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내가 아닌 나의 지위로 평가하고 대우하니 <채근담>


존귀하다 남이 나를 받드는 것은

나의 높은 관과 띠를 받드는 것이요

비천하다 남이 나를 업신여기는 것은

나의 베옷과 짚신을 업신여기는 것이다.

그렇다면

원래가 나를 받든 것이 아니니

내 어찌 분별없이 기뻐할 것이며

원래가 나를 업신여긴 것이 아니니

내가 어찌 분별없이 노여워할 것인가.


我貴而人奉之,  奉此峨冠大帶也.
아귀이인봉지,  봉차아관대대야.
我賤而人侮之,  侮此布衣草履也.
아천이인모지,  모차포의초리야.
然則原非奉我,  我胡爲喜.  原非侮我,  我胡爲怒.
연즉원비봉아,  아호위희.  원비모아,  아호위노.

<채근담菜根譚/명각본明刻本(만력본萬曆本)/전집前集>


  • 존귀[尊貴]  지위나 신분이 높고 귀함.
  • 아관[峨冠]  높게 쓴 관(冠). 고사(高士)의 관(冠). 아관(峨冠)은 치관(豸冠)을 가리키는데, 치관은 시비를 가리는 법관이 쓰는 관으로 해태가 부정한 사람을 죽이는 고사에서 비롯하였다. 아관을 썼다는 것은 사헌부의 관리가 되었다는 말이다.
  • 대대[大帶]  남자(男子)의 심의(深衣)와 여자(女子)의 원삼(圓衫)에 띠는 넓은 띠. 예전에, 무늬 없는 비단으로 만든 띠를 이르던 말. 제복(祭服)에 매는 데 사용하였다.
  • 대대[大帶]  왕과 문무 관원, 왕비의 예복에 띠던 큰 띠로, 허리 부분과 아래로 늘어뜨리는 부분, 매는 끈으로 구성되어 있다.
  • 아관대대[峨冠大帶]  높은 관과 넓은 띠. 옛날 고관들은 이러한 관과 복장을 하였으므로 고관대작을 의미하는 말로 사용되었다.
  • 아관박대[峨冠博帶]  높은 관과 넓은 의대(衣帶). 유생(儒生)이나 사대부(士大夫)의 복장이다. 삼국연의(三國演義) 제37회에 “문밖에 한 선생은 높다란 관과 넓은 띠를 띤 옷을 입고 있고 남달리 빼어난 풍모를 갖추고 있는데, 특별히 찾아서 왔다.[門外有一先生, 峨冠博帶, 道貌非常, 特來相探.]”라고 하였다.
  • 부의박대[裒衣博帶]  품이 넓은 옷과 폭이 넓은 띠라는 뜻으로, 유자(儒者)의 복장을 말하는데, 포의박대(襃衣博帶)라고도 한다.
  • 비천[卑賤]  지체가 낮고 천(賤)함. 신분이나 지위가 낮고 천함. 신분이 낮거나 보잘 것 없이 천박함. 비(卑)는 위치가 낮다는 뜻이고 천(賤)은 하찮다는 뜻으로 모두 가치가 낮다는 뜻이다.
  • 포의[布衣]  베옷. 가난한 선비. 관직이 없는 선비. 서민(庶民). 서인(庶人). 평민(平民). 베옷은 벼슬하지 않은 사람이 입는 옷이니, 전하여 벼슬하지 않은 사람을 이른다. 옛날 서인은 모(耄:8, 90세)에 이르기 전에는 비단옷을 입지 못한 데서 온 말이다. 무위무관(無位無官). 백의(白衣). 백포(白布). 포의한사(布衣寒士). 포의지우(布衣之友). 참고로, 사기(史記) 고조본기(高祖本紀)에, 한(漢)나라 고조(高祖)가 천하를 통일한 뒤에 “내가 포의의 신분으로 삼척의 검을 쥐고서 천하를 차지했으니, 이것이 천명이 아니겠는가.[吾以布衣提三尺劍, 取天下, 此非天命乎?]”라고 한 데서 보이고, 사기(史記) 권55 유후세가(留侯世家)에, 한 고조(漢高祖)의 모신(謀臣) 장량(張良)이 한 고조를 도와 천하를 통일하고 유후(留侯)에 봉해지고 나서는 스스로 말하기를 “내가 지금 세 치의 혀로써 제왕의 스승이 되어 만호에 봉해지고 열후가 되었으니, 이는 포의에게 극도의 영광으로서 나에게는 더없이 만족한 것이다. 이제는 인간의 일을 다 버리고 선인 적송자를 따라서 노닐고 싶을 뿐이다.[今以三寸舌 爲帝子師 封萬戶 位列侯 此布衣之極 於良足矣 願棄人間事 欲從赤松子游耳]”라고 한 데서 보인다.
  • 초리[草履]  볏짚으로 삼아 만든 신의 하나. 짚신.
  • 포의초리[布衣草履]  베옷과 짚신. 벼슬 없이 가난하게 사는 것을 뜻한다.
  • 포의지교[布衣之交]  옛날에 서민(庶民)은 비단옷을 입을 수 없었으므로, 포의(布衣)는 벼슬이 없는 사람을 가리키니, 벼슬이 없거나 가난할 때의 사귐, 또는 이욕(利慾)을 떠난 사귐을 포의지교(布衣之交)라 한다.
  • 연즉[然則]  그런즉. 그러면. 앞 내용을 받아들이면서 그것을 전제로 새로운 논지를 펼 때 쓰여 앞뒤 문장을 이어 주는 말.
  • 호위[胡爲]  하위(何爲). 무슨 이유로. 왜. 어찌. 어째서. 무엇 때문에. 함부로 행동하다. 분별없는 짓을 하다. 멋대로 굴다. 어째서 ~일까. 어찌 ~일 것인가. 시경(詩經) 패풍(邶風) 식미(式微)에 “군주 때문이 아니라면 어이하여 이슬 가운데 있으리오.[微君之故 胡爲乎中露], 군주의 몸 때문이 아니라면 어이하여 진흙 속에 있으리오.[微君之躬 胡爲乎泥中]”라고 하였고, 소식(蘇軾)의 시 정주별후마상기자유(鄭州別後馬上寄子由)에 “술도 안 마셨는데 어째서 어지러운가 했더니, 내 마음이 돌아가는 너를 따라가는 모양이다.[不飮胡爲醉兀兀 此心已逐歸鞍發]”라고 하였다.

【譯文】 人情冷暖,  世態炎涼  :  人情冷暖,  原非奉我.
我尊貴他人就奉承我,  是在奉承我的官位官服  ;  我卑賤人們就侮慢我,  是在侮慢我的布衣草鞋.  那麼原來不是奉承我,  我爲什麼爲此欣喜呢?  原來不是侮慢我,  我爲什麼爲此憤怒呢?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