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기[九氣] 성내면 기운이 올라가고[怒則氣上], 기뻐하면 기운이 늘어지며[喜則氣緩], 슬퍼하면 기운이 가라앉고[悲則氣消], 두려워하면 기운이 내려가고[恐則氣下], 추우면 기운이 오그라들고[寒則氣收], 더우면 기운이 빠져 나가고[炅則氣泄], 놀라면 기운이 어지러워지고[驚則氣亂], 피로하면 기운이 소모되고[勞則氣耗], 생각을 지나치게 하면 기가 뭉치게 되는[思則氣結] 등 9종류의 기운의 변화를 일컬어 구기(九氣)라 한다.
구기[九氣] 9종의 기운의 변화를 말하는데, 두 가지 종류가 있다. 첫째는, 성내면 기가 올라가고, 기뻐하면 기가 늘어지고, 슬퍼하면 기가 가라앉고, 두려워하면 기가 내려가고, 추워하면 기가 졸아들고, 더우면 기가 빠져 나가고, 놀라면 기가 어지럽고, 피로하면 기가 소모되고, 생각을 지나치게 하면 기가 뭉치는[怒則氣上, 喜則氣緩, 悲則氣消, 恐則氣下, 寒則氣收, 炅則氣泄, 驚則氣亂, 勞則氣耗, 思則氣結] 것을 의미한다. 둘째는 격기(膈氣), 풍기(風氣), 한기(寒氣), 열기(熱氣), 우기(憂氣), 희기(喜氣), 경기(驚氣), 노기(怒氣), 산람장기(山嵐瘴氣)를 의미하기도 한다.
구기[拘忌] 좋지 않게 여겨 꺼리거나 피함. 사위. 꺼림칙한 일에 구애되는 것을 말한다.
구기[九棋] 바둑알을 아홉 개 쌓은 듯이 위태하다는 뜻으로, 전국 시대 진(晉)나라 대부(大夫) 손식(孫息)의 고사에서 나온 말이다. 진나라 영공(靈公)이 막대한 비용을 들여 9층의 누대를 지으면서, 이 일에 대해 반대하는 자는 참형에 처하겠다고 하였다. 손식이 영공을 찾아가자, 영공이 강궁(强弓)을 잡고서 말하기를 “그대가 간언을 하려고 하느냐?” 하니, 손식이 말하기를 “신이 감히 간언을 하려는 것이 아닙니다. 신은 12개의 바둑돌을 쌓아 놓고 그 위에 달걀을 9개 올려놓을 수 있습니다.”라고 하였다. 영공이 “한 번도 본 적이 없다. 과인을 위해 쌓아 보라.”고 하니, 손식이 즉시 안색을 바르게 하고 뜻을 안정시킨 뒤에 바둑돌을 쌓고 그 위에 달걀을 올렸다. 영공이 “참으로 위태롭구나.” 하니, 손식이 말하기를 “이보다 더 위태로운 것이 있습니다.” 하였다. 영공이 “그것도 보고 싶다.” 하니, 손식이 말하기를 “9층의 누대가 3년 동안이나 완성되지 않아서, 남자는 농사를 짓지 못하고 여자는 베를 짜지 못하여 국가의 재용이 바닥나니, 백성은 줄어들고 관리들은 도망갔으며 이웃 나라들이 모의하여 장차 전쟁을 일으키려 합니다.” 하였다. 영공이 이 말을 듣고 누대를 헐었다. 이 내용은 예문유취(藝文類聚) 권24 인부(人部) 8 풍간(諷諫)에 전한다.
구기[九歧] 벼 한 줄기에 이삭이 아홉 개 열리는 것으로, 상서(祥瑞)로 여긴다. 후한 광무제(光武帝) 때 이러한 벼 이삭이 나타났기 때문에 광무제의 이름을 수(秀)라 했다고 한다. <後漢書 卷1 光武帝紀論>
구기[舊基] 옛터.
구기[九畿] 주대(周代)에 왕기(王畿)를 사방 천 리(四方千里)로 하고, 그 주위를 전후좌우로 각각 5백 리마다 일기(一畿)로 구획하여, 후복(侯服)・전복(甸服)・남복(男服)・채복(采服)・위복(衛服)・만복(蠻服)・이복(夷服)・진복(鎭服)・번복(藩服)으로 한 것을 말한다. <周禮 職方氏>
구기[九旗] 휘호(徽號)나 등급(等級)의 다름을 표시하기 위한 아홉 가지 종류의 깃발로, 상(常), 기(旂), 전(旜), 물(物), 기(旗), 여(旟), 조(旐), 수(旞), 정(旌) 등을 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