장으로 명성이 비등하던 왕발(王勃)・양형(楊炯)・노조린(盧照鄰)・낙빈왕(駱賓王)을 천하에서 ‘왕・양・노・낙’으로 칭해서 ‘사걸(四傑)’이라 부른 데 대하여 양형이 일찍이 말하기를 “나는 노조린의 앞에 있기는 미안하고, 왕발의 뒤에 있기는 수치스럽다.[吾愧在盧前, 耻居王後.]”고 한 데서 온 말이다. <唐書 卷二百一>

노전왕후[盧前王後]  초당(初唐) 시대 문장으로 천하에 명성을 나란히 한 왕발(王勃), 양형(楊炯), 노조린(盧照鄰), 낙빈왕(駱賓王)을 당시에 사걸(四傑)이라 호칭했는데, 양형이 여기에 대해서 말하기를 “나는 노조린의 앞에 있기는 송구스럽고, 왕발의 뒤에 있기는 수치스럽다.[吾愧在盧前 恥居王後]”고 했던 데서 온 말로, 전하여 문장이 뛰어남을 뜻한다.

노전원이[魯錢猿耳]  이덕무(李德懋)의 윤회매십전(輪回梅十箋) 오지화(五之花)에 꽃잎 5개가 말려 있고 꽃술이 나와 있지 않은 매화를 ‘옛 노전[古魯錢]’이라 하고, 꽃잎 3개는 떨어지고 남은 2개도 떨어지려 하나 꽃술만은 싱싱한 매화를 원이(猿耳)라고 한다고 하였다. 노포(魯褒)가 전신론(錢神論)을 지었기 때문에 돈을 일러 노전(魯錢)이라 한다.

노점[癆漸]  허로(虛勞), 허로증(虛勞症)이라고도 한다. 폐결핵처럼 몸이 수척해지면서 쇠약해지는 증상을 말한다.

노정[勞亭]  노로정(勞勞亭)을 말한다. 중국 남경시 남쪽에 있는 정자로, 사람들이 송별하던 곳이었다. 이에 의거해서 일반적으로 송별하는 곳을 노정이라고 칭한다.

노정[老鄭]  당(唐)나라 시인 정곡(鄭谷)을 가리킨다.

노정[盧貞]  당대(唐代)의 시인으로 자는 자몽(子蒙)이다. 생몰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지만 전당시(全唐詩)에 그에 관한 소전과 시 2수가 실려 있다.

노정[露井]  덮개를 씌우지 않은 우물. 지붕이 없는 우물.

노정공[魯定公]  정공(定公)은 이름이 송(宋)으로 노(魯)나라 25대 군주인데, 소공(昭公)의 서제(庶弟)로 뒤를 이어 군주의 지위에 올랐는바, 정공(定公)은 그의 시호이다.

노정도[露井桃]  우물가에 피어 있는 복사꽃을 의미한다. 송서(宋書) 악지(樂志) 계명고사(鷄鳴古詞)에 ‘복사꽃이 우물가에 피었다.[桃生露井]’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때 노정(露井)이란 덮개가 없는 우물을 뜻한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