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동용[動容], 동용[銅甬], 동용모 출사기[動容貌 出辭氣], 동용주선중례[動容周旋中禮]


동용[動容]  거동(擧動)과 차림새. 동작(動作)과 의용(儀容). 거동과 표정. 감동된 표정을 짓다. 얼굴에 감동의 빛이 어리다. 초목이 모습을 바꾸는 것을 이른다.

동용[銅甬]  동용명(銅甬銘)을 이르는데 그 명(銘)에 “谷口銅甬 始元四年 在馮翊造”라고 하였다.

동용모 사원폭만[動容貌斯遠暴慢]  용모를 동할 적에 폭만(暴慢)을 멀리한다. 증자(曾子)가 죽기 직전에 말한 군자가 지켜야 할 세 가지 중요한 도리 가운데 하나이다. 논어(論語) 태백(泰伯)에 증자(曾子)가 이르기를 “군자가 귀히 여기는 도가 세 가지가 있으니, 용모를 움직일 때는 사납고 거만함을 멀리할 것이며, 낯빛을 바르게 하는 데는 신실함에 가깝도록 할 것이며, 말을 함에 있어서는 상스럽고 도리에 어긋난 것을 멀리할 것이다. 제기를 다루는 일은 유사가 맡아서 하는 것이다.[君子所貴乎道者三 動容貌斯遠暴慢矣 正顔色斯近信矣 出辭氣斯遠鄙倍矣 籩豆之事則有司存]”라고 하였다.

동용모 출사기[動容貌 出辭氣]  논어(論語) 태백(泰伯)에 “군자가 소중히 여겨야 할 도리가 셋이 있으니, 몸을 움직일 때에는 거칠고 태만한 태도를 멀리하며, 얼굴빛을 바르게 할 때에는 성실함에 가깝게 하며, 말소리를 낼 때에는 비루하고 이치에 어긋나는 것을 멀리해야 한다.[君子所貴乎道者三 動容貌 斯遠暴慢矣 正顔色 斯近信矣 出辭氣 斯遠鄙倍矣]”는 말이 보인다.

동용주선[動容周旋]  몸가짐과 행동 전체를 일컫는 말로, 동용(動容)은 얼굴 표정 또는 몸가짐의 자세, 주(周)는 원(圓)의 법칙(法則)에 맞게 하는 행동, 선(旋)은 방(方)의 법칙에 맞게 하는 행동을 뜻한다. 맹자(孟子) 진심 하(盡心下)에 “동용하고 주선함에 예에 맞는 것은 성덕이 지극한 것이다.[動容周旋中禮者 盛德之至也]”라고 하였다.

동용주선중례[動容周旋中禮]  동용(動容)하고 주선(周旋)함이 예에 맞음. 맹자(孟子) 진심 하(盡心下)에 “행동거지와 일처리가 예(禮)에 맞게 하는 자는 성덕(盛德)이 지극한 자이니, 죽음 앞에 곡(哭)을 하며 슬퍼하는 것은 살아있는 자를 위함이 아니요, 덕(德)을 떳떳하게 잡고 굽히지 않는 것은 녹(祿)을 구하기 때문이 아니며, 말을 함에 반드시 신(信)있게 하는 것은 행실을 바로잡기 위해서가 아니다.[動容周旋中禮者, 盛德之至也. 哭死而哀, 非爲生者也. 經德不回, 非以干祿也. 言語必信, 非以正行也.]”라고 하였다. 요(堯)·순(舜)·탕(湯)·무(武)와 같은 성인(聖人)의 일을 서술하면서 언급한 것이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