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시체 둘에 천하가 소복을 입는다. 당저, 진왕을 떨게 하다 [伏屍二人복시이인 天下縞素천하호소] <전국책/위책>


진왕(秦王: 시황제)가 사신을 보내와 안릉(安陵)이라는 작은 땅을 다스리는 군주에게 말하였다.

“나의 땅 5백리로써 안릉과 교환하고자 하니, 안릉군의 나의 요구를 들어주기 바랍니다.”

안릉군(安陵君)이 대답했다.

“대왕이 저에게 은혜를 베풀어 오백 리나 되는 땅과 안릉을 바꾸자고 하시니 고맙습니다. 그러나 이 땅은 선대(先代)로부터 물려받은 것입니다. 이대로 있게 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진왕은 기분이 언짢았다. 그래서 안릉군은 당저(唐且)를 사신으로 진나라에 파견했다.

진왕은 당저에게 말했다.

“오백 리의 땅을 안릉과 바꾸자고 했건만 그는 듣지 않았소. 더 큰 한나라와 위나라는 이미 멸망했는데 안릉군은 50 리의 땅을 다스리고 있소. 그것은 인물이 훌륭하다 하여 내가 공격을 안 했기 때문이오. 그런데 지금 열 갑절의 땅을 주겠다는데도 싫다는 것이오. 과인을 가벼이 보는 것인가?”

당저가 말하였다.

“아니옵니다. 그것은 잘 못 보신 것입니다. 그 땅은 선대로부터 물려받은 땅입니다. 오백 리는 고사하고 일천 리의 땅과도 바꿀 수가 없을 것입니다. 5백 리에 불만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그 말을 듣고 진왕은 급기야 노기가 충천하여 당저에게 말하였다.

“천자의 노여움이 어떤 것인지 그대도 들어서 알고 있을 것이다.”

당저가 말하였다.

“들어본 적이 없습니다.”

진왕이 말하였다.

“그렇다면 가르쳐주겠다. 천자의 분노는 죽어 엎어지는 자가 백만(死者百萬), 피가 천리를 흐르는(流血千里) 참상이 일어난다.”

당저가 말하였다.

“대왕께서는 무위무관의 선비의 분노를 모르십니까?”

진왕이 말하였다.

“선비가 노해보았자 별 수가 있겠는가. 관이나 벗고 신발을 벗은 다음 머리를 땅에 대고 사과하면 그만이 아닌가.”

당저가 말하였다.

“그것은 범부의 분노이지 선비의 분노가 아닙니다. 과거에 전저(專諸)가 오왕(吳王) 요(僚)를 칼로 찔렀을 때는 혜성이 달에 부딪쳤습니다[彗星襲月혜성습월]. 섭정(聶政)이 한괴(韓傀)를 찔렀을 때는 흰 무지개가 태양을 뚫었습니다[白虹貫日백홍관일]. 요리(要離)가 경기(慶忌)를 찔렀을 때는 파란 독수리가 궁전 지붕에 부딪쳤습니다[倉鷹擊殿창응격전]. 이 세 사람은 모두 포의의 선비였습니다. 품은 분노를 미처 나타내지도 전에 정기가 하늘에 감응하여 상서가 하늘에서 내려진 것입니다. 이제 저까지 합하면 넷이 됩니다. 만약에 선비들이 노하면 죽은 시체는 둘이고, 유혈은 다섯 걸음 안이지만 천하가 상복을 입어야 하니, 오늘이 바로 그 날이 될 것입니다.”

당저는 힘껏 칼을 뽑으며 벌떡 일어섰다. 그러자 진왕은 겁을 집어먹은 안색으로 엎드려 당저에게 사과하며 말하였다.

“선생은 제발 앉으시오. 어찌 이리 노여워하십니까. 과인은 잘 알았습니다. 대국인 한나라와 위나라가 멸망해버렸음에도 50리 사방 밖에 안 되는 안릉이 존속할 수 있었던 것은 선생과 같은 훌륭한 분이 있었기 때문이라는 것을 깨닫게 되었습니다.”

<전국책 : 위책(4)>


秦王使人謂安陵君曰: “寡人欲以五百里之地易安陵, 安陵君其許寡人?” 安陵君曰: “大王加惠, 以大易小, 甚善. 雖然, 受地於先生, 願終守之, 弗敢易.” 秦王不說.
安陵君因使唐且使於秦. 秦王謂唐且曰: “寡人以五百里之地易安陵, 安陵君不聽寡人, 何也? 且秦滅韓亡魏, 而君以五十里之地存者, 以君爲長者, 故不錯意也. 今吾以十倍之地請廣於君, 而君逆寡人者, 輕寡人與?”
唐且對曰: “否, 非若是也. 安陵君受地於先生而守之, 雖千里不敢易也, 豈直五百里哉?” 秦王怫然怒, 謂唐且曰: “公亦嘗聞天子之怒乎?” 唐且對曰: “臣未嘗聞也.” 秦王曰: “天子之怒, 伏屍百萬, 流血千里.” 唐且曰: “大王嘗聞布衣之怒乎?” 秦王曰: “布衣之怒, 亦免冠徒跣, 以頭搶地爾.”
唐且曰: “此庸夫之怒也, 非士之怒也. 夫專諸之刺王僚也, 彗星襲月; 聶政之刺韓傀也, 白虹貫日; 要離之刺慶忌也, 倉鷹擊於殿上. 此三子者, 皆布衣之士也, 懷怒未發, 休祲降於天, 與臣而將四矣. 若士必怒, 伏屍二人, 流血五步, 天下縞素, 今日是也.” 挺劒而起. 秦王色撓, 長跪而謝之, 曰: “先生坐, 何至於此, 寡人諭矣. 夫韓・魏滅亡, 而安陵以五十里之地存者, 徒以有先生也.”   <戰國策 : 魏策(四)>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