杜陵賢人淸且廉[두릉현인청차렴] 두릉의 현인은 맑고도 검소하여
東溪卜築歲將淹[동계복축세장엄] 동계에 터 잡은 지 한참 되어가네
宅近靑山同謝朓[댁근청산동사조] 집이 청산에 가까우니 사조와 같고
門垂碧柳似陶潛[문수벽류사도잠] 문에 드린 푸른 버들은 도잠과 같네
好鳥迎春歌後院[호조영춘가후원] 좋은 새는 봄 맞아 뒤뜰에서 노래하고
飛花送酒舞前簷[비화송주무전첨] 나는 꽃잎 술 권해 앞 처마에 춤을 추네
客到但知留一醉[객도단지류일취] 손님 오면 잡아두고 잔뜩 취할 줄만 알고
盤中只有水精鹽[반중지유수정염] 소반 위에 안주라곤 수정 같은 소금뿐
–
<題東溪公幽居제동계공유거 / 동계공의 유거에서 쓰다 / 李白이백>
–
- 이백[李白] 당(唐)나라 현종(玄宗) 때의 시인. 자(字)는 태백(太白)이고. 호(號)는 취선옹(醉仙翁)·해상조오객(海上釣鰲客)·청련거사(靑蓮居士)이다. 태어날 때 어머니가 꿈에 태백성(太白星)을 보았다고 한다. 아버지는 서역(西域)의 호상이었다고 전한다. 출생지는 오늘날의 사천성(四川省)인 촉(蜀)의 창명현(彰明縣) 또는 더 서쪽의 서역으로서, 어린 시절을 촉나라에서 보냈다. 천보(天寶) 원년(元年: 742년) 가을에 처음 장안(長安)에 나와 하지장(賀知章)을 만나 적선인(謫仙人)으로 찬양되면서, 그 명성이 온 세상에 퍼졌다. 그 뒤 현종(玄宗)을 알현하여 시문의 재능을 인정받아 한림공봉(翰林供奉)으로 임명되고 궁정 시인이 되기도 했으나, 현종의 실정 이후 정치에 뜻을 잃고 방랑시인이 되었다. 성품이 호방하여 세속에 매이지 않아 천하를 유람하며 시주(詩酒)로 생활하였다. 시풍이 웅기하고 호방하며 상상력이 풍부하고 언어의 흐름이 자연스러울 뿐 아니라 음률의 조화와 변화가 다양하다. 그의 시는 서정성(抒情性)이 뛰어나 논리성(論理性), 체계성(體系性)보다는 감각(感覺), 직관(直觀)에서 독보적(獨步的)이다. 술, 달을 소재(素材)로 많이 썼으며, 낭만적(浪漫的)이고 귀족적(貴族的)인 시풍을 지녔다. 천하를 주유하며 수많은 시를 남겼으며, 그의 생활 태도를 반영한 대표작으로는 촉도난(蜀道難)이 있다. 두보(杜甫)와 함께 이두(李杜)로 병칭되며 한시(漢詩)의 양대 산맥으로 일컬어져 이백(李白)은 시선(詩仙), 두보(杜甫)는 시성(詩聖)으로 불린다. 성당(盛唐) 시기 시가(詩歌) 예술의 최고봉에 올랐다. 지금까지 전하는 시가 1천여 편에 달하고 이태백시집(李太白詩集) 30권이 있다.
- 동계[東溪] 완계(宛溪). 안휘성(安徽省) 선성(宣城)에 있다. 천목산(天目山)에서 발원하여 흐르다가 선성 동북쪽에 이르러 구계(句溪)와 합해지는데, 완계와 구계가 합해졌다고 해서 쌍계(雙溪)라고도 부른다. 돌이 많은 까닭에 물결이 거칠게 부서지는 곳이 많아 예로부터 변화가 많은 물 흐름을 즐기기 위해 찾는 사람이 많다고 알려진 곳이다. 매요신(梅堯臣)의 시 동계(東溪)에 “동계에 가서 물 구경하다보니, 외로운 섬에 앉아 떠나는 배 늦추네. 일 없는 들오리 기슭에서 졸고 있고, 꽃 피운 늙은 나무 추한 가지 없네. 짧은 부들 꽃은 자른 듯 가지런하고, 고른 자갈들은 채로 거른 것 같네. 물리지 마음은 더 머물고 싶지만. 저물어 돌아가면 수레 말이 힘들겠지.[行到東溪看水時, 坐臨孤嶼發船遲. 野鳧眠岸有閑意, 老樹着花無醜枝. 短短蒲茸齊似剪, 平平沙石淨於篩. 情雖不厭住不得, 薄暮歸來車馬疲.]”라고 하였다.
- 동계[東溪] 지명. 송계(松溪)라고도 한다. 절강성(浙江省) 경원현(慶元縣) 역원촌(力源村)에서 발원한다. 북원어차(北苑御茶)를 만들던 곳이 이곳에 있었다. 복건성(福建省) 건구시(建甌市) 동봉진(東峰鎭) 일대에 해당한다. 증공(曾鞏)의 시 방추관기신차(方推官寄新茶)에 “가장 좋은 봄날에 동계에서 따내는, 학원의 찻잎들은 날로 새롭네. 공납 마친 용단은 먼저 얻기 다투는데, 방추관이 먼 곳까지 보내주었네.[採摘東溪最上春, 壑源諸葉品尤新. 龍團貢罷爭先得, 肯寄天涯主諾人.]”라고 한 데서 보인다.
- 동계공[東溪公] 동계(東溪)의 성명은 알 수 없다. 아마 동계에 집을 짓고 살아서 동계공(東溪公)이라고 부른 듯하다.
- 유거[幽居] 은거(隱居). 속세를 떠나 깊숙하고 고요한 곳에 묻혀 외따로 삶. 또는 그곳. 쓸쓸하고 궁벽(窮僻)한 곳에서 사는 일. 또는 그런 곳에 있는 집. 외지고 조용한 거처. 바깥사람들의 출입이 적은 거처. 흔히 은자들의 집을 가리킴. 명리(名利)를 떠나 호젓하게 사는 것. 은거하다.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다. 예기(禮記) 유행(儒行)에 “유학자는 비록 넓게 배웠더라도 배우는 것을 그치지 않고, 품행이 순박하고 인정이 두터워도 행하기를 게을리하지 않고, 혼자서 은거해도 잘못된 일을 저지르지 않으며, 출세를 하더라도 힘써 바른 길을 걷는다.[儒有博學而不窮, 篤行而不倦, 幽居而不淫, 上通而不困.]”라고 하였다.
- 두릉[杜陵] 장안(長安) 동남쪽 20리 되는 곳에 있던 지명(地名)이다. 지금의 섬서성(陝西省) 서안시(西安市) 동남쪽에 있다. 명승지여서 예로부터 유락지로 유명하였다. 고대에는 두백국(杜伯國)이었고, 진(秦)나라 때 두현(杜縣)이 되었다. 한나라 선제(宣帝)의 능묘가 동쪽에 있어 두릉(杜陵)으로 이름 붙여졌다. 명승지여서 예로부터 유락지로 유명하였다. 두씨(杜氏)가 세거(世居)한 곳으로, 두릉(杜陵)에 거하며 두릉포의(杜陵布衣)라고 자호(自號)했던 당(唐) 나라 시인 두보(杜甫)를 가리키기도 한다. 노조린(盧照鄰)의 시 장안고의(長安古意)에 “활 메고 매 날리니 두릉의 북쪽이요, 협객들 돌 골라 복수하니 위교 서쪽이로다.[挾彈飛鷹杜陵北 探丸借客渭橋西]”라고 하였다.
- 두릉현인[杜陵賢人] 두릉(杜陵)은 장안(長安) 부근에 있는 한 선제(漢宣帝)의 능호(陵號)인 바, 두릉의 현인은 동계공(東溪公)을 가리킨 것이나 누구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 현인[賢人] 현자(賢者). 어진사람. 덕이 두드러지게 드러난 사람. 덕행의 뛰어남이 성인(聖人)다음 가는 사람. 어질고 지혜롭기가 성인에 견줄 만큼 뛰어난 사람. 불교에서 견도에 이르지는 않았으나 악에서 벗어난 사람을 일컫는 말.
- 청렴[淸廉] 성품이 고결(高潔)하고 탐욕(貪慾)이 없음. 성품과 행실이 맑고 깨끗하며 재물 따위를 탐하는 마음이 없음.
- 복축[卜築] 살 만한 땅을 가려서 집을 지음. 좋은 곳을 골라 집을 지음. 땅을 골라 집을 짓다. 정착하다. 정주(定住)하다. 맹호연(孟浩然)의 시 동지후과오장이자단계별업(冬至後過吳張二子檀溪別業)에 “땅 골라 집 지을 때 자연과의 조화를 위해, 단계를 다시 더 파지 않았네.[卜筑依自然, 檀溪不更穿.]”라고 하였고, 강남통지(江南通志)에 “태백서당은 태호현 사공산에 있는데 이백이 피신한 곳으로 ‘복축사공원’이란 구절이 있다.[太白書堂, 在太湖縣司空山, 李白避地於此, 有卜築司空原之句.]”라고 하였다.
- 세장엄[歲將淹] 세월이 오래되다. ‘淹’은 여기서 ‘久’와 같다.
- 청산[靑山)] 푸른 산. 청산(靑山)은 안휘성(安徽省) 당도현(當塗縣) 동남쪽 30리 지점에 있는 산으로, 육조(六朝) 시대 제(齊)나라의 시인 사조(謝朓)가 선성 태수(宣城太守)로 있을 때 이 산 남쪽에 높은 누대(樓臺)를 짓고 앞산의 경치를 감상하였기 때문에 후대에 이 누대를 사공루(謝公樓), 사루(謝樓) 혹은 북루(北樓)라 하고 산 이름을 사공산(謝公山)이라고 부르게 되었다는 고사가 있다. 사조(謝朓)의 시 유동원(遊東園)에 “향기로운 봄 술은 대하지도 않고, 다시 청산의 성곽을 바라보노라.[不對芳春酒, 還望靑山郭.]”라고 하였다.
- 사조[謝朓] 인명. 남조(南朝) 때 제(齊)나라 시인으로 5언시에 능했다. 당시(唐詩)에 미친 영향이 크고 이백이 특히 그를 존경했다고 전한다.
- 벽류[碧柳] 푸른 버들. 도잠(陶潛)은 일명 도연명(陶淵明)으로 그가 지은 오류선생전(五柳先生傳)에 “선생은 어떠한 사람인지 알지 못하고 댁 옆에 다섯 그루의 버드나무가 있으므로 오류선생(五柳先生)이라 호(號)하였다.”하였으므로 말한 것이다.
- 도잠[陶潛] 진(晉) 나라 시상(柴桑) 사람으로, 자는 연명(淵明)·원량(元良), 호는 오류선생(五柳先生), 시호는 정절(靖節)이다. 중국 육조시대 동진(東晉)의 시인이다. 진(東晋) 말기에서 남조(南朝) 송(宋)나라 초기에 활동한 시인이다. 흔히 도연명(陶淵明)이라고 부르며, 사시(私諡)가 정절(靖節)이어서 정절선생(靖節先生)이라고도 부른다. 전원시(田園詩)의 선구자라 할만하다. 팽택현(彭澤縣)의 현령이 되었을 때 군(郡)에서 독우(督郵)를 보냈는데, 현리(縣吏)가 띠 매고 의관을 갖추고 그를 보라고 하자, “오두미(五斗米)를 위하여 구차히 향리의 소아에게 허리를 굽힐 수 없다.”라 하고 그날로 인끈을 풀고는 귀거래사(歸去來辭)를 읊고 고향으로 돌아가 전원생활로 일관했다. 문집 도연명집(陶淵明集)이 있다.
- 호조[好鳥] 빛깔 고운 새. 소리가 듣기 좋은 새. 아름다운 새를 가리킨다.
- 송주[送酒] 술을 권하다. 술을 올리다. 술을 내리다. 함께 술을 마시다. 술을 떠나보내다. 참고로, 도연명(陶淵明)이 중양절(重陽節)에 마실 술도 없이 무료한 가운데 국화꽃을 따며 시름을 달래고 있을 때, 자사(刺史)인 왕홍(王弘)이 백의사자(白衣使者)를 보내 술을 전달케 했던 고사가 전하고, 명(明)나라 때 하경명(何景明)의 시 등견산사절정진무묘(登堅山寺絶頂眞武廟)에 “높은 곳 오른 흥 아직 다하지 않았는데, 술을 보내주는 사람이 없네.[不盡登高興, 無人送酒來.]”라고 하였다.
- 송주안석[送酒安席] 연회에서, 주인이 술잔에 술을 따르면서 손님의 좌석을 차례로 정해 나가는 것을 이른다.
- 유일취[留一醉] 손님이 오면 붙잡아두고 함께 취하다.
- 수정염[水精鹽] 마치 수정처럼 맑고 투명한 소금을 가리킨다. 중천축국(中天竺國)에서 생산되는 최상의 소금으로, 색깔이 수정처럼 하얗고 맛이 좋아 호인(胡人)이 진상하였으므로 군왕염(君王鹽)이라고도 한다. 양원제(梁元帝) 소역(蕭繹)이 편찬한 금루자(金樓子)에 “호족의 소금은 산에서 나는데 해에 비추면 수정처럼 빛이 난다. 호인들이 이것을 나라에 바치는데 군왕염, 또는 옥화염이라고 한다.[胡中白鹽産於山崖, 映日光明如精. 胡人以供國廚, 名君王鹽, 亦名玉華鹽.]”라고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