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遊子吟유자음 / 길 떠나는 아들의 노래 / 孟郊맹교


慈母手中線[자모수중선]   자애로운 엄니 손에 쥐어진 실은

遊子身上衣[유자신상의]   길 떠나는 아들 입을 옷 때문이라

臨行密密縫[임행밀밀봉]   떠날 때 다 되어서도 촘촘 꿰맴은

意恐遲遲歸[의공지지귀]   혹여 늦게 돌아올까 두려움이라

誰言寸草心[수언촌초심]   누가 그랬나 새싹만한 마음으로

報得三春暉[보득삼춘휘]   봄볕 같은 은혜를 갚을 수 있다고

<遊子吟유자음 / 길 떠나는 아들의 노래 / 孟郊맹교>


誰言(수언)이 難將(난장)으로 된 곳도 있다. 誰言(수언)을 難將(난장)으로 하면 아래와 같이 되겠다.

慈母手中線[자모수중선]   자애로운 엄니 손에 쥐어진 실은

遊子身上衣[유자신상의]   길 떠나는 아들 입을 옷 때문이라

臨行密密縫[임행밀밀봉]   떠날 때 다 되어서도 촘촘 꿰맴은

意恐遲遲歸[의공지지귀]   혹여 늦게 돌아올까 두려움이라

難將寸草心[난장촌초심]   갓 돋아난 새싹만한 마음으로야

報得三春暉[보득삼춘휘]   봄볕 같은 그 은혜를 어이 갚으랴


  • 맹교[孟郊]  당조(唐朝)의 시인으로 자는 동야(東野), 사시(私諡)는 정요선생(貞曜先生)이다. 호주(湖州) 무강(武康: 지금의 절강성浙江省 덕청德淸) 사람이며(낙양洛陽사람이라는 설도 있음) 맹호연(孟浩然)의 손자이다. 한유(韓愈)와 망년(忘年)의 교우 관계를 맺었다. 한유(韓愈)와 함께 중당(中唐) 시기 한맹시파(韓孟詩派)를 대표한다. 현존하는 시가가 5백여 편인데 단편인 오언고시로는 가장 많지만 율시는 한 편도 없다. 대표작으로는 유자음(遊子吟)을 꼽는다. 어려서 가정이 빈한하여 여러 곳을 주유했고 과거에도 여러 차례 응시했으나 급제하지 못하다가 46세(일설에는 45세)가 되어서야 비로소 진사가 되었다. 정원(貞元) 17년(801) 율양위(溧陽尉)가 되었는데 정사를 돌보지 않고 술과 시로 날을 보내 감봉을 당하기도 하였다. 한유(韓愈)는 그런 맹교를 일러 산한율양위(酸寒溧陽尉: 군색한 율양위)라고 불렀다고 한다. 맹교가 세상을 뜨자 오랜 벗인 장적이 정요선생(貞曜先生)이라는 사시(私諡)를 지어주었다. 한유의 복고주의에 동조하여 작품도 악부나 고시가 많았는데 외면적인 고풍 속에 예리하고 창의적 감정과 사상을 담았다는 평가를 받았고, 시에 이치(理致)가 깃들어 있어 한유로부터 가장 칭찬을 받았으나, 일반적으로 사고기삽(思苦奇澁)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백성의 고통, 사회의 불평등, 관리의 악행 등을 읊은 시가 많고, 가을의 처량한 회포를 읊은 것이 많은데, 서재양병야회다감(西斋養病夜懷多感)에 “침상 가득 투명한 달빛, 네 벽에는 가을 귀뚜라미 소리[一床空月色 四壁秋蛩聲]”라는 구절이 있다. 흔히 교한도수(郊寒島瘦)라고 하는데, 이는 송나라의 소식(蘇軾)이 당나라 시인들의 시풍(詩風)을 비평한 말로, 맹교의 시는 한산(寒酸)해서 살풍경하고, 가도(賈島)의 시는 메말라서 힘이 없다는 뜻이 담겼다. 소식(蘇軾)이 교한도수(郊寒島瘦)라고 말한 이후, 평론가들이 맹교와 가도(賈島)를 병칭하여 고음시인(苦吟詩人)의 대표로 불렀다. 맹동야시집(孟東野詩集) 10권을 남겼다.
  • 자모[慈母]  사랑이 많은 어머니를 일컫는 말.
  • 자애[慈愛]  아랫사람에게 베푸는 도타운 사랑. 아랫사람에게 베푸는 따사롭고 돈독한 사랑.
  • 유자[遊子]  여행을 떠나는 아들. 고향을 떠나는 아들. 떠돌이 아들. 나그네. 일정한 직업이 없이 놀고 지내는 사람.
  • 삼춘[三春]  봄의 석 달. 맹춘(孟春), 중춘(仲春), 계춘(季春)을 이른다

_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