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당로[當路]~당로독비[當壚犢鼻]~당로새[當路塞]~당로자[當路者]~당로지인[當路之人]


당로[當路]  권력자. 당도(當道), 당조(當朝)와 같은 말로, 당시 조정에서 권력을 잡은 자들을 의미한다.

당로[當路]  정무를 집행하다[執政]. 혹은 그러한 사람, 곧 위정자(爲政者)를 가리킨다. 맹자(孟子) 공손축 상(公孫丑 上)에, 맹자의 제자 공손추(公孫丑)가 “선생님이 제나라에서 정권을 잡으신다면, 관중과 안자의 공적을 다시 기대할 수 있겠습니까.[夫子當路於齊 管仲晏子之功復許乎]”라고 묻자, 맹자가 “그대는 참으로 제나라 사람이로구나. 관중과 안자만을 알고 있으니.[子誠齊人也 知管仲晏子而已矣]”라고 대답하였는데, 조기(趙岐)는 이에 대하여 ‘정무를 집행하다.[當仕路]’로 주석, 풀이하였다.

당로[當路]  길을 막다. 통행을 방해하다. 길 위에. 길 중간에. 후한 순제(順帝) 때에 장강(張綱)이 지방 풍속을 순찰하라는 명을 받자, 타고 갈 수레의 바퀴를 낙양(洛陽) 교외의 땅에 묻고서 “승냥이와 늑대가 지금 큰길을 막고 있으니, 여우와 살쾡이 따위야 굳이 따질 것이 있겠는가.[豺狼當路 安問狐狸]”라고 하고는, 곧바로 당시의 권간(權奸)인 대장군 양기(梁冀)를 탄핵하여 경사(京師)를 진동시킨 고사가 있다. <後漢書 卷56 張綱列傳, 東觀漢記 張綱> 또, 소순흠(蘇舜欽)의 시 독유망천(獨遊輞川)에 “컴컴한 숲에서 사슴들은 뿔을 키우고, 길 위에는 호랑이 발자국을 남아 있네.[暗林麋養角 當路虎留踪]”라고 하였다.

당로[當壚]  술을 벌려놓은 토단. 술파는 집, 즉 주점. 선술집의 술청에 나와 앉아 술을 팖. 중국 전한(前漢)의 사마상여(司馬相如)가 자기 아내 탁문군(卓文君)을 술독을 둔 곳에 앉혀 술을 팔게 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당로독비[當壚犢鼻]  한(漢) 나라 때 사마상여(司馬相如)가 아내 탁문군(卓文君)과 함께 목로집을 차리고서, 아내에게는 손님에게 술을 팔게 하고 자신은 쇠코잠뱅이를 입고 잡역(雜役)을 했던 데서 온 말이다.

당로새[當路塞]  요새(要塞)와 같은 말로, 한서(漢書) 권94 흉노전(匈奴傳)에 “흉노가 화친을 끊고서 당로새를 공격하였다.[匈奴絶和親 攻當路塞]”라고 하였는데, 이에 대한 안사고(顔師古)의 주(注)에 “당로새는 요새가 길을 가는 길목에 있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당로자[當路者]  권세를 갖고 높은 자리에 있는 사람을 가리킨다. 완적(阮籍)의 시 영회(詠懷) 제14수에 “어찌하여 벼슬길에 나간 사람들, 굽실거리다 돌아가는 걸 잊어버리나.[如何當路者 磬折忘所歸]”라고 하였다.

당로지인[當路之人]  정권을 담당하고 있는 사람. 중요(重要)한 지위(地位)에 있는 사람을 이른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