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자가 다 낡은 옷을 입고 밭을 갈고 있었다.
노나라의 임금이 이를 가엾게 여겨 사람을 시켜 읍 하나를 그에게 내리면서, ‘이것으로 옷이라도 기워 입으시기 바란다’고 하였다.
증자가 이를 거절하자 임금이 다시 보내왔지만, 그래도 받지 않았다.
그러자 심부름 온 사람이 물었다.
“선생께서 남에게 요구하지도 않았는데, 남이 이렇게 주고 있습니다. 어찌하여 받지 않으시는 것입니까?”
증자가 말하였다.
“내가 듣기에, 남에게 무엇인가를 받은 사람은 그것을 준 사람을 경외하게 되고, 남에게 무엇인가를 준 사람은 거만해질 수밖에 없다고 하였습니다. 비록 상대가 나에게 주면서 전혀 거만을 떨지 않는다 해도, 내가 어찌 두려워하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그리고는 끝내 받지 않았다.
공자가 이 말을 듣고 말하였다.
“증삼의 말대로만 하면 자신의 절조를 보전하기에 족할 것이다.”
<설원/입절>
曾子衣弊衣以耕, 魯君使人往致邑焉, 曰:「請以此修衣.」 曾子不受, 反覆往, 又不受, 使者曰:「先生非求於人, 人則獻之, 奚為不受?」 曾子曰:「臣聞之, 受人者畏人, 予人者驕人;縱子有賜不我驕也, 我能勿畏乎?」 終不受. 孔子聞之曰:「參之言, 足以全其節也.」 <說苑/立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