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기지이력[其至爾力]~기지이의[紀之以義]~기지지성[器之之誠]


기지이력[其至爾力]  맹자(孟子) 만장 하(萬章下)에 “지(智)는 비유하자면 공교함이요, 성(聖)은 비유하자면 힘이니, 백 보(步) 밖에서 활을 쏜다고 가정한다면, 과녁에까지 이르는 것은 너의 힘이지만 과녁에 맞는 것은 너의 힘이 아니다.[智, 譬則巧也. 聖, 譬則力也. 由射於百步之外也, 其至, 爾力也. 其中, 非爾力也.]”라고 하였다.

기지이의[紀之以義]  의(義)로써 기강을 세움. 예기(禮記) 경문(經文)에 “이 때문에 성인(聖人)이 전대(前代)의 양로의 일을 기술할 적에 효제(孝悌)의 대도(大道)로써 생각하며, 공경으로써 사랑하며, 예(禮)로써 행하며, 효도로 봉양하는 도(道)로써 닦으며, 의(義)로써 기강을 세우며, 인(仁)으로써 끝마친다. 이 때문에 옛사람이 한 번 양로하는 일을 거행함에 사람들이 모두 그 덕의 구비됨을 알았던 것이다. 옛날의 군자는 큰일을 거행함에 반드시 그 끝마침과 시작함을 삼갔으니, 사람들이 어찌 깨닫지 않을 수 있겠는가. 서경(書經) 열명(兌命)에 ‘일의 끝마침과 시작함을 생각하여 항상 학(學)에서 한다.’라고 하였다.[是故聖人之記事也, 慮之以大, 愛之以敬, 行之以禮, 修之以孝養, 紀之以義, 終之以仁. 是故古之人一擧事, 而衆皆知其德之備也. 古之君子擧大事, 必愼其終始, 而衆安得不喩焉? 兌命曰:念終始, 典于學.]”라고 한 데서 보인다.

기지적족이지인지과 이부지기소이과[其知適足以知人之過 而不知其所以過]  그 사람의 지혜는 다만 다른 사람의 과실을 아는 데 충분할 뿐이고 자신의 과실을 알지는 못함. 적(適)은 ‘다만’, 인지과(人之過)는 ‘다른 사람의 과실’, 기소이과(其所以過)는 ‘자기가 저지른 과실’이니, 남(백성들)의 잘못의 원인이 자기에게 있음을 알지 못한다는 뜻이다. 장자(莊子) 제4편 인간세(人間世)에 보인다.

기지제유기력이천하화평[豈知帝有其力而天下和平]  태평성대를 구가함을 말한다. 요(堯)임금 때에 어느 노인이 배불리 먹고 배를 두드리며 흙덩이를 치면서[擊壤] 노래하기를, “우물 파서 물을 마시고 밭 갈아서 밥을 먹으니, 임금의 힘이 나에게 무슨 상관이 있으랴.[鑿井而飮 耕田而食 帝力何有於我哉]”라고 하였다. <高士傳 上>

기지지성[器之之誠]  기지(器之)는 송(宋) 철종(哲宗)・휘종(徽宗) 때의 직신(直臣) 유안세(劉安世)의 자(字). 간신 장돈(章惇)・채변(蔡卞)이 용사(用事)하자, 유안세를 모함하여 원악(遠惡)의 주군(州軍)으로 7년 동안 7주(州)를 돌아다녔는데, 하루도 병이 든 적이 없었다. 어떤 사람이 “어떻게 하여 그렇게 되었느냐.”고 묻자 “정성[誠]스러웠을 뿐이다.”라고 하였다 한다. 유안세는 ‘정성[誠]’에 대해서 사마광(司馬光)의 가르침을 받아 평생 힘써 행했다 한다. <宋子大全隨箚 卷1> <宋史 卷345 劉安世列傳> <宋元學案 卷20 元城學案>

기지차이[技止此耳]  조그마한 기량을 이른다. 유종원(柳宗元)의 검지려(黔之驢)에 보인다. 검주(黔州)에는 원래 당나귀가 없었는데, 한 호사가가 당나귀를 배에 싣고 들어가서 검주의 산기슭에 풀어놓았다. 호랑이가 처음에는 당나귀의 덩치가 큰 것을 보고는 신기하게 여겼다가, 다시 당나귀의 울음소리를 듣고는 매우 놀라 달아나며 자기를 잡아먹을까 걱정하였다. 그 후 호랑이는 오며 가며 보았지만 당나귀에게 별다른 재주가 없어 보였기 때문에 차츰차츰 당나귀에게 바싹 다가갔다. 그러다가 어느 날 가까이 가서 한번 부딪쳐 보았는데, 당나귀가 노여움을 참지 못하고 호랑이를 발로 차자 호랑이는 기뻐하며 “네 기량이란 것이 고작 이것뿐이구나.[技止此耳]”하고서 당나귀를 잡아먹었다고 한다. <古今事文類聚 後集 卷38 毛蟲部 驢 黔之驢>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