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득 찬 지위에 있는 사람은
마치 물이 넘칠 듯 말 듯 함과 같아서
한 방울이라도 더하는 것을 극히 꺼린다.
위급한 처지에 있는 사람은
마치 나무가 부러질 듯 말 듯 함과 같아서
살짝이라도 더 건드리는 것을 극히 꺼린다.
居盈滿者, 如水之將溢未溢, 切忌再加一滴.
거영만자, 여수지장일미일, 절기재가일적.
處危急者, 如木之將折未折, 切忌再加一搦.
처위급자, 여목지장절미절, 절기재가일닉.
<채근담菜根譚/명각본明刻本(만력본萬曆本)/전집前集>
<취고당검소醉古堂劍掃/소창유기小窓幽記 : 성醒>
- 영만[盈滿] 가득 참. 사물이 가득하여 더 이상 보탤 수 없다. 흔히 위험한 상황이나 욕심의 한계를 경계하는 말. 분수에 넘치도록 극도의 부귀를 누리는 것을 말한다. 후한서(後漢書) 절상(折像)에 “우리 가문의 재산이 번식한 지가 오래되었는데, 영만(盈滿)의 허물은 도가에서 꺼리는 바이다.[吾門戶殖財日久, 盈滿之咎, 道家所忌.]”라고 하였다.
- 만일지재[滿溢之灾] 만일(滿溢)의 재앙. 영만(盈滿)과 같은 말로 극도의 부귀를 누리는 것을 말한다. 후한서(後漢書) 최인열전(崔駰列傳)에 “겸(謙)의 덕이 빛남은 주역에서 아름답게 여기고, 만일(滿溢)의 지위는 도가에서 경계하는 바이다.[夫謙德之光, 周易所美, 滿溢之位, 道家所戒.]”라고 하였다.
- 절기[切忌] 극력 피하다, 극력 삼가다, 힘써 피하다. 매우 꺼리다. 절실하게 꺼리다.
- 의기[欹器] 주(周)나라 때 임금을 경계하기 위하여 만들었다는 그릇. 한쪽으로 기우뚱하게 생긴 그릇인데, 이 그릇은 텅 비면 한쪽으로 기울고, 물을 중간쯤 채우면 똑바르게 되고, 물을 가득 채우면 엎어져 버리므로, 옛날에 임금이 차고 넘침[盈滿]을 경계하는 뜻으로 이 그릇을 좌우(坐右)에 두었다고 한다. <荀子 宥坐> 참고로, 공자가어(孔子家語) 권2 삼서(三恕)에 “공자(孔子)가 노 환공(魯桓公)의 사당을 구경하였는데, 의기가 있는 것을 보고 사당을 지키는 이에게 이것이 무슨 기구냐고 묻자, 임금의 자리를 돕는 그릇[宥座之器]이라고 하였다. 이에 공자가 말하기를 ‘내 듣건대, 자리를 돕는 그릇은 비면 기울고 알맞으면 바르게 되며 가득 차면 뒤집어져서 명군(明君)이 이로써 지극한 경계를 삼고 항상 자리 옆에 두었다고 한다.’라 하고, 제자를 돌아보면서 ‘물을 부어 보아라.’라고 하였다. 물을 붓자, 물이 알맞으면 그릇이 바르고 가득 차면 뒤집어졌다. 공자가 탄식하기를 ‘아아, 사물이 어찌 가득 찼으면서도 뒤집어지지 않는 것이 있겠는가?’라고 하니, 자로가 나와서 묻기를 ‘감히 여쭙겠습니다. 가득 찬 것을 유지하는 방도가 있습니까?’라고 하자, 공자가 말하기를 ‘총명과 예지는 어리석음으로 지키고, 천하를 덮을 만한 공은 사양으로 지키고, 세상을 떨칠 만한 용력은 두려움으로 지키고, 사해를 다 가지는 부는 겸손함으로 지킨다. 이를 두고 덜어내고 또 덜어내는 방법이라고 말한다.’라고 하였다.[孔子觀於魯桓公之廟, 有欹器焉. 欹傾. 夫子問於守廟者曰 : ‘此謂何器?’ 對曰 : ‘此蓋為宥坐之器.’ 孔子曰 : ‘吾聞宥坐之器, 虛則欹, 中則正, 滿則覆, 明君以為至誡, 故常置之於坐側.’ 顧謂弟子曰 : ‘試註水焉.’ 乃註之, 水中則正, 滿則覆. 夫子喟然嘆曰 : ‘嗚呼! 夫物惡有滿而不覆哉?’ 子路進曰 : ‘敢問持滿有道乎?’ 子曰 : ‘聰明睿智, 守之以愚 ; 功被天下, 守之以讓 : 勇力振世, 守之以怯 ; 富有四海, 守之以謙. 此所謂損之又損之之道也.’]”라고 하였다.
【譯文】 過滿則溢, 過剛則折.
處在豐盈完滿的環境中, 猶如貯水將要漫溢還未曾溢出, 務必避免再增加一點滴水 ; 處在危險急迫的環境中, 猶如樹木將要折斷還未曾折斷, 務必避免再施加一點按壓.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