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엄하기가 어려운 것이 아니라 미워하지 않기가 어렵다 <채근담/소창유기>


소인을 대함에

엄하게 하기가 어려운 것이 아니라

미워하지 않기가 어려우며

군자를 대함에

공손히 하기가 어려운 것이 아니라

예의를 바르게 하기가 어렵다.


待小人不難於嚴,  而難於不惡.
대소인불난어엄,  이난어불오.
待君子不難於恭,  而難於有禮.
대군자불난어공,  이난어유례.

<菜根譚채근담/明刻本명각본(萬曆本만력본)/前集전집>
<醉古堂劍掃취고당검소/小窓幽記소창유기>


  • 소인[小人]  군자(君子)의 반대어로 신분이 낮은 자. 도량(度量)이 좁고, 덕이 없으며. 간사(奸邪)한 사람. 무식(無識)하고 천(賤)한 사람. 나이가 어린 사람. 키나 몸집이 작은 사람. 귀한 윗사람에 대한 자기의 겸칭(謙稱). 신분이 낮은 사람이 자기보다 신분이 높은 사람을 상대하여 자기를 낮추어 이르던 일인칭 대명사. 참고로, 대학장구(大學章句) 전6장에 “소인은 한가로이 있으면 선하지 못한 일을 한다.[小人閒居爲不善]”라고 하였다.
  • 군자[君子]  교양과 덕망을 아울러 갖춘 사람. 유학에서 제시하는 이상적인 인간상. 학식이 높고 행실이 어진 사람. 학식과 덕망이 높은 사람. 높은 관직에 있는 사람. 마음이 착하고 무던한 사람. 원래 봉건사회에서 다음 왕이 될 태자(太子)를 의미하는 말이었으나 후대로 내려오면서 일반적으로 학식과 덕망을 갖춘 학자나 현인을 의미하게 되었다. 군자는 도덕을 겸비한 지배권의 사람이고, 그와 반대로 소인(小人)은 사회신분이나 도덕적 측면이 저급한 사람이다. 참고로, 국어(國語) 노어(魯語) 상편(上篇)는 “군자는 다스리기에 힘쓰고 소인은 노동에 힘쓴다.(君子務治 小人務力)”라는 조귀(曹劌)의 말이 기록되어 있다.
  • 군자[君子]  무사(舞師), 즉 의례에서 춤을 담당하는 관리를 이른다. 부인이 남편을 부르는 호칭으로도 쓴다.
  • 대소인[待小人]  소인을 대함. 참고로, 명나라 이천(李梴)이 지은 의학입문(醫學入門) 잡치부(雜治賦)에 이르기를 “사기(邪氣)를 없애는 것은 도적을 쫓는 것과 같으니, 괴수는 섬멸하되 협종(脅從)은 용서해야 한다. 정기(正氣)를 기르는 것은 소인(小人)을 대하는 것과 같으니, 자기를 바르게 하고 지나치게 따지지 말아야 한다.[祛邪猶追寇盜 殲魁而恕脅從 養正若待小人 正己而無過察]”라고 하였다.
  • 불오[不惡]  싫어하지 않음. 장자(莊子) 산목(山木)에 “짐승들 속에 들어가면 짐승들 무리가 놀라 어지러워지지 않고 새들 속에 들어가면 새들 행렬이 놀라 어지러워지지 않는다. 새와 짐승도 싫어하지 않는데 하물며 사람이야 말할 나위 있겠는가.[入獸不亂群 入鳥不亂行 鳥獸不惡 而況人乎]”라고 하였다.

【譯文】  不惡小人,  禮待君子.
對待品德不端的人困難不在於嚴厲,  而是困難在於不憎惡  :  對待品德高尙的人困難不在於恭敬,  而是困難在於有禮貌.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