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가자[賈子]~가자여지[可者與之]~가자치안[賈子治安]


가자[賈子]  가자(賈子)는 한나라 때의 문신(文臣)이자 문장가인 가의(賈誼)가 지은 정론집(政論集) 신서(新書)의 별칭으로, 가의신서(賈誼新書)라고도 부른다. 당시의 정치 상황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서술한 책이다. 본래 10권 58책인데, 2권은 편목(篇目)만 남아 실제로는 56권이 전한다.

가자[加資]  가자는 정3품 통정대부(通政大夫) 이상의 품계에 올려 주는 것을 말하는데, 종친의 경우 명선대부(明善大夫) 이상에 해당한다. 군(君)은 종친부의 종2품부터 정1품까지의 벼슬이다. <大典會通 吏典 京衙門 宗親府>

가자[茄子]  가지이다.

가자[家慈]  살아 계신 자신의 어머니를 일컫는 말이다.

가자[嫁資]  시집갈 때 가져가는 의상과 화장품을 말한다.

가자[假子]  양아들과 같은 말이다.

가자가녀[賈子賈女]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 사람인 가표(賈彪)가 고을을 맡아 효렴(孝廉)으로 잘 다스렸다. 백성들이 빈곤하여 자식을 기르지 않으려는 습속이 있었는데 이를 교화하여 바로잡았으니, 이에 백성들이 아들을 낳으면 가자(賈子)라고 하고 딸을 낳으면 가녀(賈女)라고 이름 지었다 한다. <後漢書 卷67 賈彪列傳>

가자건유[賈子褰帷]  가자는 가종(賈琮)이다. 민원에 귀 기울여 선정을 폈다는 뜻이다. 후한서(後漢書) 권31 가종열전(賈琮列傳)에 “가종이 기주자사(冀州刺史)에 임명되었다. 옛날의 전례에 따라 자사가 부임할 때 붉은 휘장을 두른 마차를 가지고 주(州)의 경계에 나와 영접하자, 가종이 도착하여 수레에 올라 말하기를 ‘자사는 마땅히 멀리 보고 널리 들어 선악을 살펴야 할 터인데, 왜 도리어 휘장을 쳐서 자신의 이목을 가린단 말인가.’라 하고 시종에게 휘장을 걷도록 하였다.”라고 하였다.

가자여지[可者與之]  논어(論語) 자장(子張)에 “가한 자는 함께하고 불가한 자는 거절하라.[可者與之 其不可者拒之]”라는 말이 나온다.

가자이열[可自怡悅]  남조(南朝) 양(梁)나라 도홍경(陶弘景)의 ‘조서(詔書)로 산중에 무엇이 있느냐고 물으시길래 시를 읊어 답하다.[詔問山中何所有 賦詩以答]’에 “산중에는 무엇이 있느뇨. 산 위에는 흰 구름이 많아라. 그저 나 혼자 즐길 뿐, 그대에게 줄 수는 없도다.[山中何所有 嶺上多白雲 只可自怡悅 不堪持贈君]”고 하였다.

가자치안[賈子治安]  가자는 한(漢) 문제(文帝) 때의 문신(文臣) 가의(賈誼)를 가리킨다. 가의가 일찍이 시국광구책(時局匡救策)인 치안책(治安策)을 문제에게 올려 잘못된 정치를 격렬히 비판했던바, 치안책 첫머리의 대략에 의하면 “신은 그윽이 생각하건대, 지금의 사세가 통곡할 만한 일이 한 가지요, 눈물을 흘릴 만한 일이 두 가지요, 길이 한숨을 쉴 만한 일이 여섯 가지입니다.[臣竊惟事勢, 可爲痛哭者一, 可爲流涕者二, 可爲長太息者六.]”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漢書 卷48 賈誼傳>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