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남과자[南果子]~남곽궤[南郭几]~남곽남우[南郭濫釪]~남곽남취[南郭濫吹]


남과자[南果子]  남과자(南瓜子)라고도 한다. 호박을 가리킨다.

남곽[南郭]  남곽은 성곽의 남쪽에 위치한 외읍(外邑)을 말하며, 춘추 시대 은사였던 남곽자기(南郭子綦)를 가리키기도 한다. 남곽자기는 초 소왕(楚昭王)의 서제(庶弟)로 자가 자기인데, 남곽에 은거했으므로 그렇게 불렀다.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 “남곽자기가 안석에 기대앉아서 하늘을 우러러 숨을 길게 내쉬자 그 멍한 모양이 마치 짝을 잃은 것 같았다. 안성자유(顔成子游)가 그를 모시고 있다가 묻기를 ‘형체는 진실로 마른나무와 같이 할 수 있고, 마음은 진실로 식은 재와 같이 할 수 있는 것인가?’ 하였다.” 하였는데, 이는 남곽자기가 은둔하며 자신을 잊은 채[喪我] 천지와 혼연히 하나가 된 모습을 형용한 말이다.

남곽궤[南郭几]  은자(隱者)의 안석(案席)을 말한다. 남곽(南郭)은 성곽의 남쪽에 위치한 외읍(外邑)을 말한 것으로, 남곽에 은거한 사람으로는 공자(孔子)의 제자인 남곽자기(南郭子綦)가 있었다.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 “남곽자기는 궤석에 앉아서 하늘을 우러르고 탄식하는데 멍하게 있는 것이 마치 자신을 잃은 것 같았다.[南郭子綦 隱几而坐 仰天而噓 嗒焉似喪其耦]”라 하였다.

남곽궤[南郭几]  남곽(南郭)의 안석은 수양이 높은 경지에 이름을 비유한 말로,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 자유(子游)가 안석에 기대어 멍하니 앉아 있는 남곽자기(南郭子綦)에게 왜 그러느냐고 묻자, 지상의 크고 작은 온갖 바람소리를 거론하면서 그 다양한 소리들이 나름대로의 의미를 각기 지니고는 있지만 조물주의 시각으로 보면 다 같은 것이라고 하고, 아울러 인간의 생활 속에 일어나는 시시비비의 논쟁도 큰 관점에서 보면 서로 다를 것이 없다고 대답한 고사를 인용한 것이다.

남곽궤전문지뢰[南郭几前聞地籟]  수양이 높은 경지에 이름을 비유한 말이다.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 “남곽자기(南郭子綦)가 안석에 기대앉아서 멍하니 마치 자신조차도 잊어버린 것처럼 하늘을 우러러 한숨을 짓고 있자, 안성자유(顔成子游)가 그 연유를 물으니, 대답하기를 “너는 사람들의 피리 소리는 들었지만 땅의 퉁소 소리는 듣지 못했을 것이다.”라고 한 데서 온 말인데, 곧 남곽자기는 천지의 대기(大氣)로 불어내는 바람 소리를 듣고 깨달은 경지에 이른 것이다. 땅의 퉁소 소리란 곧 대지(大地)에서 일어나는 모든 소리이다.

남곽남우[南郭濫釪]  남곽이 함부로 우(대나무로 만든 악기로 피리의 일종이다)를 분다는 말로, 능력이 없는 사람이 능력이 있는 것처럼 속여 외람되이 높은 자리를 차지한다는 뜻의 고사성어이다. 한비자(韓非子) 내저설(內儲說)에 “제나라의 선왕이 사람을 시켜 우를 불도록 할 때는 반드시 3백명이 불도록 하였다. 남곽 처사도 왕을 위해 우를 불기를 원했다. 선왕이 기뻐하였다. 선왕이 죽고 민왕이 즉위했다. 민왕은 독주를 좋아하였다. 그러자 그 처사는 달아나버렸다. 일설에 한의 소후가 ‘우를 부는 자가 많으므로 나는 그들 가운데 뛰어난 자인지를 알 수 없다.’고 하자 전엄이 대답하여‘한 사람 한 사람씩 불도록 하여 들어 보시면 금방 알 수 있습니다.’라고 하였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남곽남취[南郭濫吹]  남곽(南郭)이 함부로 성우(筬芋)를 분다는 뜻으로, 학예(學藝)에 전문(專門) 지식(知識)도 없이 함부로 날뜀을 두고 이르는 말이다. 한비자(韓非子) 내저설(內儲說)에 “제 선왕(齊宣王)이 피리 부는 사람 3백인을 모으려 했는데 남곽 처사가 자기도 피리를 불겠다 하니 왕이 기뻐하여 특별대우를 하였다. 그 후 선왕(宣王)이 죽고 민왕(湣王)이 임금이 되어 일일이 피리를 듣고자 하니 남곽 처사는 도망갔다 한다.”는 이야기가 있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