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기득환실[旣得患失]~기락구[起落句]~기란패애[棄蘭佩艾]


기득[記得]  기억함. 기억하고 있다.

기득[豈得]  어찌 ~할 수 있으랴.

기득환실[旣得患失]  논어(論語) 양화(陽貨)에 “비루한 자들과 함께 임금을 섬길 수 있겠는가. 부귀를 얻기 전에는 얻으려고 안달하고, 얻고 나서는 잃을까 걱정하니, 참으로 잃을까 걱정한다면 못 하는 짓이 없게 될 것이다.[子曰 鄙夫可以事君也與 其未得之也 患得之 旣得之 患失之 苟患失之 無所不至矣]”라는 공자의 말이 나온다.

기라[綺羅]  무늬가 있는 비단. 지체 있는 이들이 입는 비단옷 또는 그런 옷을 입은 사람을 가리킨다. 화려한 삶을 가리킨다. 화려한 휘장을 가리키기도 한다.

기라성[綺羅星]  밤하늘에 반짝이는 수많은 별이라는 뜻의 일본식 한자 조어(造語)로, 위세(威勢) 있거나 훌륭한 사람들, 또는 그들이 많이 모인 모양을 비유하여 이르는 말이다.

기라연[綺羅筵]  화려하게 차려 입은 사람들이 즐기는 잘 차려진 잔치를 이른다.

기라인[綺羅人]  비단옷을 차려 입은 사람. 곧 아름다운 여인을 이른다.

기락구[起落句]  율시(律詩)를 짓는 기초 격식인 기(起)・승(承)・전(轉)・낙(落; 혹은 결(結)로 쓰기도 함)에서 온 말로서 곧 율시의 명칭이다.

기란패애[棄蘭佩艾]  좋은 것을 버리고 나쁜 것을 갖는다는 뜻이다. 굴원(屈原)의 이소경(離騷經)에 “어찌 전날의 방초(芳草)가 지금은 소애(蕭艾)로 되었는고.[何昔日之芳草兮 今直為此蕭艾也]”라고 한 말에서 유래한 것이다.

기랍완부극[幾蠟阮孚屐]  밀칠한 나막신이 닳도록 여러 번 구경온다는 말이다. 세설신어(世說新語) 아량(雅量)에 “어떤 사람이 완부를 찾아가니, 그가 직접 불을 불면서 나막신에 밀칠을 하고 있었다. 그러다가 그는 스스로 ‘평생에 나막신을 몇 번이나 더 신을는지 모르겠다.’고 탄식하였다.”라고 하였다.

기랑[騎郞]  병조(兵曹)의 낭관(郞官)으로 황제가 외출할 때에 말을 타고 황제를 호위하였다. 병조의 별칭이 기조(騎曹)이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