낭곡천예[廊曲賤隸] 행랑채 구석방에 사는 신분이 미천한 하인배를 가리킨다.
낭공[朗公] 고구려 장수왕대 후기에 태어난 승려로 서른 살 때 중국으로 유학하여 승조(僧肇) 계통의 삼론학(三論學)을 공부하고 중국 삼론종학(三論宗學)의 기초를 확립하였다. 그가 금여곡(金輿谷)에서 수행할 때 승단을 엄격하게 이끌었으므로 사람들이 그곳을 낭공곡(朗公谷)이라고 불렀다.
낭공[囊空] 주머니가 비다. 주머니에 돈이 없는 것을 가리킨다. 두보(杜甫)의 시 공낭(空囊)에 “주머니 속이 비는 게 부끄러워서, 그 속에 돈 한 푼을 남겨두었네.[囊空恐羞澁 留得一錢看]”라고 하였다.
낭공곡[朗公谷] 전진(前秦) 때의 고승 승랑(僧朗)이 금여곡(金輿谷)에서 수도하면서 승단(僧團)을 엄격하게 이끌었으므로, 그곳을 낭공곡(朗公谷)이라고 일컬었다는 고사가 전한다. <高僧傳 卷5 僧朗傳>
낭공공수삽[囊空恐羞澁] 두보(杜甫)의 공낭(空囊) 시에 “주머니가 비면 남에게 부끄러워, 일 전을 남겨서 볼 수 있게 하노라.[囊空恐羞澁 留得一錢看]”라고 하였다.
낭공귤[郎公橘] 안휘성(安徽省) 번창현(繁昌縣) 동남쪽 은정산(隱靜山) 은정사(隱靜寺)에 있는 귤나무로 남조(南朝) 시대에 창건자인 배도선사(杯度禪師)가 심었다고 전한다. 또 은정사 밖에는 십여 리에 이르는 솔숲으로 난 작은 길이 있는데, 이곳의 소나무도 모두 배도 선사가 직접 심었다고 한다. 배도가 석장을 던져 터를 정하자, 강신(江神)이 나무를 보내오는 등 여러 종류의 신이(神異)함이 나타났다고 한다. 이백(李白)의 시 송통선사환남릉은정사(送通禪師還南陵隱靜寺)에 “은정산에 있는 절 소문 듣기로, 산과 물에 기이한 자취 많다네. 낭공귤은 바위 위에 심어져 있고, 배도 스님 심은 솔 문 앞까지 깊다네.[我聞隱靜寺 山水多奇踪 岩種朗公橘 門深杯度松]”라고 하였다.
낭공수삽[囊空羞澁] 진(晉)나라 때 완부(阮孚)가 검은 주머니[皂囊] 하나를 차고 회계(會稽) 지방을 유람할 적에 한 나그네가 완부에게 주머니 속에 무엇이 들었느냐고 묻자, 완부가 말하기를 “다만 일전으로 주머니를 지키게 하노니, 주머니가 텅 비면 궁핍할까 염려해서이다.[但有一錢守囊 囊空羞澁]”라고 한 데서 온 말로, 생활이 아주 곤궁함을 뜻한다. 두보(杜甫)의 공낭(空囊) 시에 “주머니가 비면 부끄러울까 두려워, 일전을 남겨서 볼 수 있게 하노라.[囊空恐羞澁 留得一錢看]”라고 하였다. <杜少陵詩集 卷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