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구방고[九方皐]~구방심[求放心]~구방유신[舊邦維新]


구방고[九方皐]  구방고는 춘추시대 진(秦) 나라 사람으로 말의 상을 잘 보았다. 일찍이 백락(伯樂)으로부터 추천을 받아, 진 목공(秦穆公)의 명을 받고 말을 구하러 나갔다가 석달 만에 돌아와서 아뢰기를 “말을 구해 놓았는데 지금 사구(沙邱)에 있습니다.”라 하므로 목공이 “무슨 말인가?”고 묻자 대답하기를 “누른 암말입니다.”라 하여 목공이 사람을 시켜 가 보게 하니, 검은 숫말이었다. 그래서 목공은 화가 나서 백락을 불러 말하기를 “실패하였다. 그대가 추천한 사람은 말의 빛깔과 암컷인지 수컷인지도 모르는데, 어찌 말을 잘 안다고 하겠는가?”라고 하자, 백락이 말하기를 “구방고가 보는 관점은 천지조화의 심오한 비밀이기에, 정(精)한 것만 취하고 추(麤)한 것을 잊었으며 내실만을 취하고 외모를 잊었기 때문입니다.”라 하였는데, 말이 왔기에 보니 과연 천하의 양마(良馬)였다고 한다. <列子 說符>

구방고[九方皐]  천리마를 잘 알아보는 뛰어난 감식안(鑑識眼)을 소유한 사람이다. 구방고가 백락(伯樂)의 추천을 받고서 진목공(秦穆公)을 위하여 천리마를 찾아낸 다음 ‘색깔이 노란 수컷[牡而黃]’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목공이 직접 말을 보니 ‘색깔이 까만 암컷[牝而驪]’이었으므로 의심하면서 백락을 책망했다. 백락은 탄식하며 “그는 말의 안에 들어 있는 본질적인 능력만을 볼 뿐, 바깥에 드러나 있는 모양이나 색깔은 보지 않기 때문에 그렇게 된 것이다.”라고 찬탄했다는 고사가 있다. <列子 說符>

구방심[求放心]  맹자(孟子) 고자 상(告子上)에 “학문의 도는 다른 것이 아니라 그 놓은 마음을 거두어들이는 것뿐이다.[學問之道無他 求其放心而已]”라고 한 데서 유래한 것이다.

구방안[九方眼]  구방고(九方皐)의 안목. 춘추 시대에 말[馬]을 잘 알아보는 구방고(九方皐)가 진(秦)나라 목공(穆公)을 위하여 석 달 만에 좋은 말을 구했는데, 목공이 어떠한 말인지 묻자, ‘암컷이고 털빛이 노란 말[牝而黃]’이라고 하였다. 목공이 사람을 시켜 가 보게 했더니, ‘수컷이고 털빛이 까만 말[牡而驪]’이었다. 구방고를 추천한 백락(伯樂)을 목공이 불러서 책망하기를 “말의 색깔과 암수도 구분할 줄 모르는데, 어찌 말에 대해서 알 수 있겠는가.” 하니, 백락이 말하기를 “구방고가 이러한 경지에 이르렀단 말입니까. 그것이 신보다 훨씬 뛰어난 까닭입니다. 그가 보는 것은 천기(天機)입니다. 그가 본 것은 말의 내면이지 외면이 아닙니다.” 하였다. 말이 도착했는데 보니 과연 천하의 명마였다. 이 내용은 열자(列子) 설부(說符)에 나오는데, 고금사문유취(古今事文類聚), 연감유함(淵鑑類函), 예문유취(藝文類聚) 등에도 실려 전한다.

구방유신[舊邦維新]  시경(詩經) 문왕(文王)에 “주가 비록 오래된 나라이지만 그 천명은 새로워라.[周雖舊邦 其命維新]”라고 하였다.

구방인[九方歅]  인명. 관상을 잘 보는 이. 춘추 시대 진목공(秦穆公)이 일찍이 말[馬]의 상(相)을 잘 보았던 구방인으로 하여금 천리마를 구해 오게 했는데, 3개월이 지난 뒤에야 구방인이 와서 천리마를 얻었다고 하므로, 목공이 어떤 말이냐고 물으니, 구방인이 누런 암말[牝而黃]이라고 대답하므로, 다른 사람을 시켜 가서 보게 한 결과 검은 수말[牡而驪]이었다. 그러자 목공이 앞서 구방인을 천거한 그의 친구 백락(伯樂)을 불러 책망하기를 “실패했도다. 그대의 천거로 말을 구해 오게 했던 사람은 말의 색깔도 암수도 알지 못하는데, 무슨 말을 알 수 있단 말인가.” 하니, 백락이 말하기를 “구방인이 본 것은 곧 천기(天機)이므로, 그 정(精)한 것만 얻고 추(麤)한 것은 잊어버리며, 내면(內面)의 것만 중시하고 외면(外面)의 것은 잊어버린 것입니다.”라고 했는데, 말을 데려와서 보니, 과연 천하의 양마(良馬)였다는 고사가 있다. 천기란 곧 내면의 천진(天眞)함을 말한다. <列子 說符>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