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능공[凌空]~능관[能官]~능근취비[能近取譬]~능긍[凌兢]~능기[能起]


능공[凌空]  하늘 높이 오르다. 높이 솟다. 하늘 높이 날아가다.

능관[能官]  벼슬을 재능이 있는 사람에게 맡긴다는 뜻이다. 서경(書經)에 “관에 능한 자를 거용(擧用)하는 것은 오직 너의 능함이다.[擧能共官 惟爾之能]”라고 하였다.

능구천하중인지화자 즉획천하지복[能救天下衆人之禍者 則獲天下之福]  신간증보삼략(新刊增補三略)에 “경편(敬篇)에 이르기를 ‘정당한 이치로 순종하는 자는 복을 받고, 비리(非理)로 역행하는 자는 화를 받는다.’고 했다.[敬篇云 以正理從順者 福也 以非理逆行者 禍也]”라고 하였다.

능군[陵軍]  수릉군(守陵軍)의 약어. 왕릉을 수호(守護)하는 수릉관(守陵官) 아래에서 잡일을 맡아 하는 일꾼이다.

능근취비[能近取譬]  자기 주위의 사실로 미루어 남의 입장을 잘 고려함. 논어(論語) 옹야(雍也)에 “가까운 데서 취하여 비교하여 깨우치면 인을 하는 방법이라 말할 수 있다.[能近取譬 可謂仁之方也已]” 하였는데, 이 말은 자기가 하고 싶거나 하기 싫은 일로 다른 사람의 하고자 하는 바나 하기 싫어하는 것을 미루어 안다는 뜻이다.

능근취비[能近取譬]  논어(論語) 옹야(雍也)에, 자공(子貢)이 “만약 백성에게 은혜를 널리 베풀어 많은 사람을 구제한다면 인(仁)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까?”라고 묻자, 공자가 “어찌 인에 그치겠는가. 반드시 성인의 경지일 것이다. 요순(堯舜)도 그렇게 못하는 것을 병통으로 여겼다. 무릇 인자(仁者)는 자기가 서고자 할 때 남을 세우며, 자기가 도달하고자 하면 남을 도달하게 한다. 가까운 자신에게서 취하여 먼 곳의 남에게 미루어 간다면 인을 실천하는 방법이라 말할 수 있다.[夫仁者 己欲立而立人 己欲達而達人 能近取譬 可謂仁之方也已]”라고 대답하였다.

능긍[㱥殑]  귀신이 나다니는 모양을 뜻한다.

능긍[凌兢]  두려워 떠는 모양. 몹시 무섭거나 두려워 몸이 벌벌 떨림.

능기[能起]  공자가 복상(卜商)의 시(詩)에 능함을 칭찬하여 한 말인데 “나를 흥기시킬 자는 상(商)이로구나. 같이 시를 말할 만하구나.”라고 하였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