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심[機心] 속이는 마음. 간교한 심보. 기회를 보고 움직이는 마음. 이해득실을 따지는 마음. 자기의 양심을 속임. 자신의 사적인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교묘하게 도모하는 마음을 말한다. 기계지심(機械之心). 기교지심(機巧之心).
기심[機心] 기심(機心)은 이해와 득실을 따지는 마음으로, 기심을 잊었다는 것은 마음이 순수하여 저절로 자연과 일체가 됨을 말한 것이다. 옛날 바닷가에 살던 한 사람이 갈매기를 아주 좋아하여 매일 바닷가로 나가서 갈매기와 놀다 보니, 찾아온 갈매기가 100마리도 넘었는데, 한번은 그의 아비가 말하기를 “내가 들으매 갈매기들이 모두 너를 따라 노닌다 하니, 네가 갈매기를 잡아오너라. 내가 갈매기를 완상하고 싶다.[吾聞鷗鳥皆從汝游, 汝取來, 吾玩之.]”고 하므로, 이튿날 다시 바닷가로 나가 보니, 갈매기들이 사람의 교사(巧邪)한 마음을 알아채고는 공중에서 빙빙 돌기만 하고 내려오지 않았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列子 黃帝> 참고로 당나라 이백(李白)의 시 고풍(古風)에 “나 또한 마음을 씻은 자이니, 기심을 잊고 너를 따라 노닐련다.[吾亦洗心者, 忘機從爾遊.]”라고 하였고, 소식(蘇軾)의 시 강교(江郊)에 “낚시만 생각하고 고기는 잊고서, 이 낚싯대와 줄만 즐기노라. 한가로이 유유자적하며 사물의 변화를 완상한다.[意釣忘魚 樂此竿綫 優哉悠哉 玩物之變]”라고 하였다.
기심[機心] 기심(機心)은 교사(巧詐)하는 마음. 꾸미고 속이는 마음으로, 기심이 하나도 없는 어떤 사람에게 갈매기가 수도 없이 날아와 함께 노닐었다는 ‘구로망기(鷗鷺忘機)’의 고사에서 온 말이다. 열자(列子) 황제(黃帝)에 “바닷가에 사는 어떤 사람이 갈매기를 몹시 좋아하여 매일 아침 바닷가로 가서 갈매기와 놀았는데, 날아와서 노는 갈매기가 백 마리도 넘었다. 그의 아버지가 ‘내가 들으니 갈매기들이 모두 너와 함께 논다고 하던데, 네가 그 갈매기를 잡아와라. 나 역시 갈매기를 가지고 놀고 싶다.’라 하였다. 다음날 바닷가로 나가니 갈매기들이 날아다니기만 하고 아래로 내려오지 않았다.[海上之人有好漚鳥者, 每旦之海上, 從漚鳥游, 漚鳥之至者百住而不止. 其父曰: 吾聞漚鳥皆從汝游, 汝取來! 吾玩之. 明日之海上, 漚鳥舞而不下也.]”는 이야기가 나온다. 이는 전에는 갈매기를 어떻게 하겠다는 기심이 조금도 없었기 때문에 갈매기들도 무심하게 가까이 한 것이요, 뒤에는 갈매기를 잡겠다는 기심이 있기 때문에 갈매기가 이를 알고 피한 것이다.
기심[機心] 기심은 계교(計較)하는 마음. 기심은 꾀를 부리는 마음을 말한다. 자공(子貢)이 초(楚)나라에 노닐고 진(晉)나라로 돌아가면서 한음(漢陰)이란 곳을 지나다 보니, 한 노인이 우물을 파서는 항아리를 안고 그 속으로 들어가 물을 퍼서 밭에 붓고 있었다. 이에 자공이 “기계(機械)를 사용하면 하루에 백 이랑의 밭에 물을 댈 수 있어 힘은 적게 들고 효과는 많은데 어른께서는 해 보고 싶지 않습니까?” 하니, 그 노인이 성난 기색을 띠고 비웃으며 말하기를 “나는 내 스승에게서 들으니, ‘기계가 있는 자는 반드시 기사(機事)가 있고 기사가 있는 자는 반드시 기심(機心)이 있는 법이라, 기심이 가슴 속에 있으면 순백(純白)이 갖추어지지 않고 순백이 갖추어지지 않으면 신생(神生)이 안정되지 않고 신생이 안정되지 않으면 도가 실리지 않는다.’ 하였다. 내가 모르는 것이 아니라 부끄러워서 사용하지 않을 뿐이다.” 하였다. <莊子 天地>
기심[機心] 기심은 계교(計較)하는 마음. 사사로운 목적을 위해 기심은 꾀를 부리는 마음을 말한다. 장자(莊子) 천지(天地)에 나오는 이야기로, 춘추 시대 공자(孔子)의 제자 자공(子貢)이 초(楚)나라에 노닐고 진(晉)나라로 돌아오는 길에 한수(漢水)의 남쪽을 지나다 보니, 한 노인이 우물을 파서는 항아리를 안고 그 속으로 들어가 물을 퍼서 밭에 붓고 있었다. 이에 자공이 “기계가 있다면 하루에 상당히 많은 밭에 물을 줄 수 있을 것입니다. 힘을 아주 적게 들이고도 그 효과는 클 것입니다. 왜 기계를 쓰지 않으십니까? 나무에 구멍을 뚫어 만든 기계인데 뒤는 무겁고 앞은 가볍습니다. 손쉽게 물을 풀 수 있는데 빠르기가 물이 끓어 넘치는 것 같습니다. 그 이름을 용두레[桔槹 용두레]라고 합니다.”라고 하니, 그 노인이 성난 기색을 띠었다가 웃으며 말하기를 “내가 우리 선생님께 듣기로는 기계를 가진 자는 반드시 기계를 쓸 일이 생기게 되고, 기계를 쓸 일이 있는 사람은 반드시 기계에 대해 마음을 쓸 일이 있게 되고, 기계에 대한 마음 쓰임이 가슴에 차 있으면 순박함이 갖추어지지 않게 되고, 순박함이 갖추어지지 않게 되면 정신과 성격이 불안정하게 되고, 정신과 성격이 불안정한 사람에게는 도가 깃들지 않게 된다고 했습니다. 나는 기계의 쓰임을 알지 못해서 쓰지 않는 것이 아니라 부끄러워서 쓰지 않고 있는 것입니다.[吾聞之吾師, 有機械者心有機事, 有機事者必有機心. 機心存於胸中, 則純白不備. 純白不備, 則神生不定. 神生不定者, 道之所不載也. 吾非不知, 羞而不爲也.]”라고 대답한 고사에서 유래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