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난왕[赧王]~난요[蘭橈]~난원계친[蘭怨桂親]~난원소객[蘭畹騷客]


난왈[亂曰]  작품의 마지막에 전편의 대의를 요약해 놓은 것이다. 초사체에서 끝에 덧붙여 자신의 감정을 서술하는 것이다.

난왕[赧王]  동주(東周)의 마지막 왕 희연(姬延)이다. 기원전 315년에서 즉위하여 기원전 256년에 죽었다. 난왕이 죽자 주(周)나라는 진(秦)나라에 병합되었는데 사마천(司馬遷)은 이 해를 주(周)나라가 멸망한 것으로 보고 있다. 태평어람(太平御覽) 권177에 황보밀(皇甫謐)의 제왕세기(帝王世紀)를 인용하여 “주 난왕은 비록 천자의 지위에 있었으나 제후들에게 핍박당해 일반 백성과 다름없었다. 백성에서 돈을 꾸고도 갚을 길이 없어 대 위로 피했다. 그래서 주나라 사람들은 그 대를 ‘피채대’라고 불렀으니, 지금 낙양 남궁의 이대가 바로 그것이다.[周赧王雖居天子之位 爲諸侯所侵逼 與家人無異 貰於民 無以歸之 乃上臺以避之 故周人因名其臺曰逃債臺 故洛陽南宮簃臺是也]”라고 기록하고 있다.

난요[蘭橈]  목란 노(棹). 작은 배의 미칭(美稱). 이때의 난(蘭)은 목란수(木蘭樹)를 가리키는데 두란(杜蘭), 임란(林蘭)이라고도 쓴다. 고시에서는 항상 난주(蘭舟), 난장(蘭槳), 난요(蘭橈) 등을 쓰는데 모두가 일종의 미칭일 뿐 반드시 목란목을 사용했다는 뜻은 아니다.

난용담[亂用餤]  시경(詩經) 소아(小雅) 교언(巧言)에 “참언(讒言)을 매우 달게 여기는지라, 난이 이 때문에 진전되도다.[盜言孔甘 亂是用餤]”라는 내용이 보인다.

난우[蘭嵎]  주태사(朱太史). 명나라 주지번(朱之蕃)을 가리킨다. 난우는 그의 호이다. 1606년(선조39) 명나라 신종(神宗)이 황손의 탄생을 알리기 위해 양유년(梁有年)과 함께 조선에 사신으로 보냈다.

난원[蘭畹]  난원은 굴원(屈原)의 이소(離騷)에 “내 이미 난초를 구원에 심었고 또 혜초를 백 묘에 심었노라.[余旣滋蘭之九畹兮 又樹蕙之百畝]”라고 하였다. 비서성(秘書省)의 이칭인 난대(蘭臺)를 가리킨다.

난원[欄垣]  담장, 울타리이다.

난원계친[蘭怨桂親]  사람이 세상에 나타나고 숨는 데 따라 형세가 다른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진서(晉書) 육기육운전론(陸機陸雲傳論)에 “是知蘭植中途, 必無經時之翠 ; 桂生幽壑, 終保彌年之丹. 非蘭怨而桂親, 豈塗害而壑利? 而生滅有殊者, 隱顯之勢異也.”라고 한 데서 보인다.

난원소객[蘭畹騷客]  난원(蘭畹)은 난초밭이란 뜻인데, 원(畹)은 밭 20묘(畝)를 뜻하며 일설에는 30묘라고도 한다. 소객(騷客)이란 곧 초 회왕(楚懷王) 때의 충신 굴원(屈原)을 가리키는데, 초사(楚辭) 이소(離騷)에 “이미 구원엔 난초를 심었고, 또 1백묘엔 혜초를 심네.[旣滋蘭之九畹兮 又樹蕙之百畝]”라고 하였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