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春江花月夜춘강화월야 / 봄 강에 꽃 핀 달밤 / 張若虛장약허


春江潮水連海平[춘강조수연해평]   봄강은 밀물에 바다에 이어 평활하고

海上明月共潮生[해상명월공조생]   바다 위 밝은 달은 밀물과 함께 돋아

灩灩隨波千萬里[염염수파천만리]   넘실넘실 물결 따라 천리만리 흐르니

何處春江無月明[하처춘강무월명]   어느 곳 봄 강인들 달이 밝지 않으랴

江流宛轉繞芳甸[강류완전요방전]   강물은 굽이굽이 꽃 핀 들을 감아돌고

月照花林皆似霰[월조화림개사산]   달빛 비췬 꽃 숲은 싸라기눈 내린 듯

空裏流霜不覺飛[공리유상불각비]   허공에 흐르는 서리 나리는 줄 모르고

汀上白沙看不見[정상백사간불견]   모래톱 위 흰모래도 분간 할 수 없네

江天一色無纖塵[강천일색무섬진]   강과 하늘 한 빛깔로 잔 티끌도 없이

皎皎空中孤月輪[교교공중고월륜]   휘영청 밝은 허공에 외로운 달만 둥실

江畔何人初見月[강반하인초견월]   강가에서 누가 처음 저 달을 보았을까

江月何年初照人[강월하년초조인]   강의 달은 언제 처음 사람을 비췄을까

人生代代無窮已[인생대대무궁이]   인생은 대를 이어 그지없이 변해가나

江月年年只相似[강월년년지상사]   강달은 해가 가도 그 달이 그 달이라

不知江月待何人[부지강월대하인]   강에 뜬 저 달은 누굴 기다리는 건가

但見長江送流水[단견장강송류수]   보이는 건 긴 강이 보내는 흐르는 물

白雲一片去悠悠[백운일편거유유]   흰 구름 한 조각 하염없이 떠가는

靑楓浦上不勝愁[청풍포상불승수]   청풍포구에서 시름을 이길 수 없어라

誰家今夜扁舟子[수가금야편주자]   이 밤 조각배에 탄 이는 누구인가

何處相思明月樓[하처상사명월루]   님이 기다리는 명월루는 어디 있나

可憐樓上月徘徊[가련누상월배회]   가련해라 누각 위엔 달빛만 배회하다

應照離人妝鏡臺[응조이인장경대]   멀리 떨어진 님의 화장경대 비추리라

玉戶簾中卷不去[옥호렴중권불거]   달빛은 문의 주렴 걷어도 걷히지 않고

搗衣砧上拂還來[도의침상불환래]   다듬잇돌에 떨어도 다시 돌아오리라

此時相望不相聞[차시상망불상문]   같은 달을 보나 서로 들을 수 없으니

願逐月華流照君[원축월화류조군]   달빛 따라 흘러가 그대 비추었으면

鴻雁長飛光不度[홍안장비광부도]   기러기 떼 길게 날아 달빛 가리고

魚龍潛躍水成文[어룡잠약수성문]   물고기는 잠겼다 튀어 파문 이루네

昨夜閑潭夢落花[작야한담몽낙화]   고요한 연못에 꽃이 지던 지난밤 꿈

可憐春半不還家[가련춘반불환가]   가련타 봄 다 가도 집에 못 돌아가네

江水流春去欲盡[강수류춘거욕진]   강물은 봄을 모두 흘려보내려 하고

江潭落月復西斜[강담낙월부서사]   강담에 지는 달은 다시 서로 기우는데

斜月沈沈藏海霧[사월침침장해무]   기운 달 침침하니 바다안개에 가리고

碣石瀟湘無限路[갈석소상무한로]   갈석에서 소상까지 멀고 머나먼 길로

不知乘月幾人歸[부지승월기인귀]   달빛 밟아 고향에 돌아간 이 그 몇인가

落月搖情滿江樹[낙월요정만강수]   지는 달에 울컥함이 강의 나무를 뒤덮네

<春江花月夜춘강화월야 / 달밤 꽃 핀 봄 강에서 / 張若虛장약허>

※ 춘강화월야(春江花月夜)는 악부(樂府)의 제목으로 청상곡(淸商曲) 오성가(吳聲歌)에 속한다. 망국(亡國)의 풍류 천자였던 진(晉)의 후주(後主)가 맨 처음 만들었다고 한다.


  • 장약허[張若虛]  당나라 초당(初唐)의 시인. 강소성(江蘇省) 양주(揚州) 사람으로 생몰연대가 정확하지 않고 자호(字號)도 전하지 않는다. 연주병조(兗州兵曹)를 지냈다. 천보(天寶) 연간(年間)에 활약하였으며, 당시칠고(唐詩七古) 중의 걸작을 남겼다. 당 중종(唐中宗) 연간에 하지장(賀知章), 하조(賀朝), 만제융(萬齊融), 형거(邢巨), 포융(包融) 등과 함께 뛰어난 문재로 이름을 날렸으며, 하지장(賀知章), 장욱(張旭), 포융(包融)과 함께 오중사사(吳中四士: 오중사걸吳中四傑)로 불렸다. 작품은 대부분 실전되어 전당시(全唐詩)에 춘강화월야(春江花月夜)와 대답규몽환(代答閨夢還) 2수가 실려 있다. 춘강화월야(春江花月夜)는 36구로 되어 있으며, 청려(淸麗)하고 자연스러운 필치로 달빛이 비치는 봄 강의 경치를 묘사하며 외로움과 그리움을 표현하고 있는 아름다운 시이다.
  • 평활[平滑]  평활하다. 펀펀하고 미끄러움. 평평하고 미끄럽다. 매끈매끈하다.
  • 평활[平闊]  평활하다. 펀펀하고 넓음. 평평하고 널찍하다.
  • 조수[潮水]  해와 달, 특히 달의 인력에 의하여 주기적으로 바다 면의 높이가 높아졌다 낮아졌다 하는 현상. 또는 그 바닷물. 아침에 밀려들었다가 나가는 바닷물.
  • 염염[灩灩]  물결이 반짝거리다. 물결이 넘실거리다. 너울거리다. 일렁거리다. 찰랑거리다. 출렁거리다. 일다. 나부끼다. 나풀거리다. 일렁이다.
  • 완전[宛轉]  구불구불 굽은 모양. 강물이 빙 돌아 흐름. 군색(窘塞)한 데가 없이 순탄(順坦)하고 원활(圓滑)함. 선회하다. 구불구불하다. 굽이치다. 뒤척이다. 완곡하다. 은근하다.
  • 방전[芳甸]  향긋한 풀이 돋아 있는 들. 화초가 넘치는 교외. 전(甸)은 교외의 땅. 만개한 화초의 교외 들[開滿花草的郊野]. 꽃이 피어 있는 들판.
  • 유상[流霜]  공중에 흐르는 서리 기운. 싸늘한 밤의 공기.
  • 섬진[纖塵]  아주 자디잔 티끌. 가늘고 매우 잔 티끌. 가는 먼지. 작은 먼지. 미세한 먼지.
  • 교교[皎皎]  교교하다. 달빛이 환하게 밝은 모양. 달이 휘영청 밝음. 흰 빛깔이 깨끗함. 새하얗고 밝다. 깨끗하다. 청백(淸白). 결백한 모양. 분명한 모양.
  • 강반[江畔]  강가의 반듯하고 너른 땅. 강의 가장자리에 있는 좀 판판한 땅, 또는 강가.
  • 무궁[無窮]  끝이 없음. 공간(空間)이나 시간(時間) 따위의 끝이 없음.
  • 궁이[窮已]  다하여 그침. 다하다. 다 없어지다. 궁진(窮盡).
  • 단견[但見] 지견(只見). 근견(僅見). 단지 보이다. 오로지 보다. 겨우 보다.
  • 청풍[靑楓]  푸른 단풍
  • 청풍포[靑楓浦]  청풍포(靑楓浦)는 쌍풍포(雙楓浦)라고도 부른다. 호남성(湖南省) 유양현(瀏陽縣) 경내에 있다. 멀고 황량하고 외진 마을이다. 굴원(屈原)의 초사(楚辭) 초혼(招魂)에 “넘실거리는 강가에 단풍나무 있는데, 천 리 끝까지 바라보며 봄을 상심하네.[湛湛江水兮上有楓, 目極千里兮傷春心.]”라고 하였고, 강엄(江淹)의 별부(別賦)에 “봄풀은 푸른빛이요, 봄물은 파란 물결 넘실대는데, 남포에서 그대를 보내려니, 이 아픈 마음을 어찌할거나.[春草碧色, 春水綠波. 送君南浦, 傷如之何.]”라고 하였는데, 풍(楓)과 포(浦)는 모두 이별의 슬픔과 근심을 촉발시키는 단어들이다.
  • 유유[悠悠]  길고 오래다. 때가 오래다. 계속해서. 오랫동안. 장구하다. 유구하다. 무궁무진하다. 백거이(白居易)의 시 장한가(長恨歌)에 “생사가 갈린 지 몇 해이던가, 혼백마저 꿈 속에서 만날 수 없네.[悠悠生死別經年 魂魄不曾來入夢]”라고 하였고, 진자앙(陳子昻)의 시 등유주대가(登幽州臺歌)에 “천지의 유유함을 생각하자니, 홀로 슬픔에 겨워 눈물이 흐른다.[念天地之悠悠 獨愴然而涕下]”라고 하였다.
  • 유유[悠悠]  아득하여 끝이 없다. 끝이 없이 넓다. 아득히 멀다. 끝도 없이 이어지다. 요원하다. 유유하다. 심원(深遠)하다. 묘망(渺茫). 시경(詩經) 왕풍(王風) 서리(黍離)에 “나를 아는 사람은 마음속에 근심이 가득하다 하겠지만, 나를 모르는 사람은 뭘 하느냐고 물을 것이다. 아득히 높은 하늘이여 누가 나를 이렇게 만들었는가.[知我者謂我心憂, 不知我者謂何求, 悠悠蒼天, 此何人哉]”라고 하였다.
  • 수가[誰家]  누구네 집. 어떤 곳. 누구. 어떤 사람. 이백(李白)의 시 춘야낙성문적(春夜洛城聞笛)에 “누군가 불어대는 피리 소리가, 봄바람 타고 온 낙성으로 퍼져 나가네.[誰家玉笛暗飛聲 散入春風滿洛城]”라고 하였다.
  • 편주[扁舟]  조각배. 조그마한 배. 작은 배. 편주(片舟). 소식(蘇軾)의 전적벽부(前赤壁賦)에 “나뭇잎 같은 작은 배를 타고, 바가지를 술잔 삼아 서로 권하네.[駕一葉之扁舟 擧匏樽以相屬]”라고 하였고, 왕창령(王昌齡)의 시 여계주인(廬溪主人)에 “무릉 시내 입구에 배를 세워두었더니, 시냇물 그대 따라 북쪽으로 흘러가네.[武陵溪口駐扁舟 溪水隨君向北流]”라고 하였다.
  • 옥호[玉戶]  화려한 문. 아름다운 방. 누각이 화려하고 옥석으로 상감(鑲嵌)함을 의미한다.
  • 도의침[搗衣砧]  다듬잇돌. 추판석(捶板石). 도의석(搗衣石). 추포석(捶布石).
  • 도의[搗衣]  옷을 빨 때 빨랫돌 위에서 방망이로 물에 젖은 옷을 두드리는 것과 다듬잇돌 위에 놓고 방망이로 두드리는 것을 함께 가리키는 말이다. 사조(謝眺)의 시 추야(秋夜)에 “가을밤에 귀뚜라미 울고, 남쪽의 이웃집들 다듬이질소리 급하네.[秋夜促織鳴 南鄰搗衣急]”라고 하였고, 이백(李白)의 시 춘회(春懷)에 “장안의 하늘에 조각달 떴는데, 집집마다 다듬이질 소리 들리네.[長安一片月 萬戶搗衣聲]”라고 하였다.
  • 상문[相聞]  교유(交遊)함이다. 서로 서신을 주고받음. 소식을 서로 교환함. 서로 견해를 이해하고 인정해 줌.
  • 홍안[鴻雁]  큰 기러기. 편지. 서신. 한(漢)나라 때 소무(蘇武)가 흉노(匈奴)에 사신으로 갔다가 억류되어 있으면서 기러기의 발에다가 편지를 매어 한(漢)나라로 부친 데에서 연유하여 흔히 기러기를 편지와 연관시켜서 쓴다.
  • 홍안[鴻雁]  기러기. 큰 것이 홍(鴻), 작은 것이 안(雁)이다. 형제를 비유하는 말이다. 예기(禮記) 왕제(王制)에 “길에서 남자는 오른쪽으로 걷고, 여자는 왼쪽으로 걸으며, 수레는 가운데로 간다. 아버지 연치인 사람은 뒤에서 따라가고, 형의 연치인 사람은 옆에서 기러기가 날듯이 조금 뒤처져 따라가며, 친구와 동행할 때는 앞뒤를 다투지 않는다.[道路: 男子由右, 婦人有左, 車從中央. 父之齒隨行, 兄之齒雁行, 朋友不相踰.]”라고 하여, 형제간을 기러기의 서열(序列)에 비유하였다. 진호(陳浩)는 안행(雁行)에 대해 “안행이란 함께 가면서 조금 뒤에 서는 것이다.[雁行并行而稍後也]”라고 하였다. 이후 홍안행(鴻雁行)이 형제를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참고로 두보(杜甫)의 시 견흥(遣興)에 “내가 오늘 밤중까지 근심하는 건, 아우들이 모두 다른 지방에 있어서인데. 고개 들어 구름 속 기러기 떼 바라보자니, 새들도 형제가 있어 함께 다니네.[我今日夜憂 諸弟各異方 仰看雲中雁 禽鳥亦有行]”라고 하였다. 또, 홍안(鴻雁)은 서찰을 전하는 전고로 사용되기도 한다.
  • 어룡[魚龍]  물고기. 龍(용)은 대자(帶字). 물속에서 사는 동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 역도원(酈道元)의 수경주(水經注)에 “어룡은 가을과 겨울을 밤으로 삼는다.[魚龍以秋冬為夜]”라고 하였다. 수생동물은 추분(秋分)이 되면 하강하여 물 깊은 곳에 칩복(蟄伏)하여 잠을 자므로, 가을과 겨울을 밤으로 삼는다고 한 것이다.
  • 잠약[潛躍]  가라앉았다 뛰어오르다.
  • 한담[閑潭]  한담(閒潭). 그윽하고 고요한 연못.
  • 침침[沉沉]  침침(沈沈). 무겁다. 정도가 심하다. 초목 따위가 무성한 모양. 깊다.
  • 침침[沈沈]  침침(沉沉). 밤이 고요히 깊어감. 낮고 깊다. 그윽하다. 소리가 없이 조용하다. 궁실이 깊다. 침착하고 신중하다. 마음이 무겁다. 물체가 무겁다. 낮고 묵직하다. 울적하다. 무성한 모양. 물이 깊은 모양. 비가 많이 내리는 모양. 아무 소리가 없이 조용하거나 소리가 아주 멀리서 들리는 것. 소식이 없는 것.
  • 갈석[碣石]  갈석은 하북성(河北城) 창려현(昌黎縣) 북쪽에 위치한 산으로 변두리에 있다. 바닷물 속에 잠겨서 일부만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고 한다. 역대 제왕이 순행(巡行)할 때 동쪽 끝 지점이다. 한서(漢書) 무제기(武帝紀)에 “황상께서 태산에 오르신 뒤, 다시 동쪽의 바다를 돌아보시다 갈석현에 이르셨다.[行自泰山, 復東巡海上, 至碣石.]”라고 하였다.
  • 갈석[碣石]  옛날 산 이름인데 하북(河北) 창려(昌黎) 서북쪽에 위치한 산으로, 바닷물 속에 잠겨서 일부만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고 한다. 서경(書經) 우공(禹貢)에 “도이는 피복을 입고 공물을 바친다. 오른쪽으로 갈석산을 끼고 황하로 들어간다.[島夷皮服 夾于碣石 入于河]”라고 하였다. 멀리서 그 산을 바라보면 무덤처럼 둥글게 솟았는데, 산꼭대기에 큰 바위가 특별히 튀어나와 마치 기둥과 같기 때문에 갈석으로 이름을 붙인 것이다. 진 시황(秦始皇)은 32년에, 한 무제(漢武帝)는 원봉(元封) 원년(元年)에 동쪽으로 순시하다가 이곳에 이르러 돌에 자신의 공적을 새기고 바다를 바라보았다. 역대 제왕들이 순행(巡行)할 때 동쪽으로는 끝지점이다. 우 임금이 이곳의 산하를 정비했다. 서경(書經) 우공(禹貢)에 라고 하였다.
  • 갈석[碣石]  하북(河北) 또는 열하(熱河)에 있다고 하는 산으로, 이 지역이 대체로 옛날 연(燕)나라가 있던 지방이다. 서경(書經) 우공(禹貢)에 이르기를 “오른쪽으로 갈석(碣石)을 끼고 돌아서 황하(黃河)로 들어갔다.[夾右碣石 入于河]”고 하였고, 공안국(孔安國)은 다만 ‘바닷가에 있는 산[海畔山]’이라고 하였다. 소재지에 대해서는 하북(河北)·열하(熱河)·산동(山東)등 여러 설이 있다.
  • 갈석[碣石]  황하(黃河)의 하구(河口)에 있는 갈석산(碣石山)을 이른다. 서경(書經) 우공(禹貢)의 기주(冀州)에 “도이는 피복을 입고 공물을 바친다. 오른쪽으로 갈석산을 끼고 황하로 들어간다.[島夷皮服 夾于碣石 入于河]”라고 보이는데, 채침(蔡沈)의 집전(集傳)에 “갈석은 지리지(地理志)에 ‘북평군(北平郡) 여성현(驪城縣) 서남쪽 하구의 땅에 있다.’고 하였으니, 지금의 평주(平州)의 남쪽이다. 기주는 북방에서 공부(貢賦)를 수송해 올 적에, 북해(北海)로부터 황하로 들어와서 남향하여 서쪽으로 도는데 갈석산이 오른쪽으로 도는 사이에 있으므로 ‘오른쪽으로 낀다.’고 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 소상[瀟湘]  소수(瀟水)와 상강(湘江)이다. 소수는 호남성(湖南省) 남산현(藍山縣) 구의산(九嶷山)에서 발원하고, 상강은 광서성(廣西省) 영천현(靈川縣) 동쪽 해양산(海洋山)에서 발원하는데, 소수가 호남성 영릉현(永陵縣) 경내 회(淮)에서 상강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소상이라고 부른다. 두보(杜甫)의 시 거촉(去蜀)에 “촉에서 객으로 다섯 해를 보내고, 그 중에 한 해는 재주에서 보냈는데. 어찌하여 험한 길 험한 세상에, 또다시 소상으로 떠돌이길 떠나는가.[五載客蜀鄙 一年居梓州 如何關塞阻 轉作瀟湘游]”라고 하였다.
  • 소상[瀟湘]  중국 호남성(湖南省) 지역에 있는 소수(瀟水)와 상수(湘水)로, 영릉현(零陵縣) 서쪽에서 두 강이 합쳐져 동정호(洞庭湖)로 흘러 들어간다. 세칭(世稱) 소상(瀟湘)이라 한다. 그 부근은 경치가 빼어난다.
  • 소상강[瀟湘江]  중국 호남성(湖南省) 동정호(洞庭湖)의 남쪽에 있는 소수(瀟水)와 상수(湘水)의 병칭이다. 그 부근에는 경치(景致)가 아름다운 소상(瀟湘) 팔경이 있다. 이곳에서 소상반죽(瀟湘斑竹)이 나는데, 옛날에 요(堯) 임금의 두 딸인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이 순(舜) 임금의 비(妃)가 되었다가 순 임금이 돌아가자 슬픔을 이기지 못하여 피눈물을 뿌린 자국이 반죽으로 화했다는 전설이 있다.
  • 요정[搖情]  정을 끈다는 의미. 마음을 흔들어 놓다. 마음을 울렁거리게 하고 특히 정에 이끌림을 이른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