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自詠자영 / 스스로 읊다 / 金炳淵김병연


寒松孤店裡[한송고점리]   겨울 소나무 외로운 주막 안에

高臥別區人[고와별구인]   베게 높이 누우니 딴 세상 사람

近峽雲同樂[근협운동락]   산골짝 가까이 구름과 노닐고

臨溪鳥與隣[임계조여린]   개울가에서 산새와 이웃하네

錙銖寧荒志[치수영황지]   하찮은 세상 일로 뜻을 망치랴

詩酒自娛身[시주자오신]   시와 술로 내 몸을 즐겁게 하고

得月卽帶憶[득월즉대억]   달이 뜨면 옛 생각도 하면서

悠悠甘夢頻[유유감몽빈]   유유히 단꿈을 자주 꾸리라

<自詠자영 / 金炳淵김병연>


  • 김병연[金炳淵]  조선(朝鮮) 후기(後期)의 방랑(放浪) 시인(詩人). 자는 성심(性深)이며 호는 난고(蘭皐)이다. 속칭 김삿갓 혹은 김립(金笠)이라 불린다. 본관은 안동(安東). 경기도 양주 출생. 전국을 떠돌아다니며 즉흥적인 풍자시를 많이 지어서 남겼다. 평안도 선천부사(宣川府使)였던 할아버지 김익순(金益淳)이 홍경래의 난 때에 항복한 죄로 집안이 멸족(滅族)을 당하였다. 노복 김성수(金聖洙)의 도움으로 여섯 살 때 형 김병하(金炳河)와 함께 황해도 곡산(谷山)으로 피신하여 숨어 지냈다. 후일 멸족에서 폐족(廢族)으로 사면되어 형제는 어머니에게로 돌아갔다. 그러나 아버지 김안근(金安根)은 화병으로 죽었다. 어머니는 자식들이 폐족자로 멸시받는 것이 싫어서 강원도 영월로 옮겨 숨기고 살았다. 이 사실을 모르는 김병연이 과거에 응시하여 논정가산충절사탄김익순죄통우천(論鄭嘉山忠節死嘆金益淳罪通于天)이라는 그의 할아버지 김익순을 조롱하는 시제로 장원급제하였다. 그러나 자신의 내력을 어머니에게서 듣고는 조상을 욕되게 한 죄인이라는 자책과 폐족자에 대한 멸시 등으로 20세 무렵부터 처자식을 둔 채로 방랑 생활을 시작하였다. 스스로 하늘을 볼 수 없는 죄인이라 생각하고 항상 큰 삿갓을 쓰고 다녀 김삿갓이라는 별명이 생겼다. 전국을 방랑하면서 각지에 즉흥시를 남겼는데 그 시 중에는 권력자와 부자를 풍자하고 조롱한 것이 많아 민중 시인으로도 불린다. 아들 익균(翼均)이 여러 차례 귀가를 권유했으나 계속 방랑하다가 전라도 동복(同福: 전남 화순)에서 57세에 객사하였다. 김립시집(金笠詩集)이 전한다.
  • 치수[錙銖]  옛날 중국(中國)의 저울 눈에서 백 개의 기장의 낱알을 1수(銖), 24수를 1냥(兩), 8냥을 1치(錙)라고 일컬은 데서 생긴 말. 썩 가벼운 무게.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