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점[萬點] 만편(萬片)의 꽃잎.
만정[萬釘] 만정보대(萬釘寶帶)의 준말로 못을 만 개 박은 화려한 허리띠를 말한다.
만정[萬井] 많은 마을. 만리의 땅. 만정(萬井)은 만호(萬戶)와 같은 말로 무수한 인가(人家)를 이른다. 고대에 사방 1리(里)의 땅을 1정(井)이라 했던 데서 유래한 것으로, 천가만호(千家萬戶)의 뜻으로 쓰이기도 한다.
만정[萬井] 옛날 제도에 따르면 여덟 집을 묶어 정(井)이라고 함에 따라 만정(萬井)을 향리 또는 사람들이 모여 사는 곳을 가리키는 말로 썼다.
만정[蠻井] 지명. 운남성(雲南省)에 있는 문정진(文井鎭)의 옛 명칭이다. 만(蠻)은 목책을 뜻하는 채(寨)를 말함이고, 정(井)은 진(鎭)을 말한다.
만정[鰻井] 절강성(浙江省) 귀산(龜山)에 있는 옛 우물 이름으로, 거북 모양의 바위 위에 있는데, 깊이를 알 수가 없다고 한다.
만정[幔亭] 만정(幔亭)은 무이산(武夷山)을 가리킨다. 복건성(福建省)의 무이산(武夷山)에 경관이 좋은 만정봉(幔亭峯)이 있으며, 만정봉에 대은병(大隱屛)이란 곳이 있다. 무이산(武夷山)의 산신인 무이군(武夷君)이 진시황(秦始皇) 2년에 마을 사람들을 산꼭대기로 초청하여 만정(幔亭)의 연회를 베풀고 술과 음식을 주었다는 무이만정(武夷幔亭)의 고사가 전한다. <雲笈七籤 卷96>
만정[萬情] 모든 정. 만 가지 감정. 희노애락 등 여러 가지 감정.
만정골[滿頂骨] 지방(紙牓)을 세우는 판을 이른다..
만정도화[滿庭桃花] 뜰에 가득한 복숭아꽃을 이른다.
만정란채증[幔亭爛綵繒] 무이산(武夷山)의 산신인 무이군(武夷君)이 진시황(秦始皇) 2년 어느 날, 마을 사람들에게 “너희들은 8월 15일에 산꼭대기에 모여라.”라고 하였다. 중추절이 되어 마을 사람들이 모두 모이니, 휘장을 두른 만정과 비단으로 꾸민 채옥(彩屋)이 보였는데, 붉은 구름과 자색 구름으로 자리를 깔고 기물을 몹시 갖추어 차려놓고는 남녀를 나누어 앉게 하였다. 하늘에서 사람 모습은 보이지 않고 말소리만 들리더니 이윽고 음악 소리가 들려왔다. 이날 마을 사람들은 여기에 차려진 음식과 술을 실컷 즐겼다고 한다. <淵鑑類函 卷20 歲時>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