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자불락[今者不樂]~금자시회문서[錦字詩回文書]~금자오상아[今者吾喪我]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금자금사심[琴者禁邪心], 금자불락[今者不樂], 금자서[錦字書], 금자시[錦字詩], 금자시회문서[錦字詩回文書], 금자오상아[今者吾喪我], 금자요상귤[金子耀霜橘]
금자광록대부[金紫光祿大夫], 금자금사심[琴者禁邪心], 금자불락[今者不樂], 금자서[錦字書], 금자시[錦字詩], 금자시회문서[錦字詩回文書], 금자오상아[今者吾喪我], 금자요상귤[金子耀霜橘]
금자[錦字] 비단에 수놓은 글자로, 본디 진(晉) 나라 때 두도(竇滔)의 처(妻)로 여류 문인(女流文人)이었던 소혜(蘇蕙)가 남편 두도(竇滔)가 진주 자사(秦州刺史)가 되어 멀리 유사(流沙)…
금인언단[今因言端], 금인여두[金印如斗], 금인조[金人操], 금인지계[金人之戒], 금인함[金人緘], 금일소몽 계고지력[今日所蒙 稽古之力], 금일소위 명일난개[今日所爲 明日難改], 금일지안자[今日之顔子], 금일파조회식[今日破趙會食]
금인[金印] 고대의 제왕 또는 고관들이 사용하던 금으로 만든 인새(印璽), 즉 인장(印章)이다. 관직(官職)을 가리키기도 한다. 소철(蘇轍)의 시 관포어(觀捕魚)에 “사람 되어 이런…
금의일식[錦衣一食], 금의주행[錦衣晝行], 금의환향[金衣還鄕], 금이[金夷], 금이식채위류성[禽以食采爲柳姓], 금이이정학양신[琴以怡情鶴養神], 금익사[金翼使]
금의[琴意], 금의[錦衣], 금의공자[錦衣公子], 금의국상[金衣菊裳], 금의귀래[錦衣歸來], 금의상경[錦衣尙褧], 금의야행[金衣夜行], 금의옥[錦衣獄], 금의옥대[錦衣玉帶], 금의옥식[錦衣玉食], 금의위[錦衣衛]
금위보[禁衛保], 금위주불자교[金爲注不自巧], 금유사가지[金有四可知], 금융[金狨], 금은기[金銀氣], 금은대[金銀臺], 금은현전관자[金銀見錢關子], 금은화[金銀花]
금운[金韻], 금원[金源], 금원[金元], 금원산[金猿山], 금원파목[禁苑頗牧], 금월[金鉞], 금월증경조고인[今月曾經照古人]
금우[今雨], 금우[襟牛], 금우[金牛], 금우도[金牛道], 금우로착[金牛路鑿], 금우불래[今雨不來], 금우불래구우래[今雨不來舊雨來], 금우역[金牛驛], 금우옥곤[金友玉昆]
금용감옥응[金舂撼玉應], 금용성[金墉城], 금용주락[金容珠絡], 금용지론[金墉之論], 금용지변[金墉之變], 금용지화[金墉之禍]
금왈종혁[金曰從革], 금왕고악장[今王鼓樂章], 금왕지절[金旺之節], 금요[金遼], 금요홍[擒姚泓], 금욕[錦褥], 금용[金墉]
금온[禁醞], 금옹[金甕], 금와[金蛙], 금와석[金蛙石], 금와지일영[金蛙之日影], 금완[琴阮], 금완[金椀], 금완[金盌], 금완은해[金椀銀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