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다문어과[多問於寡]~다문위부[多文爲富]~다문택선[多聞擇善]


다문박식[多聞博識]  많이 듣고 넓게 공부함. 견문이 넓고 학식(學識)이 많음을 말한다.

다문어과[多問於寡]  안연(顔淵)과 같은 학문 자세를 말한다. 논어(論語) 태백(泰伯)에 “증자가 말씀하기를, 능하면서 능하지 못한 이에게 물으며, 학식이 많으면서 적은 이에게 물으며, 있어도 없는 것처럼 여기고, 가득해도 빈 것처럼 여기며, 자신에게 잘못을 범하여도 계교하지 않는 것을, 옛적에 내 벗이 일찍이 이 일에 종사하였었다.[曾子曰: 以能問於不能, 以多問於寡, 有若無, 實若虛, 犯而不校, 昔者, 吾友嘗從事於斯矣.]”라고 하였는데 이는 공자(孔子)의 수제자인 안연(顔淵)의 겸허한 덕성(德性)을 일컬은 것이라 한다. <論語 泰伯>

다문위부[多文爲富]  유자의 특징에 대한 공자의 대답 중에 “재물을 많이 쌓으려 하지 않고 문장과 기예를 많이 배움을 부유함으로 여긴다.[不祈多積, 多文以爲富.]”라고 한 말을 원용한 표현이다. <禮記 儒行>

다문천[多聞天]  비사문천왕(毗沙門天王 : 毘沙門天王). 사람들에게 많은 재물을 베풀어서 시재천(施財天)이라고도 부른다.

다문택선[多聞擇善]  논어(論語) 술이(述而)에 “알지 못하면서 함부로 행하는 짓을 나는 하지 않는다. 많이 듣고서 좋은 점을 가려 따르며, 많이 보고서 기억한다면, 원래부터 아는 자의 버금은 갈 것이다.[蓋有不知而作之者 我無是也 多聞 擇其善者而從之 多見而識之 知之次也]”라는 공자의 말이 실려 있다.

다문호[多門戶]  각양각색. 형형색색. 천태만상. 고대에 군에서 사용하던 군진 중 오화진(五花陣)과 팔문진(八門陣)을 가리켰으나 나중에 변화를 예측할 수 없을 만큼 여러 가지를 뜻하는 말로 쓰였다.

다물장왕[多物將往]  많은 사람들이 갈 것임. 물(物)은 사람. 왕(往) 은 몰려간다는 뜻. 곧 자기를 팔려는 많은 사람들이 광분(狂奔)하듯이 몰려간다는 뜻이다. 장자(莊子) 제12편 천지(天地)에 “당신이 말한 대로 한다면 노나라 임금이 스스로 머물 곳을 만들어서 현자(賢者)를 모으기 위해 사람들 눈에 띄는 조망대를 높이 쌓는 것이 될 것이니 많은 사람들이 광분(狂奔)하듯 몰려들어 현지(賢知)의 행동을 흉내 내다가 도리어 자기 존재의 근거를 잃는 사람이 많아질 것이다.[且若是 則其自爲處 危其觀臺 多物將往 投迹者衆]”라고 한 데서 보인다.

다미[茶䕷]  향기로운 음료.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