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각색[脚色]~각서[角黍]~각서위어함입수[刻犀爲魚銜入水]~각서풍영[角犀豐盈]


각색[脚色]  소설 등을 각본이 되게 만드는 일. 소설, 서사시 등의 문학 작품을 연극이나 영화에 알맞도록 고쳐 쓰는 것을 가리킨다. 본래는 중국 연극에서 ‘분장(扮裝)’, ‘배우의 전문 구실’ 등을 뜻하는 말이다.

각서[角黍]  각서(角黍)란 것은 풍토기(風土記)에 “단오(端午)에 줄잎[菰葉]으로 찹쌀을 싸서 먹는 것은 옛날 멱라수(汨羅水)에서 굴원(屈原)의 혼을 조상하던 풍속이다.”라고 하였다.

각서[角黍]  갈대 잎에다 쌀가루를 싸서 찐 떡이다. 초(楚)의 사람들이 굴원(屈原)의 넋을 위로하기 위하여 대통에다 쌀을 담아 멱라수(汨羅水)에 던졌던 데에서 연유된 것이라고 한다. 중국 남방의 풍속에는 단오일(端午日)에 각서(角黍)를 만드는데, 고엽(菰葉)에다 찹쌀을 싸서 익힌다. 또 오색(五色)실을 길게 이어 감아서 장명루(長命縷)라 하고 서로 선사한다. <續齊諧記, 荊楚歲時記>

각서[角黍]  고엽(菰葉)에 찹쌀을 싸서 찌는 떡으로 편수와 비슷한데, 삼각 모양으로 만들기 때문에 이런 이름이 붙었다. 각반(角飯)이라고도 한다. 초나라 사람들이 5월 5일에 멱라수(汨羅水)에 투신 자결한 굴원(屈原)의 죽음을 슬퍼하며, 대통에 쌀을 담아 강에 던졌다는 고사에서 유래하여, 단오절마다 이 떡을 만들어 먹는 풍속이 생겼다고 한다.

각서[角黍]  찹쌀가루로 송편처럼 만든 떡으로, 주악이라고도 한다. 중국 남방의 풍속에는 단오일(端午日)에 각서를 만드는데, 고엽(菰葉)에다 찹쌀을 싸서 익힌다.

각서[角黍]  찹쌀가루를 풀잎에 싸 쪄서 만든 떡의 일종으로, 모양이 삼각형으로 생겼으며, 옛날에 찰기장[黏黍]으로 만들었기 때문에 각서라고 한다.

각서위어함입수 수개삼척[刻犀爲魚銜入水 水開三尺]  연감유함(淵鑑類函) 권430 서(犀)에 “물 소 뿔 한 자 이상짜리를 구해서 거기에 물고기 모양을 새긴 다음 입에다 물고 물속에 들어가면, 항상 사방 석 자 정도로 물길이 트이기 때문에 숨을 쉴 수가 있다.[得其角一尺以上 刻爲魚 而銜以入水 水上爲開方三尺 可得息氣]”는 포박자(抱朴子)의 글이 인용되어 있다.

각서풍영[角犀豐盈]  각서(角犀)는 이마가 코뿔소가 엎어져 있는 듯 튀어나온 모습을 이르고, 풍영(豐盈)은 아래턱이 풍만한 모습이니 모두 현명한 자의 얼굴 상이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