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어 사는 숲 속에는 영예도 치욕도 없고
도덕과 인의의 길에는 인정의 변화가 없다.
隱逸林中無榮辱, 道義路上無炎涼.
은일임중무영욕, 도의노상무염량.
<菜根譚채근담/明刻本명각본(萬曆本만력본)/後集후집>
<醉古堂劍掃취고당검소/小窓幽記소창유기 : 靈영>
- 은일[隱逸] 속세를 떠나 숨어 지냄. 세상을 피하여 숨음. 또는 그런 사람. 숨은 학자(學者)로서 임금이 특별히 벼슬을 준 사람. 예전에, 벼슬하지 아니하고 숨어 살던 학자. 임금이 특별히 벼슬을 내리던 은사(隱士).
- 영욕[榮辱] 영화와 치욕. 영예와 치욕을 아울러 이르는 말. 흔히 세월의 흐름에 따라 점철되는 영광과 치욕을 아울러 이르는 말. 참고로, 주역(周易) 계사전 상(繫辭傳上)에 “언행은 군자의 추기이다. 추기가 나오는 것은 영욕이 주체이다.[言行 君子之樞機 樞機之發 榮辱之主也]”라고 하였고, 강절(康節) 소옹(邵雍)의 시 수미음(首尾吟) 135수 중, 제22수의 함련(頷聯)에 “사생(死生)에 이르기까지 모두 처결한다면, 그 밖의 영욕(榮辱)은 알 수 있다네.[以至死生皆處了 自餘榮辱可知之]”라고 하였고, 소옹(邵雍)의 이천격양집서(伊川擊壤集序)에 “관물의 즐거움으로 말하면 또 이루 헤아릴 수 없이 많다. 비록 사생(死生)과 영욕(榮辱)이 눈앞에 전개되면서 싸움을 벌인다 할지라도, 우리의 주관적인 마음이 그 속에 개입되지만 않는다면, 사시에 따라 바람과 꽃과 눈과 달이 우리의 눈앞에 한 번 스쳐 지나가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는가.[況觀物之樂複有萬萬者焉. 雖死生榮辱轉戰於前, 曾未入於胸中, 則何異四時風花雪月一過乎眼也?]”라는 말이 나온다.
- 도의[道義] 도덕(道德)과 정의(正義). 사람으로서 마땅히 지키고 행하여야 할 도덕(道德)이나 의리(義理). 참고로, 주자통서(周子通書) 사우 하(師友下) 제25에 “도의가 자신에게 있으면 존귀해진다. 사람이 태어나서는 몽매한 상태인데 장성해서도 스승이나 벗이 없으면 어리석은 채로 있게 된다. 도의란 스승이나 벗을 통해 자기 몸에 지니게 되어 존귀해질 수 있는 것이니, 그 의리가 소중하지 않으며 그 모임이 즐겁지 않은가.[道義者 身有之則貴且尊 人生而蒙 長無師友則愚 是道義由師友有之而得貴且尊 其義不亦重乎 其聚不亦樂乎]”라고 하였다.
- 염량[炎涼] 더위와 추위. 세력의 성함과 쇠약함. 대하는 사람의 처지에 따른 태도의 따뜻함과 냉담함. 인정의 후함과 박함. 세태를 판단하고 선악과 시비를 분별하는 슬기. 정세나 이익 등에 따라 달라지는 사람들의 태도. 염량(炎涼)은 ‘더위와 추위’로 해석되지만, ‘세력간의 성쇠’를 말한다. 이른바 염량세태(炎涼世態)로 권세의 유무(有無)에 따라 권력이 성했을 때는 아첨하면서 붙고, 권력을 잃으면 푸대접하여 차별하는 매우 속된 경향을 두고 표현하는 말이다. 비당신(費唐臣)은 폄황주(貶黃州)에 “지금 세상의 정리가 이와 같으니 추위와 더위를 피하는 것 역시 시절의 추세라고 할 수가 있다.[如今世情皆如此, 炎凉趨避, 亦時勢之自然.]”라고 하였다. 凉은 涼과 같다.
【譯文】 隱者無榮辱, 道義無炎涼 : 隱無榮辱, 道無炎涼.
避世隱居山林之中沒有榮耀恥辱 ; 道德仁義的道路上沒有炎涼世態.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