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고수[瞽叟]~고수[誥授]~고수[高叟]


고수[瞽叟]  ‘고수(瞽瞍)’로도 표기하는바, 우(虞)나라 순(舜)임금의 아버지이다. 순(舜)임금의 어머니가 일찍 세상을 떠나자, 고수(瞽叟)는 후처(後妻)를 얻고 후처(後妻)가 낳은 상(象)과 함께 순(舜)임금을 죽이려 하였으나, 순(舜)임금의 지극한 효성으로 결국 감화되어 화락(和樂)한 부자간(父子間)이 되었다. 당시 사람들은 효자(孝子)인 순(舜)임금을 몰라보았다 하여 봉사란 뜻으로 고수(瞽叟)라 칭했다 한다.

고수[瞽瞍]  순임금의 아버지로 어리석어 선악을 판단하지 못하였으므로 아들 순을 죽이려 하였다. 고수는 장님으로, 순 같은 아들을 몰라보았다 하여 이런 별명이 붙여졌다고도 하고, 진짜 장님이었다고도 한다.

고수[瞽叟]  고수는 순 임금의 부친인 고수(瞽瞍)를 가리키는데, 그가 사람을 죽였을 경우에는 천자의 자리도 헌신짝처럼 버리고서 몰래 업고 도망쳤을 것이라는 내용이 맹자(孟子) 진심 상(盡心上)에 나온다.

고수[瞽瞍]  순(舜) 임금의 아버지이다. 서경(書經) 요전(堯典)에 의하면 “그의 성질이 완악(頑惡)하다.” 하였고, 맹자(孟子) 만장(萬章) 상편에 의하면 “아들인 순(舜)을 죽이려고 창고(倉庫)의 지붕을 이게 하고는 사다리를 치우고 불을 질렀으며, 우물을 파게 하고는 못 나오도록 흙을 쳐넣어 메우는 등 그 처사가 불선(不善)했다.” 하였다.

고수[瞽瞍]  순(舜) 임금의 아버지인 고수(瞽瞍)의 후처의 아들인 상(象)이 날마다 순 임금을 죽이고자 하였다. 순 임금은 상이 자신을 죽이려고 하는데도 어진 마음에서 항상 상이 걱정을 하면 자신도 걱정하였고, 상이 기뻐하면 자신도 기뻐하였으며, 나중에 상을 유비(有庳)에 봉해 주기까지 하였다. <史記 卷1 五帝本紀>

고수[瞽瞍]  시경(詩經) 소아(小雅) 북산(北山)에 “하늘 아래 모든 곳이 왕의 땅 아님이 없으며, 땅의 모든 물가에 이르기까지 왕의 신하 아님이 없다.[溥天之下 莫非王土 率土之濱 莫非王臣]”라는 말이 보이는데, 이 시를 그대로 적용한다면 순(舜) 임금의 부친인 고수도 신하가 되어야 하겠지만, 이 시의 본의는 그런 것이 아니라는 설명이 맹자(孟子) 만장 상(萬章上)에 나온다.

고수[瞽瞍]  맹자(孟子) 진심상(盡心上)에 “순(舜)이 천자(天子)가 되었을 때 고요(皐陶)가 사(士)였는데 고수가 사람을 죽였다면 어떻게 하겠습니까?” 하고 도응(桃應)이 물으니, 맹자가 “그를 잡고 말았을 것이다. 그러나 순은 그 일을 금할 수 없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고수[瞽瞍]  요(堯) 임금의 두 딸인 아황(娥皇)과 여영(女英)에게 순 임금이 장가들 적에 완악한 부친인 고수(瞽瞍)에게 알리면 허락하지 않을 것이기에 몰래 장가들게 되었다는 내용이 맹자(孟子) 만장 상(萬章上)에 나온다.

고수[誥授]  나라에서 공신(功臣)과 그 선조(先祖)에게 작호(爵號)를 내리는 영전(榮典)인데, 진대(晉代)에 시작되어 당대(唐代)에 와서 갖추어졌으나, 그 제도는 왕조마다 같지 않았다. 청대(淸代)에서는 본인에게 내리는 봉작(封爵)을 수(授)라 하고 증조부모·조부모·부모·처에게 내리는 작호 중에 생존한 이에게는 봉(封), 죽은 이에게는 증(贈)이라 하였다. 5품 이상관에게 내리는 고명(誥命)은 고수·고봉(誥封)·고증(誥贈)이라 하고 6품 이하관에게 내리는 고명은 칙수(勅授)·칙봉(勅封)·칙증(勅贈)이라 하였다. 1품관은 작호가 증조부모·조부모·부모에까지 미치고 3품관 이상은 조부모·부모에까지 미치며 7품관 이상은 부모와 처에까지 미치고 9품관 이상은 겨우 자기 몸에만 미쳤는데, 여기에는 각각 정한 예가 있어 예수(例授)·예봉(例封)·예증(例贈)이라 하였다.

고수[高叟]  맹자(孟子)에 나오는 고자(高子)이다. 공손추(公孫丑)가 시경(詩經)에 나오는 소변(小弁)의 시에 대하여 고자가 “소변은 원망의 뜻을 담고 있으니, 소인(小人)의 시이다.”라고 한 데 대해 맹자에게 물으니, 맹자가 답하기를 “고루하다, 고수의 시를 해석함이여. 소변의 원망은 어버이를 친하게 여긴 것이다. 어버이를 친하게 여김은 인(仁)이니, 고루하다, 고수의 시를 해석함이여.”라고 하였다. <孟子 告子下>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