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젊은이는 의지가 굳어야 하고, 늙은이는 애착을 버려야 한다 <채근담>


젊고 강건한 사람은

모든 일에 의지로 임해야 하건만

도리어 의지가 경박하다면

한갓 물에 떠밀리는 오리와 같으니

어찌 높은 하늘로 떨쳐오를 수 있겠는가.

늙고 쇠약한 사람은

모든 일에 애착을 버려야 하건만

도리어 애착이 깊다면

끌채 아래 쩔쩔매는 망아지와 같으니

어찌 그 몸이 속박에서 벗어날 수 있겠는가.


少壯者,  事事當用意而意反輕,  徒泛泛作水中鳧而已,  何以振雲霄之翮?
소장자,  사사당용의이의반경,  도범범작수중부이이,  하이진운소지핵?
衰老者,  事事宜忘情而情反重,  徒碌碌爲轅下駒而已,  何以脫韁鎖之身?
쇠로자,  사사의망정이정반중,  도녹록위원하구이이,  하이탈강쇄지신?

<채근담菜根譚/청각본淸刻本(건륭본乾隆本)/평의評議>


  • 소장[少壯]  나이가 젊고 혈기가 왕성함. 젊고 씩씩함. 나이가 젊고 기력이 좋음.
  • 용의[用意]  어떤 일을 하려고 뜻을 세우거나 마음을 먹음. 마음을 씀. 뜻을 가다듬음. 마음의 준비(準備). ~을 하기로 생각을 정하다. 결심하다. 한유(韓愈)의 시 기최이십육입지(寄崔二十六立之)에 “문장은 물을 뒤집듯 쉽게 이루어, 애당초 뜻을 기울이지 않는도다.[文如翻水成, 初不用意爲.]”라고 하였다. 조의(措意). 용심(用心). 의도. 의향. 기개(氣槪).
  • 의지[意志]  어떤 일을 해내거나 이루어 내려고 하는 적극적인 마음의 상태나 작용. 이성을 가지고 사려(思慮)하고 선택하고 결심하여 실행하는 능력. 지식, 감정과 대립되는 정신 작용. 어떤 행동을 취할 것인가를 결의하고, 또 그것을 북돋우고 지속시키는 심적 기능. 도덕적 행위의 주체가 되고 객체가 되는 정신 작용.
  • 의기[意氣]  호기(豪氣)와 기개(氣槪). 적극적으로 무슨 일을 하려는 마음이나 기개. 뜻을 이루어 만족해하는 마음이나 기개. 장한 마음. 득의(得意)한 마음. 기상(氣像).
  • 범범[泛泛]  범범(汎汎). 넘실넘실 떠 있는 모양. 둥둥 떠 있는 모양. 표류하는 모양. 가득 찬 모양. 찬찬하지 않고 데면데면함. 평범하다. 일반적이다. 교제가 깊지 못하다. 두보(杜甫)의 시 9일 5수(九日五首)에 “꽃을 따니 향기 둥둥 떠 있고, 앉은 손님들은 취하여 어지럽도다.[采花香泛泛 坐客醉紛紛]”라고 한 데서 보이고, 시경(詩經) 패풍(邶風)에 “두 분이 탄 저 배는, 그림자 지으며 둥둥 떠 흘러가네.[二子乘舟 汎汎其景]”라고 한 데서 보인다.
  • 운소[雲霄]  높은 하늘. 높은 지위. 구름이 떠다니는 하늘. 임금이 있는 궁궐. 두보(杜甫)의 시 봉증선우경조(奉贈鮮于京兆)에 “운소에 지금 벌써 가까우니, 태곤 중에 다시 뉘와 친하리오.[雲霄今已逼, 台袞更誰親?]”라고 하였고, 병거행(兵車行)에서는 “옷 당기고 발 구르며 길을 막고 우니, 울음소리 곧바로 하늘로 올라가 닿네.[牽衣頓足欄道哭, 哭聲直上干雲宵.]”라고 하였고, 영회고적오수(詠懷古跡五首) 중 다섯째 수에 “천하를 셋으로 나눔에 주책이 얽혔고, 만고의 높은 하늘에 한 마리 새 깃털이어라.[三分割據紆籌策 萬古雲霄一羽毛]”라고 하였다.
  • 쇠로[衰老]  늙어서 기력(氣力)과 정력(精力)이 쇠약(衰弱)하여 짐. 또는 그 노인. 쇠모(衰耄). 쇠모(衰暮).
  • 망정[忘情]  정을 잊다. 정을 버리다. 맘속에 아무런 느낌이 없다. 희로애락(喜怒哀樂)의 일에 대하여 감정이 흔들리지 않고 담담함. 마음속에 아무런 걱정이 없음. 감정을 절제하지 못하다. 감정을 억제할 수 없다. 감정이 북받치다. 세설신어(世說新語) 상서(傷逝)에 “왕융(王戎)이 아들을 잃어 산간(山簡)이 조문(弔問)을 갔는데 왕융이 슬픔을 이기지 못하였다. 이에 산간이 말하기를 ‘아이는 품 안의 물건이거늘 어찌하여 이 지경에 이르도록 슬퍼한단 말인가?’라고 하니, 왕융이 ‘성인은 정에 움직이지 않고, 열등한 사람들은 정에 대해 말할 것도 없지만, 정에 푹 빠지는 것은 바로 우리 같은 사람들이오.’라고 하였다. 산간이 그 말을 듣고 감복하여 그의 슬픔과 함께하였다.[王戎喪兒萬子, 山簡往省之, 王悲不自勝. 簡曰:「孩抱中物, 何至於此?」 王曰:「聖人忘情, 最下不及情 ; 情之所鍾, 正在我輩!」 簡服其言, 更爲之慟.]”라고 하였다.
  • 녹록[碌碌]  하잘것없음. 보잘것없음. 만만하고 호락호락함. 용렬한 모양. 주관 없이 추종하는 모양. 평범하여 쓸모없는 모양. 사무가 번잡하고 쓸데없이 바빠 고생하는 모양. 자신의 의견을 고집하지 않고 남과 타협하여 복종하는 모양. 녹록(碌碌)은 범용(凡庸)하여 재능이 없는 사람을 가리킨다. 전국 시대에 진(秦) 나라가 일찍이 조(趙) 나라를 쳤을 때, 조 나라 평원군(平原君)의 문객 모수(毛遂)가 평원군에게 자천(自薦)하여, 초(楚) 나라로 구원을 청하러 가는 평원군 행차의 일행 20인 중 가장 말제로 참여하여 가서, 일행 19인이 아무도 나서지 못하는 가운데 그가 홀로 당당하게 칼자루를 어루만지며 초왕(楚王)을 위협하여 종약(從約)을 맺게 하고는, 계구마(鷄狗馬)의 피를 가져오게 하여 초왕과 평원군을 차례로 마시게 하고 다음으로 모수 자신이 마신 다음, 왼손으로는 피 담긴 그릇을 들고 오른손으로는 나머지 일행 19인을 불러 마시게 하면서 말하기를 “공들은 이 피를 당 아래서 마시도록 하라. 공들은 녹록하여 이른바 남에게 의지하여 성사시키는 자들이로다.[公相與歃此血於堂下 公等碌碌 所謂因人成事者也]”라고 했던 데서 온 말이다.\
  • 원하구[轅下駒]  멍에 멘 망아지. 수레 끌채 밑의 망아지는 힘이 약하여 수레를 잘 끌 수 없기 때문에 세상 경험이 없고 기국(器局)이 크지 못한 사람을 비유하는 말로 사용된다. 사람이 구속되어 자유롭지 못함을 비유하기도 한다. 사기(史記) 위기무안후전(魏其武安侯傳)에 “주작도위(主爵都尉) 급암(汲黯)은 위기후(魏其侯)의 말이 옳다고 하였다. 내사(內史) 정당시(鄭當時)는 위기후가 옳다고 하였다가 나중에는 자신의 대답을 굳게 지키지 못하였다. 그 밖의 사람들은 모두 감히 대접하지 못했다. 황제는 내사에게 화를 내며 말했다. ‘그대는 평소 위기후와 무안후의 장단점을 곧잘 말하더니 어찌하여 오늘 의론에서는 수레 끝 채 아래에 매인 망아지처럼 움츠리고 있는가? 나는 너희까지 목을 치겠다.[公平生數言魏其·武安長短, 今日廷論, 局趣效轅下駒, 吾並斬若屬矣.]’라고 하였다.”라고 한 데서 보인다.
  • 강쇄[韁鎖]  고삐와 쇠사슬. 굴레와 사슬. 구속과 속박. 명리에 사로잡히다. 명예와 이익에 속박되다. 명강이쇄(名韁利鎖)의 준말로 명리(名利)의 굴레를 쓰고 이록(利祿)의 쇠사슬에 묶인 것을 뜻하는 말이다.

【譯文】 不作水鳧 勿爲轅駒
年輕力壯的人, 每件事情應當用心處理心情反而輕松, 僅僅隨波逐流做那河水中的鴨子罷了, 怎麼能夠振奮禦雲淩霄的翅膀 ; 體衰年老的人, 每件事情應當忘記情感情意反而厚重, 僅僅風塵碌碌做那車轅下的馬駒罷了, 怎麼能夠擺脫牽韁掛鎖的身軀.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