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가계[假繼]~가계야목[家鷄野鶩]~가계야치[家鷄野雉]


가계[假繼]  가모(假母)나 계모(繼母)를 말한다. 한서(漢書) 형산왕사전(衡山王賜傳)의 안사고(顔師古) 주(注)에 의하면, 가모(假母)는 계모(繼母)로, 아버지의 방처(旁妻)라 하기도 한다.

가계[假髻]  가발(假髮)을 땋아 만든 머리 장식으로, 옛날에 부녀자들이 머리 장식용으로 썼다. 가결(假結), 가계(假紒) 등으로도 표기한다.

가계[假髻]  부인(婦人)의 머리숱을 더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머리카락으로, 일종의 가발이다. 다리·가결(假結)·가두(假頭)라고도 한다.

가계[家雞]  집에서 기르는 닭. 전(轉)하여 내 집에 있는 물건을 이른다. 진(晉) 나라의 유익(庾翼)이 글씨를 잘 써서 처음에는 왕희지(王羲之)와 이름이 나란하였다. 이에 자기의 서법을 집 닭에다 비유하고 왕희지의 서법을 들꿩[野雉]에다가 비유하였다. 그 뒤에 왕희지는 필법이 더욱 진보하여 유익의 아들들조차 아버지의 필체를 배우지 아니하고 왕희지의 필체를 배웠다. 그러자 그가 말하기를 “우리 아이들은 집 안에 있는 닭은 싫어하고 들판에 있는 꿩을 좋아한다.”라고 하였다. <太平御覽 卷918>

가계야목[家鷄野鶩]  자기 것을 싫어하고 남의 것을 좋아하는 것의 비유이다. 진(晉) 나라 유익(庾翼)이 “아이들이 가계(家鷄)는 싫어하고 야목(野鶩)만 좋아하여 모두들 왕희지(王羲之)의 서체를 배운다…….” 한 데서 유래된 말이다.

가계야목[家鷄野鶩]  집닭과 들오리란 뜻으로, 진(晉)나라 때 서가(書家)였던 유익(庾翼)이 왕희지와 명성을 겨루던 때에 자기의 서법을 우세하게 여겨 집닭에 비유하고, 왕희지의 서법을 경멸하여 들오리에 비유했던 데서 온 말이다. 소식(蘇軾)의 서유경문좌장소장왕자경첩(書劉景文左藏所藏王子敬帖) 시에 “집닭과 들오리는 똑같이 제기에 올랐거니와, 봄 지렁이 가을 뱀은 다 화장대로 들어갔는데, 그대 집에 소장한 글씨 두 줄에 열두 자는, 그 기개가 업후의 삼만 축을 압도하다마다.[家鷄野鶩同登俎 春蚓秋蛇總入奩 君家兩行十二字 氣壓鄴侯三萬籤]”라고 하였다. <蘇東波詩集 卷32>

가계야치[家鷄野雉]  집안에서 기르는 닭과 산의 꿩. 자기 집의 닭은 싫어하고 들의 꿩은 좋아한다는 뜻으로 집안의 좋은 것은 돌보지 않고 밖의 나쁜 것을 탐낸다는 말이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