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소인에게 아첨 받지 말고 군자의 질책을 받아라 <채근담>


소인에게 시기와 비방을 받을지언정

소인이 아첨하는 사람은 되지 마라.

군자에게 잘하라 질책을 받을지언정

군자가 감싸주는 사람은 되지 마라.


寧爲小人所忌毁,  毋爲小人所媚悅.
영위소인소기훼,  무위소인소미열.
寧爲君子所責備,  毋爲君子所包容.
영위군자소책비,  무위군자소포용.

<채근담菜根譚/명각본明刻本(만력본萬曆本)/전집前集>


  • 소인[​小人]  덕이 없으며 간사하고 도량이 좁은 사람. 무식하고 천한 사람. 나이가 어린 사람. 키나 몸집이 몹시 작은 사람. 신분이 낮은 사람이 자기보다 신분이 높은 사람을 상대하여 자기를 낮추어 이르던 일인칭 대명사. 군자(君子)의 반대어.
  • 기훼[忌毁]  꺼리고 헐뜯음. 시기하고 비방함.
  • 미열[媚悅]  잘 보이려고 아첨함. 상대방에게 아첨하여 기쁘게 함. 남의 환심을 사려고 알랑거려 즐겁게 함. 남에게 잘 보이려고 비위를 맞추며 알랑거림. 의식적으로 남의 환심을 사다. 아첨하고 좋아하다. 비위를 맞추다. 영합하다. 환심을 사다.
  • 군자[君子]  교양과 덕망을 아울러 갖춘 사람. 유학에서 제시하는 이상적인 인간상. 학식이 높고 행실이 어진 사람. 학식과 덕망이 높은 사람. 높은 관직에 있는 사람. 원래 봉건사회에서 다음 왕이 될 태자(太子)를 의미하는 말이었으나 후대로 내려오면서 일반적으로 학식과 덕망을 갖춘 학자나 현인을 의미하게 되었다. 군자는 도덕을 겸비한 지배권의 사람이고, 그와 반대로 소인(小人)은 사회신분이나 도덕적 측면이 저급한 사람이다.
  • 책비[責備]  책비현자(責備賢者). 남에게 모든 일을 잘하여 나가도록 요구(要求)함. 남에게 모든 일을 완전하게 갖추어 다 잘하기를 요구함. 책하다. 꾸짖다. 탓하다. 훌륭한 사람에게 조그마한 잘못도 통렬하게 지적하여 완전무결하기를 요구하는 것을 말한다. 신당서(新唐書) 권2 태종세민(太宗世民)에 “춘추(春秋)의 필법(筆法)은 늘 현자에게 모든 일을 다 잘하기를 요구한다.[春秋之法 常責備於賢者]”라고 한 내용이 보인다. 책비(責備)는 사람에게 진선진미(盡善盡美)하기를 요구하는 것이다.
  • 책비[責備]  책비(責備)란 책현자비(責賢者備)의 준말로서 어진 자에게는 항상 구비(具備)하기를 책(責)하는 것이다. 신당서(新唐書) 태종기찬(太宗紀贊)에 “춘추(春秋)의 법은 항상 현자에게 책비한다.[春秋之法 常責備於賢者]”라고 하였는데, 그것은 보통 사람에 대하여는 여간한 허물을 용서하거나 비판하지 않지만, 어진 사람에게 있어서는 조그만 허물이라도 비판하여 이런 어진 사람이 왜 이런 허물을 지었는가 하고 애석히 여기는 뜻으로 책망한다는 말이다. 현자의 잘못을 두둔하지 않고 바로 쓰는 것을 춘추필법(春秋筆法)이라 한다.
  • 포용[包容]  남을 아량 있고 너그럽게 감싸주거나 받아들임. 도량이 넓어서 남의 잘못을 이해하여 싸 덮어 줌. 휩싸서 들임.

【譯文】  斥小人媚,  願君子責.
寧可被小人嫉妒毁謗, 不要被小人獻媚取悅 ; 寧可被君子責難防備, 不要被君子包涵寬容.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