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낙극생비[樂極生悲]~낙극애래[樂極哀來]~낙기[樂飢]~낙기락[樂其樂]


낙극생비[樂極生悲]  즐거움 끝에는 슬픈 일이 생김을 뜻한다. 유사한 표현으로 흥진비래(興盡悲來)라는 말이 있고, 반대되는 표현으로는 비극태래(否極泰來; 답답함이 다하면 편안便安함이 옴), 고진감래(苦盡甘來; 고통苦痛이 지나가면 기쁨이 옴)라는 말이 있다.

낙극생애[樂極生哀]  즐거움이 지나치면 슬픈 일이 생긴다.

낙극애래[樂極哀來]  즐거움이 극에 이르러 슬픔이 옴. 수(隋)나라 왕통(王通)의 문중자(文中子)에 “한 고조(漢高祖)의 대풍가는 편안할 때에 위태로움을 잊지 않음이니, 그것이 곧 패주가 되려는 마음을 가졌던 것인져. 한 무제(漢武帝)의 추풍가는 즐거움이 극에 이르러 슬픔이 온 것이니, 그것이 곧 회개하는 마음이 싹튼 것인져.[大風安不忘危 其覇心之存乎 秋風樂極哀來 其悔心之萌乎]”라고 하였다.

낙극애생[樂極哀生]  즐거움도 극에 달하면 슬픔이 생김.

낙금서[樂琴書]  거문고와 서책을 즐기며 보내는 전원의 흥취를 말한다. 도연명(陶淵明)의 귀거래사(歸去來辭)에 “친척들과의 정담을 즐거워하고, 거문고와 서책을 즐기면서 시름을 해소한다.[悅親戚之情話 樂琴書以消憂]”라는 말이 나온다.

낙기[樂飢]  진풍(陳風) 형문(衡門)에 “누추한 집이지만 그 아래에서 충분히 노닐고 쉴 수 있으며, 졸졸 흐르는 냇물을 보면서 굶주림을 잊고 즐길 수 있도다.[衡門之下 可以棲遲 泌之洋洋 可以樂飢]”라는 대목이 있다. 모시서(毛詩序)에 따르면, 형문(衡門)은 희공(僖公)을 이끌어 인도하는 시라고 하였다.

낙기가이필지양[樂飢可以泌之洋]  시경(詩經) 형문(衡門)에 “오두막 아래서 지낼 만하도다. 흐르는 냇물로 주린 배 달랠 수 있으니.[衡門之下 可以棲遲 泌之洋洋 可以樂飢]”라고 하였다. 주희(朱熹)는 ‘可以樂飢’에 대해 ‘냇물로 배부를 수는 없지만 즐기며 주림을 잊을 수는 있다.[泌水雖不可飽 然亦可以玩樂而忘飢也]’라고 풀이하였으나, 공영달(孔穎達)의 소(疏)에는 정현(鄭玄)의 전(箋)을 인용하여 “물로 주림을 달래는 것이니, 물을 본다는 뜻으로 보아서는 안 된다.[以水治飢 不宜視水爲義]”라고 하였다.

낙기락이이기리[樂其樂而利其利]  대학장구(大學章句) 전 3장에 “시경에 ‘아, 전왕을 잊지 못한다.’고 하였으니, 군자는 전왕의 어짊을 어질게 여기고 친하게 해주심을 친하게 여기며, 소인은 즐겁게 해주심을 즐거워하고 이롭게 해주심을 이롭게 여기니, 이 때문에 돌아가서 세상에 없는데도 잊지 못하는 것이다.[詩云:於戲! 前王不忘. 君子賢其賢而親其親, 小人樂其樂而利其利, 此以沒世不忘也.]”라고 하였다.

낙기망이이기재[樂其亡而利其灾]  망하는 것을 즐기고 재앙을 이롭게 여김. 맹자(孟子) 이루 상(離婁上)에 맹자가 말하기를 “불인(不仁)한 자와 더불어 말할 수 있겠는가? 위태로움을 편안히 여기고 재앙을 이롭게 여겨, 망하게 되는 짓을 즐거워한다. 불인하면서도 더불어 말할 수 있다면 어찌 나라를 망하게 하고 집안을 패하게 하는 일이 있겠는가?[不仁者 可與言哉 安其危而利其灾 樂其所以亡者 不仁而可與言 則何亡國敗家之有]”라고 하였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