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자독온근[君子櫝韞瑾]~군자무본[君子務本]~군자무쟁[君子無爭]
군자독온근[君子櫝韞瑾], 군자득여[君子得輿], 군자루[君子樓], 군자무본[君子務本], 군자무소쟁[君子無所爭], 군자무쟁[君子無爭]
군자독온근[君子櫝韞瑾], 군자득여[君子得輿], 군자루[君子樓], 군자무본[君子務本], 군자무소쟁[君子無所爭], 군자무쟁[君子無爭]
군자노심소인노력[君子勞心 小人勞力], 군자대거정[君子大居正], 군자대로행[君子大路行], 군자도소[君子道消], 군자도장[君子道長], 군자도장진[君子道長辰]
군자곡[軍資穀] 연분(年分: 전세田稅의 율)을 9등으로 정해서 전세(田稅)를 거두었는데, 그 전세가 많은 것은 본읍에 유치하였으며, 이것을 군자(軍資)라 부르고 진제(賑濟)에 사용하였다. <經世遺表…
군자[君子] 교양과 덕망을 아울러 갖춘 사람. 유학에서 제시하는 이상적인 인간상. 학식이 높고 행실이 어진 사람. 학식과 덕망이 높은 사람. 높은…
군인신직[君仁臣直], 군인자[君人者], 군인즉신직[君仁則臣直], 군인지언삼[君人之言三], 군인협내조 구위군리[軍人挾內詔 求爲軍吏]
군의[群疑], 군의만복[群疑滿腹], 군의부전[群蟻附羶], 군의비등[群議沸騰], 군의어국 국의어민[君依於國 國依於民], 군이부당[群而不黨], 군이위난 기이야장지의[君以爲難 其易也將至矣], 군이위이 기난야장지의[君以爲易 其難也將至矣], 군이차시 역이차종[君以此始 亦以此終]
군웅할거[群雄割據], 군위[軍威], 군위강강[君爲綱綱], 군위병졸[軍威兵卒], 군위신강[君爲臣綱], 군위신강부위자강[君爲臣綱父爲子綱], 군위유지자[君謂有地者], 군위지언[群僞之言], 군음어하[群飮於河], 군음자살[群飮者殺]
군요[裙腰], 군요일도[裙腰一道], 군욕신사[君辱臣死], 군용[軍容], 군용국용[軍容國容], 군용불입국 국용불입군[軍容不入國 國容不入軍], 군우신로[君憂臣勞]
군왕[群枉], 군왕선[郡王宣], 군왕여제좌법궁[君王如帝坐法宮], 군왕옹수황금대[君王擁篲黃金臺], 군왕침과[君王枕戈], 군왕후[君王后]
군옥[群玉], 군옥당[群玉堂], 군옥부[群玉府], 군옥산[群玉山], 군옥산두가학래[群玉山頭駕鶴來], 군옥지부[群玉之府], 군옹[群顒]
군어변폭[窘於邊幅] 당 현종 때 서견(徐堅)이 당시 문장가와 문장의 특징을 질문하자, 장열(張說)이 동시대의 문학가 장구령(張九齡)의 문장에 대해 평한 말이다. 장열이 “한휴의…
군아[君牙] 주(周)나라 목왕(穆王)을 섬긴 어진 신하로, 대사도(大司徒)를 지냈다. 서경(書經) 군아(君牙)에 이르기를 “아, 군아야. 네 할아버지와 네 아버지가 대대로 충정(忠貞)을 돈독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