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有兒유아 / 떠돌이 오누이 / 丁若鏞정약용


有兒雙行[유아쌍행]   함께 다니는 저 두 아이

一角一羈[일각일기]   동생은 쌍상투 누이는 묶은 머리

角者學語[각자학어]   동생은 이제 겨우 말을 배우고

羈者髫垂[기자초수]   누이는 다박머리 드리웠는데

失母而號[실모이호]   어미 잃고 울면서

于彼叉岐[우피차기]   갈림길에 서 있네

執而問故[집이문고]   붙들고 까닭을 물었더니

嗚咽言遲[오인언지]   흐느껴 목메어 더듬는 말이

曰父旣流[왈부기유]   아버지가 오래 전에 집을 떠나서

母如羈雌[모여기자]   엄마는 외톨이가 되었어요

甁之旣罄[병지기경]   쌀독이 빈지 이미 오래라

三日不炊[삼일불취]   사흘을 밥 못 짓고 굶었어요

母與我泣[모여아읍]   엄마가 우릴 안고 흐느껴 울며

涕泗交頤[체사교이]   눈물 콧물 두 뺨에 얼룩졌지요

兒啼索乳[아제색유]   동생은 울면서 젖 찾았지만

乳則枯萎[유칙고위]   젖은 이내 말라버려

母携我手[모휴아수]   엄마는 내 손을 꼭 잡고

及此乳兒[급차유아]   젖먹이 저 애를 업고는요

適彼山村[적피산촌]   저기 산촌에 들어가서는

丐而飼之[개이사지]   구걸해서 우리를 먹였어요

携至水市[휴지수시]   물가 시장에 데려가서는

啖我以飴[담아이이]   우리에게 엿도 먹여줬어요

攜至道越[휴지도월]   이 길까지 데리고 와서

抱兒如麛[포아여미]   사슴 새끼 품듯 안고 잤어요

兒旣睡熟[아기수숙]   동생은 깊이 잠이 들었고

我亦如尸[아역여시]   나도 죽은 듯 잠들었어요

旣覺而視[기각이시]   그런데 깨어나서 찾아보니

母不在斯[모불재사]   엄마는 여기에 없었어요

且言且哭[차언차곡]   이렇게 말하다 또 울다가

涕泗漣洏[체사연이]   눈물이 콧물이 줄줄 흐르네

日暮天黑[일모천흑]   날이 저물어 어두워지면

栖鳥群蜚[서조군비]   뭇 새들도 집을 찾아드는데

二兒伶俜[이아령빙]   외로이 떠도는 두 오누이

無門可闚[무문가규]   찾아 들어갈 집이 없구나

哀此下民[애차하민]   슬프도다 가엾은 우리 백성들

喪其天彝[상기천이]   하늘의 도리마저 다 잃었는지

伉儷不愛[항려불애]   지아비와 지어미가 사랑하지 못하고

慈母不慈[자모불자]   어미도 제 자식 돌보지 않는구나

昔我持斧[석아지부]   옛날 내가 암행하던

歲在甲寅[세재갑인]   갑인년에

王眷遺孤[왕권유고]   왕께서는 고아들 당부하시며

毋俾殿屎[무비전시]   고통 받지 않게 하라고 하셨었지

凡在司牧[범재사목]   벼슬하는 모든 목민관들아

毋敢有違[무감유위]   감히 그 분부 어기지 마소.

 

<有兒유아 / 丁若鏞정약용>

 


  • 殿屎 : 음은 점희(店希)인데 신음하고 근심하는 것이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