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망[漏網] 법망[法網)에서 벗어남. 느슨한 법. 누망은 죄인이 법망(法網)을 빠져나가는 것을 이르는데, 육기(陸機)의 오등제후론(五等諸侯論)에 “육신은 약망을 범하였고, 칠자는 누망에 저촉되었다.[六臣犯其弱網 七子衝其漏網]”라고 한 주석에 “누망은 한 경제(漢景帝) 때에 법망이 느슨했던 것을 이른 말이다.”라고 하였다.
누망지어[漏網之魚] 그물을 빠져나간 물고기라는 뜻으로, 법망(法網)을 피한 범인(犯人)을 비유하는 말이다. 사기(史記) 권122 혹리열전(酷吏列傳)에 “옛날 진(秦)나라의 법망(法網)은 매우 치밀하였으나, 간악(奸惡)하고 남을 속이는 일은 끊이지 않고 일어났으며, 위에서 아래에 이르기까지 서로를 속이다가, 결국에는 돌이킬 수 없는 몰락의 길에 이르게 되었다. 그 당시 관리들은 직권을 행사하여 백성들을 다스렸던 방법은 마치 불을 꺼서 물을 끓지 않게 하는 것이 아니라, 불은 그대로 놔 둔 채 물을 더 이상 끓지 않게 하려고만 하는 식이었다. 만용으로 가득 차고 잔혹(殘酷)한 사람이 아니고서야 어떻게 그 임무를 기쁘게 감당할 수 있었겠는가[非武健嚴酷, 惡能勝其任而愉快乎]? 도덕(道德)을 말했던 사람들이 이러한 일을 다루는 관직에 있지 않았던 것이다. 한(漢)나라가 흥성하자, 모난 것을 둥글게 만들고 번잡한 것을 소박하게 하였으니, 법의 그물은 배를 통째로 삼킬 만큼 큰 고기도 빠져나갈 수 있게 되었으며[網漏于呑舟之魚], 관리들은 순박하여 간악한 일을 하지 않았고, 백성들의 생활도 태평하고 무사하였다. 이로 미루어보아, 백성을 다스리는 근본은 도덕에 있는 것이지 법률에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한 데서 보인다.
누무사사[屢舞傞傞] 시경(詩經) 소아(小雅) 빈지초연(賓之初筵)에 “빈객이 이미 취한지라 곧 고함을 치며 떠들어서……기울어진 관이 삐딱하여 자주 춤추기를 그치지 않도다.[賓旣醉止, 載號載呶……側弁之俄, 屢舞傞傞.]”라고 한데서 보인다. 이 시는 빈객이 처음 자리에 나갈 적엔 온온(溫溫)히 공손하여 위의(威儀)가 반반(反反)하다가 술에 취하면 그 위의를 잃고 덕을 해침을 풍자한 시이다.
누문공근[婁門恭謹] 누문은 당(唐) 나라 때의 명상(名相) 누사덕(婁師德)을 이른다. 누사덕은 30년 동안 장상(將相)을 지내면서 특히 덕이 많고 공근박충(恭勤樸忠)하기로 이름이 높았다. <唐書 卷一百八>
누미앙[漏未央] 밤 시각(夜漏)이 다하고 아직 낮이 되지 않음을 이른다. 누(漏)는 누각(漏刻), 물시계를 이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