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마음을 밝게 하고 본성을 지켜 정정당당하라 <채근담>


공로를 자랑하고 문장을 뽐내는 것은

모두 그 사람됨이 외물에 의지하기 때문이다.

그들은, 마음바탕을 밝게 하고

타고난 본성을 잃지 않으면

비록 작은 공로도 한 자의 문장도 없더라도

저절로 정정당당한 사람이 됨을 알지 못한다.


誇逞功業,  炫耀文章,  皆是靠外物做人.
과령공업,  현요문장,  개시고외물주인.
不知心體瑩然,  本來不失,  卽無寸功隻字,  亦自有堂堂正正做人處.
부지심체형연,  본래부실,  즉무촌공척자,  역자유당당정정주인처.

<채근담菜根譚/명각본明刻本(만력본萬曆本)/전집前集>


  • 과령[誇逞]  자랑하다. 뽐내다.
  • 공업[功業]  큰 공로(功勞). 뚜렷한 공적으로 남는 사업. 공로(功勞)와 업적(業績).
  • 현요[炫耀]  눈부시게 비치다. 자랑하다. 뽐내다. 과시하다.
  • 문장[文章]  생각·느낌·사상(思想) 등을 글로 표현한 것. 구절을 모아서 한 문제를 논술한 글의 한 편. 문장가(文章家). 일반적으로 어, 구, 절과 함께 문법을 나타내는 언어 단위의 하나. 한 나라의 문명을 형성한 예악(禮樂)과 제도. 참고로, 두보(杜甫)의 시 우제(偶題)에 “문장은 천고토록 썩지 않을 사업, 잘 됐는지의 여부는 마음속으로 잘 안다오.[文章千古事 得失寸心知]”라고 하였다.
  • 문장[文章]  학문의 정채(精彩). 내면에 학덕이 충실하게 쌓여 자연히 정채가 겉으로 드러남을 뜻한다. 맹자(孟子) 진심 상(盡心上)에 학문의 단계적 성취를 말하면서 “흐르는 물은 구덩이를 다 채우기 전에는 더 흘러가지 못하고, 군자가 도(道)에 뜻을 두었을 때는 문장(文章)을 이루지 않고서는 도달하지 못한다.[流水之爲物也 不盈科不行 君子之志於道也 不成章不達]”라고 한 데서 유래하였다.
  • 주인[做人]  사람 됨됨이. 처세하다. 행동하다. 올바른 사람이 되다. 인간이 되다. 참고로 주자어류(朱子語類) 권7 학일(學一) 소학(小學)에 “후생초학들은 우선 소학을 보아야 하니, 이 책은 사람을 만드는 틀이기 때문이다.[後生初學且看小學之書, 那是做人底様子.]”라고 한 데서 보이고, 주자어류(朱子語類) 권101에, 양시(楊時)가 간신 채경(蔡京)의 부름에 나아가 벼슬했던 일에 대해 주희(朱熹)는 “구산은 사람됨이 구차스럽고 이때에는 녹을 위해 벼슬해야 할 형편이었으므로 터무니없이 나아간 것이다.[龜山做人苟且 是時未免祿仕 故胡亂就之]”라고 비난한 데서 보인다.
  • 형연[瑩然]  밝고 깨끗한 모습. 분명하다. 밝게 빛나다.
  • 부지[不知]  모르다. 알지 못하다. 시에서는 흔히 “~~인가”하는 의문의 뜻으로 쓰인다.
  • 촌공[寸功]  아주 작은 공로. 작고 보잘것없는 공로. 아주 조그마한 공로.
  • 척자[隻字]  몇 마디 문자. 한 글자. 또는 짧은 자구.
  • 자유[自有]  자기(自己) 자신(自身)이 가지고 있는 것. 자연히 ~이 있다. 나름대로 ~이 있다. 스스로 ~이 있다. ~이 있게 마련이다. 저절로 ~이 있다. 본래 ~이 있다.
  • 당당정정[堂堂正正]  공명정대하다. 정정당당하다. 위용이 엄연하다. 늠름하다. 위풍이 있고 당당하다.

【譯文】 心體瑩然,  不失本眞.
誇耀逞弄功勞業績,  炫露矜耀辭文篇章,  都是依靠外界事物做人.  不知心靈本體晶瑩潔白,  原來本性沒有喪失,  卽使沒有一寸功業片言只字,  也自然有堂堂正正做人的地方.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