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다문[多門]~다문궐의[多聞闕疑]~다문다독다상량[多聞多讀多商量]


다문[多聞]  과문(寡聞)의 반대말. 보고 들은 것이 많아 문견(聞見)이 풍부함. 또는 그런 사람.

다문[多門]  구실이 아주 많은 것을 가리킨다.

다문[多門]  명령을 내리는 곳이 많다. 門은 將門(장문), 즉 장수의 문하를 가리킨다.

다문견궐태의[多聞見闕殆疑]  자장(子張)이 봉록(俸祿)을 구하는 것을 배우려 하자, 공자(孔子)가 이르기를 “많이 들어서 의심나는 것은 빼버리고 그 나머지를 신중히 말하면 허물이 적을 것이며, 많이 보아서 위태로운 것은 빼버리고 그 나머지를 신중히 행하면 뉘우침이 적을 것이니, 말에 허물이 적고 행실에 뉘우침이 적으면 봉록이 그 가운데 있느니라.[多聞厥疑 愼言其餘則寡尤 多見闕殆 愼行其餘則寡悔 言寡尤 行寡悔 祿在其中矣]”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論語 爲政>

다문궐의[多聞闕疑]  많이 듣되 의아한 점에 대해서는 잠시 보류해 두고 자기 멋대로 억측하지 말라는 말이다. 논어(論語) 위정(爲政)에, 벼슬해서 출세하는 방법을 묻는 자장(子張)의 질문에 대해 “많이 듣되 의심스러운 것은 빼놓고 그 나머지만을 신중히 말하면 허물이 적어질 것이다. 많이 보되 확실하지 않은 것은 빼놓고 그 나머지만을 신중히 행하면 후회하는 일이 적을 것이다.[多聞闕疑 愼言其餘則寡尤 多見闕殆 愼行其餘則寡悔]”라는 공자의 말이 나온다.

다문다독[多聞多讀]  많이 듣고, 많이 읽음. 중국의 구양수(歐陽修)가 글을 잘 짓는 비결로써 든 것이다.

다문다독다상량[多聞多讀多商量]  많이 듣고, 많이 읽으며, 많이 생각한다는 뜻으로, 중국(中國)의 구양수(歐陽脩)가 글을 잘 짓는 비결(秘訣)로서 이른 말이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