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금곡주령[金谷酒令]~금곡주수[金谷酒數]~금곡타루[金谷墮樓]


금곡장[金谷障]  진(晉) 나라 석숭(石崇)의 금보장(錦步障)을 말하는데, 귀인(貴人)들이 출행할 때 바람이나 먼지를 막기 위해 치는 비단 장막이다.

금곡주[金谷酒]  금곡은 진(晉)의 부호 석숭(石崇)이 하양(河陽)에 둔 별장(別莊) 이름이다. 석숭(石崇)이 금곡원(金谷園)으로 손님들을 초청하여 연회를 하면서 시를 짓지 못하면 벌주로 세 말[斗] 술을 마시게 했다. 이백(李白)의 춘야연도리원서(春夜宴桃李園序)에 “만약 시를 이루지 못하면 금곡의 벌주 수대로 벌을 받으리라.[如詩不成罰依金谷酒數]”라는 말이 있다.

금곡주령[金谷酒令]  주령(酒令)은 술잔을 돌리는 규칙이다. 진(晉)나라 석숭(石崇)이 자신의 정원인 금곡원(金谷園)에서 빈객들과 연회를 열고 시를 짓지 못한 사람에게는 세 말의 벌술을 내렸다는 고사가 있다. <古文眞寶後集 春夜宴桃李園序>

금곡주수[金谷酒數]  술자리에서 술 석 잔을 벌주로 마시는 것을 가리킨다. 금곡원(金谷園)은 진(晉)나라 때 석숭(石崇)이 금곡간(金谷澗)에 조성한 정원으로 그는 이곳에 빈객들을 초청하여 연회를 열었다고 하는데, 석숭이 금곡시서(金谷詩序)에 “각자에게 시를 지어 소회를 풀어내게 하고 그렇게 하지 못하는 사람에게 벌주로 술 세 말을 마시게 했다.[遂各賦詩, 以敘中懷, 或不能者, 罰酒三斗.]”라고 한 이후 시문을 쓰는 자리에서 시를 짓지 못한 사람에게 벌주를 마시게 하는 풍속이 유행하였다. 이백(李白)의 춘야연도리원서(春夜宴桃李園序)에 “만일 시를 짓지 못하면 금곡원의 주수에 따라 벌주를 마시게 하리라.[如詩不成 罰依金谷酒數]”라고 하였다.

금곡지벌[金谷之罰]  연회 석상에서 벌주(罰酒)를 마시는 것을 말한다. 금곡은 진(晉)나라의 부호였던 석숭(石崇)이 하양(河陽)에 둔 별장(別莊) 이름이다. 석숭이 금곡에서 잔치를 베풀어 사람들과 술을 마시면서 시를 읊게 하였는데, 시를 읊지 못할 경우에는 벌주로 술 세 잔을 마시게 하였다. <晉書 卷33 石崇列傳> 이백(李白)의 춘야연도리원서(春夜宴桃李園序)에 “만일 시를 짓지 못하면 금곡원의 주수에 따라 벌주를 마시게 하리라.[如詩不成 罰依金谷酒數]”고 하였다.

금곡치[金曲卮]  술잔. ‘金屈卮(금굴치)’로도 쓴다. 당(唐)나라 시인 우무릉(于武陵)의 시 권주(勸酒)에 “그대에게 금굴치 술잔으로 권하노니, 가득 부은 술 모름지기 사양치 말게나. 꽃이 필 때는 바람과 비가 많은 법, 사람들 살아가는 데에는 이별도 많다네.[勸君金屈卮 滿酌不須辭 花發多風雨 人生足別離]”라고 하였다.

금곡타루[金谷墮樓]  진(晉) 나라 때 부호(富豪) 석숭(石崇)의 애기(愛妓)인 녹주(綠珠)가 금곡원(金谷園)의 청량대(靑涼臺)에서 떨어져 자살한 것을 말한다.

금곡타루인[金谷墮樓人]  석숭(石崇)의 애첩 녹주(綠珠)를 이른다. 석숭은 진(晉) 나라 사람으로 형주자사(荊州刺史)를 지냈고 또한 큰 부자였는데, 애첩 녹주 때문에 잡혀가게 되자 금곡원에서 마지막 연회를 베풀고서 이 사실을 녹주에게 말하니 녹주는 죽음으로써 절개를 지키겠다고 다짐하고 누대에서 뛰어내려 자살하였다. <晉書 卷33>

금곡행[金谷行]  금곡(金谷)은 진(晉)나라 석숭(石崇)의 별장인 금곡원(金谷園)이다. 석숭은 금곡원에서 극도로 호사스러운 생활을 하였지만, 자신의 애첩 녹주(綠珠)를 달라는 권신 손수(孫秀)의 요구를 거절했다가 그의 모함에 걸려들어 온 집안이 몰락당하였다. 이를 주제로 하여 부귀영화의 허망함을 노래한 것으로, 원(元)나라 양환(楊奐)의 시가 있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