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구용구사[九容九思]~구용사물[九容四勿]~구용치수[求龍治水]


구용구사[九容九思]  구용(九容)은 신체의 아홉 부분의 태도로서 즉 발의 태도는 묵중하게[足容重], 손의 태도는 공순하게[手容恭], 눈의 태도는 단정하게[目容端], 입의 태도는 얌전하게[口容止], 말소리는 조용하게[聲容靜], 머리의 태도는 곧게[頭容直], 기색은 엄숙하게[氣容肅], 서있는 태도는 덕이 드러나게[立容德], 낯빛은 씩씩하게[色容莊] 하는 것을 말한다.<禮記 玉藻> 구사(九思)는 군자의 아홉 가지 생각으로서 즉 밝게 보기를 생각하고[視思明], 밝게 듣기를 생각하고[聽思聰], 기색은 온화하게 할 것을 생각하고[色思溫], 얼굴은 공손하게 할 것을 생각하고[貌思恭], 말은 진심을 담을 것을 생각하고[言思忠], 일은 공경히 할 것을 생각하고[事思敬], 의심난 것은 물을 것을 생각하고[疑思問], 분이 나면 어려운 일이 생길 것을 생각하고[忿思難], 얻을 것을 보면 의리를 생각하는 것[見得思義]을 말한다.<論語 季氏>

구용구사[九容九思]  구용(九容)은 아홉 가지 몸가짐으로 예기(禮記) 옥조(玉藻)에 “발 모양은 무겁게 하고, 손 모양은 공손히 하고, 눈 모양은 단정히 하고, 입 모양은 다물고, 소리는 조용히 하고, 머리 모양은 곧게 하고, 기상은 엄숙하게 하고, 서 있는 모양은 덕스럽게 하고, 얼굴 모양은 장엄하게 하는 것이다.[足容重 手容恭 目容端 口容止 聲容靜 頭容直 氣容肅 立容德 色容莊]”라고 하였으며, 구사(九思)는 아홉 가지 생각으로 논어(論語) 계씨(季氏)에 “군자가 아홉 가지 생각함이 있으니, 볼 때에는 밝게 볼 것을 생각하고, 들을 때에는 귀 밝게 들을 것을 생각하고, 얼굴빛은 온화할 것을 생각하고, 용모는 공손할 것을 생각하고, 말은 성실할 것을 생각하고, 일은 공경할 것을 생각하고, 의심스러운 것은 물을 것을 생각하고, 분노가 치밀 때에는 뒤에 어려움이 있을 것을 생각하고, 이득을 보면 의리를 생각한다.[君子有九思 視思明 聽思聰 色思溫 貌思恭 言思忠 事思敬 疑思問 忿思難 見得思義]” 하였다.

구용사물[九容四勿]  구용(九容)은 예기(禮記) 옥조(玉藻)에 나오는 군자가 몸을 닦는 데에 마땅히 지녀야 할 아홉 가지, 즉 족용중(足容重)・수용공(手容恭)・목용단(目容端)・구용지(口容止)・성용정(聲容靜)・두용직(頭容直)・기용숙(氣容肅)・입용덕(立容德)・색용장(色容莊)으로 신체 아홉 부분의 용태를 단속하는 자세를 이른다. 사물(四勿)은 논어(論語) 안연(顔淵)에 나오는 예(禮)에 의해 경계해야 될 네 가지 조목으로, 공자가 극기복례(克己復禮)를 말하자 안연이 그 상세한 조목을 물었을 때, 공자가 “예가 아니면 보지 말며, 예가 아니면 듣지 말며, 예가 아니면 말하지 말며, 예가 아니면 움직이지 말라.[非禮勿視 非禮勿聽 非禮勿言 非禮勿動]”고 이른 사사로움을 이길 네 가지 실천 강령을 말한다.

구용지[口容止]  입은 꼭 다물어야 함. 입은 말할 때와 음식을 먹을 때 이외에는 항상 다물어야 함을 이른다.

구용치수[求龍治水]  용치수(龍治水)는 음력 정월에 처음 드는 진일(辰日), 즉 용의 날을 구하는 방법이다. 첫 번째 진일이 1월 1일이면 ‘일룡치수(一龍治水)’라고 하고, 1월 6일이면 ‘육룡치수(六龍治水)’라고 하는 식으로 ‘십이룡치수(十二龍治水)’까지이다. 용은 비를 상징하기 때문에 용의 수에 따라 그해의 강수량을 점쳤는데, 앞에 붙은 숫자가 작으면 그해에 강수량이 적고 숫자가 크면 강수량이 많다는 식이었다. 간지기일법(干支紀日法)만을 이용하여 한재(旱災)나 수해에 관한 점복을 치는 방법이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