爲人性僻耽佳句[위인성벽탐가구] 사람됨이 편벽하니 좋은 글귀 탐닉하여
語不驚人死不休[어불경인사불휴] 남 놀래지 못하면 죽어도 쉬지 않았는데
老去詩篇渾漫興[노거시편혼만흥] 늙어가니 시들 모두 즉흥적으로 흐르고
春來花鳥莫深愁[춘래화조막심수] 봄이 와 꽃과 새에도 깊은 시름이 없네
新添水檻供垂釣[신첨수함공수조] 물가 난간 새로 덧대 낚시 드릴 설비하고
故著浮槎替入舟[고저부사체입주] 일부러 뗏목 붙여 배 타는 것 대신하네
焉得思如陶謝手[언득사여도사수] 어찌하면 시상이 도·사 같은 사람 찾아
令渠述作與同遊[영거술작여동유] 그들에게 지으라하고 더불어 즐겨 볼까
–
<江上値水如海勢聊短述강상치수여해세료단술 / 강 위에서 기세가 바다 같은 물을 만나 멋대로 짧게 짓다 / 杜甫두보>
–
- 두보[杜甫] 성당기(盛唐期)의 시인으로 자는 자미(子美), 호는 소릉야로(少陵野老), 두릉야로(杜陵野老), 두릉포의(杜陵布衣) 등이 있다. 양양(襄陽) 지방 출신으로 과거에 응시했으나 실패하고 40대인 천보(天寶) 14년(755년)에야 비로소 벼슬길에 오르게 된다. 안녹산(安祿山)의 난 당시 장안에서 반군에게 잡혔다가 탈출, 숙종(肅宗)의 진영에 합류하여 좌습유(左拾遺)와 검교공부원외랑(檢校工部員外郞)을 지낸 적이 있어서 사람들이 그를 두습유(杜拾遺), 두공부(杜工部) 등으로 불렀고, 또 장안성 밖 소릉(少陵)의 초당(草堂)에서 지낸 적이 있기 때문에 두소릉(杜少陵), 두초당(杜草堂)으로 부르기도 했다. 그는 시선(詩仙) 이백(李白)과 함께 이두(李杜)로 불렸는데, 두목(杜牧)과 이상은(李商隱)의 합칭인 소이두(小李杜)와 구별하기 위해 대이두(大李杜)라고도 부른다. 문학을 발판 삼아 벼슬로 나아가려던 그의 꿈이 큰 성취를 이루지 못함으로써 짧은 한때를 빼고는 평생을 가난과 병으로 고생을 겪어야 했다. 중국의 서북 지역을 유랑하다가 결국 병사했다. 벼슬살이와 달리 문학, 특히 시에서 이룬 성취가 대단하였다. 남긴 시가 1500여 수에 달하며 작품집으로 두공부집(杜工部集)이 있다. 후세 사람들에게 그 자신은 시성(詩聖)으로, 또 그의 시는 시사(詩史)라는 영예로운 칭호를 얻었다.
- ❍ 위인[爲人] 사람의 됨됨이. 사람의 품. 됨됨이로 본 그 사람. 논어(論語) 학이(學而)에 “사람됨이 부모님 잘 모시고 형제간에 우애 돈독하며 공손하면서 윗사람 범하기를 좋아하는 사람은 거의 없다.[其爲人也孝弟, 而好犯上者, 鮮矣.]”라고 하였다.
- 노거[老去] 노년. 만년. 세상을 뜨다. 첨차 늙어가다. 점점 노쇠해가다. 구양수(歐陽脩)의 시 증왕개보(贈王介甫)에 “나이 들어도 포부가 사라지지 않을 테니, 뒤에 올 어떤 이가 그대와 다툴 수 있겠는가.[老去自憐心尙在 後來誰與子爭先]”라고 하였다.
- 시편[詩篇] 시(詩)의 성편(成篇). 시를 모아 놓은 책(冊). 한 편의 시. 시를 편찬한 책.
- 만흥[漫興] 이렇다 할 느낌을 받지 않고 저절로 일어나는 흥취(興趣). 저절로 일어나는 흥취. 즉흥(시). 꾸며 지으려 하지 않고 마음을 따라 시를 짓는 것. 깊은 사고(思考)가 없이 일시적인 감흥에 의하여 시를 읊는 것을 이른다. 두보(杜甫)는 절구만흥(絶句漫興) 9수를 지어 봄 경치를 노래하기도 하였다.
- 심수[深愁] 깊이 근심함. 또는 큰 근심. 깊은 시름.
- 신첨[新添] 새로 만들다. 새로 늘리다.
- 수함[水檻] 물 가의 손잡이(난간), 또는 배의 손잡이. 물가에 나무로 만든 난간을 가리킨다.
- 체[替] ~을 위하여. ~ 때문에. 대체하다.
- 언득[焉得] 어떻게 찾을까. 어떻게 얻을 수 있을까. 어찌 ∼일 수 있을까?
- 재사[才思] 재화(才華), 즉 바깥으로 드러낼 재능이나 아름다움. 시문 등의 창작력. 창의력. 구상력. 재치 있는 생각. 재기와 사상. 재주가 있는 사고력(思考力). 재치 있게 계책(計策)을 세우는 생각.
- 시사[詩思] 시적인 생각이나 상념. 시상(詩想). 시적 감흥. 시를 짓기 위한 착상이나 구상. 시를 짓기 위한 실마리. 작시(作詩)에 대한 흥취 또는 단서. 위응물(韋應物)의 시 휴가일방왕시어부우(休暇日訪王侍御不遇)에 “괴이하구나 시상이 기골을 맑게 하니, 문은 찬 시내와 눈 가득한 산을 마주했네.[怪來詩思淸人骨 門對寒流雪滿山]”라고 하였다.
- 시상[詩想] 시를 지을 때 떠오르는 시인의 느낌이나 생각. 시에 나타난 사상. 시를 지을 때 시인에게 떠오르는 착상이나 구상.
- 도사[陶謝] 도사(陶謝)는 일반적으로 도연명(陶淵明)과 사영운(謝靈運)을 가리키나, 사(謝)를 남조 제(齊)나라의 사조(謝眺)를 가리킨다고 볼 수도 있다. 사조는 영명체(永明體)라 불리는 오언체에 능하였고 청신(淸新)한 기풍이 많았다. 이백(李白)이 사조의 시풍을 전수받았다고 하며, 조선 시대에도 사조의 시를 많이 읊조렸다. 도연명은 동진(東晉) 말의 시인으로 전원시(田園詩)에 뛰어났으며, 사영운은 남조 송(宋)나라 때의 시인으로 산수시(山水詩)에 뛰어났다.
- 도사[陶謝] 진(晉)나라 도잠(陶潛: 도연명陶淵明)과 남조(南朝) 송(宋)의 사령운(謝靈運)을 병칭한 말이다. 도잠은 전원시(田園詩)에 능했고, 사령운은 산수시(山水詩)에 능하여, 두 사람 모두 자연의 경물(景物)을 묘사하는 데 뛰어났다. 두보(杜甫)가 성도(成都)의 완화계(浣花溪) 가에 초당을 짓고 살 때 강물이 크게 불어난 것을 보고 지은 시(詩) 강상치수여해세료단술(江上値水如海勢聊短述)에 “어찌하면 시상(詩想)이 도연명, 사영운 같은 솜씨를 얻어서 그로 하여금 시 짓게 하고 함께 노닐꼬.[焉得思如陶謝手 令渠述作與同遊]”라고 하였고, 허생(許生)의 시(詩)를 높이 찬양하여 지은 시 야청허십일송시애이유작(夜聽許十一誦詩愛而有作)에서도 “도연명과 사령운의 시도 그대에게는 못 미치니, 그대의 시는 시경(詩經)과 초사(楚辭)만큼 추앙 받을 만합니다.[陶謝不枝梧 風騷共推激]”라고 하였다.
- 영거[令渠] 令(령)은 ~하게 하다. ~을 시키다. 渠(거)는 타문(他們: 그들, 그 사람들), 거배(渠輩: 그 사람)의 의미이다.
- 술작[述作] 글을 지어 책을 만듦. 글의 재료를 모아 저술함.
- 술작[述作] 전인(前人)의 설(說)을 전술(傳述)하여 밝히고, 자기의 설을 제창하는 것을 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