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교로[郊勞]~교룡[鮫龍]~교룡[交龍]~교룡검[蛟龍劍]


교로[郊勞]  사자(使者)가 빙문국(聘問國)의 교외(郊外)에 당도하면 본국(本國)의 국군(國君)이 경(卿)이나 대부(大夫)를 교외(郊外)로 보내어 위로(慰勞)하는 것이다. 빙문(聘問)은 예를 갖추고 방문하여 위문(慰問)하는 것이다.

교로[郊勞]  외국(外國)의 임금이나 사신(使臣)의 행차(行次)가 근교(近郊)에 당도하면 주국(主國)의 임금이 경(卿)이나 대부(大夫)를 교외(郊外)로 보내어 위로하는 것이다.

교룡[鮫龍]  교룡(蛟龍)과 같은 뜻인데, 전설에 의하면 능히 풍랑(風浪)을 일으키고 홍수를 발생시키기도 한다고 한다.

교룡[交龍]  교룡(交龍)은 두 마리의 용(龍)이 서로 의지하고 있는 모습이다.

교룡[蛟龍]  교룡(蛟龍)은 용(龍)의 일종으로, 뿔은 없고 모양이 뱀 같으며 길이가 한 길이 넘는다는 상상적인 동물. 큰 홍수를 일으킨다고 한다.

교룡[蛟龍]  부부를 뜻한다. 진(晉)나라 때 뇌환(雷煥)이 남창(南昌)의 풍성옥(豐城獄) 지하에 묻힌 이 두 자루의 검을 발굴하여 간장검(干將劍)은 상서(尙書) 장화(張華)에게 바치고 막야검(莫邪劍)은 자신이 차고 다녔다. 장화가 주살(誅殺)된 뒤에 간장검의 행방을 알 수 없었다. 뇌환이 죽은 뒤에 그 아들 뇌화(雷華)가 막야검을 차고 평진(平津)을 지나는데, 갑자기 검이 허리에서 빠져나가 물속으로 들어갔다. 뇌화가 사람을 시켜 물속에 들어가 검을 찾게 하였는데, 검은 보이지 않고 두 마리의 용이 서로 엉킨 것만이 보였다고 한다. 곧 헤어졌던 웅검과 자검이 재회(再會)한 것이다. <晉書 卷36 張華列傳>

교룡검[蛟龍劍]  진(晉)나라 뇌환(雷煥)이 용천(龍泉)과 태아(太阿) 두 보검을 얻어 그중 하나를 장화(張華)에게 주었는데 후에 장화가 주살(誅殺)당하자 그 보검의 소재를 몰랐다. 뇌환이 죽고 그 아들이 보검을 가지고 연평진(延平津)을 지날 때 보검이 갑자기 손에서 벗어나 물에 떨어지기에 사람을 시켜 물속에 들어가 찾게 하였더니, 두 마리 용만 서리어 있고 물결이 세차게 일 뿐 보검은 보이지 않았다고 한다. <晉書 卷36 張華列傳> 두보(杜甫)의 곡왕팽주륜(哭王彭州掄)에 “교룡이 비껴든 검을 휘감았도다.[蛟龍纏倚劍]” 하였고, 왕발(王勃)의 등왕각서(滕王閣序)에 “용천검(龍泉劍)의 빛이 우성(牛星)과 두성(斗星)의 자리를 쏘았다.[龍光射斗牛之墟]”라고 하였다. <杜少陵詩集 卷17> <古文眞寶後集 卷2>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