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공궐[蛩蹷]~공규[孔戣]~공규지이의[孔戣之二宜]


공궐[蛩蟨]  공(蛩)은 공공거허(蛩蛩距虛)라는 짐승의 약칭인데, 궐(蟨)이라는 짐승은 앞발은 짧고 뒷발은 길어서 잘 달리지 못하므로, 항상 공공거허에게 감초(甘草)를 뜯어 먹여 주고 급한 일이 있을 때는 그의 등에 업혀 도망쳐서 위기를 모면한다는 고사에서 온 말로, 전하여 서로 의지하는 것을 비유한다.

공궐[蛩蹷]  서로 의지하는 것을 비유한 말. 공(蛩)은 공공(蛩蛩)으로 북해(北海)에서 사는 짐승인데 말처럼 생겼고, 궐(蹷)이라는 짐승은 생김새가 앞발은 짧고 뒷발은 길어서 빨리 달리지 못하므로, 항시 공공이 좋아하는 감초(甘草)를 구해다가 먹이고, 궐이 급한 때를 당하면 공공이 꼭 등에 궐을 업고 도망한다고 한다. <淮南子 道應訓>

공규[孔戣]  공자의 38대손이다. 당 목종(唐穆宗) 때 공규가 상서좌승(尙書左丞)으로 있다가 73세가 되자 사직을 청하였는데, 목종은 그를 예부 상서(禮部尙書)로 삼고서 번거로운 정사는 담당하지 않게 하면서 종신토록 녹봉을 주는 등 융숭하게 예우하며 면직시키지 않았다. 공규가 그래도 사직하려 하자 이부시랑(吏部侍郞) 한유(韓愈)가 까닭을 물었는데, 공규가 답하기를 “나는 나이가 지극히 많으니 이것이 떠나야 할 첫 번째 이유이고, 나는 좌승으로 있으면서 낭관(郎官)을 진퇴시키지 못하고 오직 재상이 하는 대로 따라하기만 하였으니 이것이 떠나야 할 두 번째 이유이다.”라고 하였다. 공규는 끝내 면직되지 않았다. <唐宋八家文 卷6 唐正議大夫尙書左丞孔公墓誌銘>

공규[孔戣]  당(唐) 나라의 명신(名臣)인 공소부(孔巢父)의 종자(從子)로 자는 군엄(君嚴)인데, 진사시(進士試)에 급제하고 시어사(侍御史)가 되어 직간(直諫)을 일삼았으며 화주자사(華州刺史)와 영남절도사(嶺南節度使)로 재임 중 민폐(民弊)를 끼치는 진상을 폐지하도록 진언(進言)하였다. <舊唐書 卷154 孔巢父傳 孔戣>

공규[孔戣]  당(唐) 나라의 명신이다. 헌종(憲宗) 때 간의대부(諫議大夫)가 되어 이섭(李涉)의 망상(罔上)하는 죄상을 탄핵하고 이소화(李少和)·최이간(崔易簡)의 옥사(獄事)를 판결했으며, 목종(穆宗) 때에 사퇴를 빌자, 한유(韓愈)가 “조정에 공규 같은 인재는 3~4명 밖에 되지 않으니, 사퇴를 만류해야 한다.”라 하였다. <新唐書 孔戣傳>

공규[孔戣]  당나라 사람으로 자는 군엄(君嚴), 시호는 정(貞), 공자의 38세손이다. 진사 출신으로 시어사(侍御史)·간의대부(諫議大夫)·상서좌승(尙書左丞)·화주자사(華州刺史)·영남 절도사(嶺南節度使) 등을 거쳐 예부상서(禮部尙書)에 이르렀다. <唐書 卷163 孔戣傳>

공규[孔戣]  자는 군엄(君嚴)이다. 원화(元和) 초에 간의대부(諫議大夫)가 되어 시정(時政)에 관한 직언을 한 바 있고, 강직(剛直)과 청검(淸儉)으로 가는 곳마다 많은 치적을 남겼다. 목종(穆宗)의 총애를 받아 벼슬이 상서좌승(尙書左丞)에 이르렀으나 누차 사직을 요청하니, 조서를 내려 예부 상서(禮部尙書)로 치사(致仕)하게 하고 많은 포상을 주었으며, 한(漢)나라가 선비를 대우하던 예에 따라 특별대우를 하였다. <舊唐書 卷154 孔戣列傳>

공규지이의[孔戣之二宜]  공규는 당나라 사람으로 공자의 38세손이다. 상서좌승(尙書左丞)으로 있다가 73세에 치사를 하였다. 아직 기력이 정정한데 왜 치사를 하느냐고 한유(韓愈)가 묻자 “내가 감히 임금에게 요구할 수 있겠는가? 내 나이가 찼으니, 마땅히 떠나야 하는 첫째 이유이다. 내가 좌승이 되어 낭관을 올바로 등용하거나 물리치지 못하고 오직 재상이 하는 대로 따를 뿐이니, 마땅히 떠나야 하는 둘째 이유이다.[吾敢要君 吾年至 一宜去 吾爲左丞 不能進退郞官 唯相之爲 二宜去]”라고 대답하였다. <昌黎集 卷33 唐正議大夫尙書左丞孔公墓誌銘>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