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秋日추일(秋風추풍) / 가을날 정경 / 徐居正서거정


茅齋連竹逕[모재련죽경]   서재는 대숲 길로 이어져 있고

秋日艶晴暉[추일염청휘]   가을 햇살 곱고도 맑게 빛나네

果熟擎枝重[과숙경지중]   열매 익어 떠받친 가지 무겁고

瓜寒著蔓稀[과한착만희]   오이도 끝물 달린 덩굴 드무네

遊蜂飛不定[유봉비부정]   떠도는 벌들은 정처 없이 날고

閒鴨睡相依[한압수상의]   한가한 오리는 서로 기대 조네

頗識身心靜[파식신심정]   몸과 마음 고요함 자못 아노니

棲遲願不違[서지원불위]   시골 살자던 바람 안 어긋났네

<秋日추일(秋風추풍) / 가을날 / 徐居正서거정>


  • 서거정[徐居正]  조선전기 형조판서, 좌참찬, 좌찬성 등을 역임한 문신. 본관은 대구(大丘). 자는 강중(剛中)·자원(子元), 호는 사가정(四佳亭) 혹은 정정정(亭亭亭).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조수(趙須)·유방선(柳方善) 등에게 배웠으며, 학문이 매우 넓어 천문(天文)·지리(地理)·의약(醫藥)·복서(卜筮)·성명(性命)·풍수(風水)에까지 관통하였다. 1444년(세종26) 문과에 급제하고 1452년(문종2) 수양대군과 함께 명나라에 다녀오면서 인연을 맺어 세조의 집권 이후에도 계속 신임을 받았다. 1460년 사은사(謝恩使)로 중국에 갔을 때 그곳 학자들과 문장과 시(詩)를 논하여 해동(海東)의 기재(奇才)라는 찬탄을 받았다. 6명의 왕을 섬기며 45년간 조정에 봉사했으며, 조선 초기 관학을 대표하는 학자이다. 벼슬은 대제학(大提學)·좌찬성(左贊成)을 지냈다. 문장에 일가를 이루고, 특히 시(詩)에 능하였다. 문장과 글씨에 능하여 수많은 편찬사업에 참여했으며, 그 자신도 뛰어난 문학저술을 남겨 조선시대 관인문학이 절정을 이루었던 목릉성세(穆陵盛世)의 디딤돌을 이루었다. 경국대전(經國大典), 동국통감(東國通鑑), 동국여지승람(東國與地勝覽), 연주시격언해(聯珠詩格言解), 동문선(東文選) 등의 편찬에 참여했으며, 왕명으로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을 언해했다. 그의 저술서로는 역대연표(歷代年表), 객관적 비평태도와 주체적 비평안(批評眼)을 확립하여 후대의 시화(詩話)에 큰 영향을 끼친 동인시화(東人詩話), 간추린 역사·제도·풍속 등을 서술한 필원잡기(筆苑雜記), 설화·수필의 집대성이라고 할 만한 태평한화골계전(太平閑話滑稽傳)이 있으며, 관인의 부려호방(富麗豪放)한 시문이 다수 실린 사가집(四佳集) 등이 있다. ★
  • 모재[茅齋]  띠로 지붕을 이은 집. 띠풀로 지붕을 올린 집. 모옥(茅屋). 재(齋)는 집 또는 서재, 즉 책을 두고 공부하는 방을 가리킨다.
  • 서재[書齋]  서적을 갖추어 두고 책을 읽거나 글을 쓰는 방. 예전에, 한문을 사사로이 가르치던 곳. 책을 갖추어 두고 글을 읽거나 쓰는 방.
  • 죽경[竹逕]  대숲 속으로 난 길. 대나무 밑의 세 오솔길이란 뜻으로, 본디 한(漢)나라 때 은사(隱士) 장후(蔣詡)가 일찍이 자기 집 대나무 밑에 세 오솔길을 내 놓고 친구인 구중(求仲), 양중(羊仲) 두 사람하고만 서로 종유했던 데서, 전하여 흔히 은자(隱者)의 처소를 가리킨다. <三輔決錄 逃名>
  • 죽경[竹徑]  대숲 속으로 난 작은 길. 상건(常建)은 제파산사후선원(題破山寺後禪院)에 “대숲 사이 샛길로 적막한 곳 찾아가니, 꽃과 나무 깊은 곳에 선방이 있네.[竹徑通幽處, 禪房花木深.]”라고 하였다.
  • 청휘[晴暉]  맑은 날의 햇빛. 갠 날의 맑은 햇빛. 맑은 날에 비치는 햇빛.
  • 유봉[遊蜂]  수벌. 숫벌. 하는 일 없이 노는 벌. 떠돌이 벌.
  • 한압[閒鴨]  한가로운 오리.
  • 파식[頗識]  자못 ∼을 앎. 흐뭇이 느낌.
  • 서지[棲遲]  하는 일 없이 느긋하게 돌아다니며 놂. 관에서 물러나 편안히 쉼. 천천히 돌아다니며 마음껏 놂. 벼슬을 마다하고 세상을 피하여 시골에서 삶. 돌아다니며 쉬거나 한가로이 지내는 것. 은거하여 편안하게 노니는 것을 말한다. 시경(詩經) 진풍(陳風) 형문(衡門)에 “형문(衡門: 두 기둥에다 한 개의 횡목을 질러 만든 허술한 대문)의 아래여 쉬고 놀 수 있도다. 샘물이 졸졸 흐름이여 굶주림을 즐길 수 있도다.[衡門之下, 可以棲遲. 泌之洋洋, 可以樂飢.]”라고 하여 누추한 곳이라도 은자가 지내기엔 족한 곳이라는 구절이 있고, 유장경(劉長卿)의 시 장사과가의댁(長沙過賈誼宅)에 “이곳에서 보낸 귀양살이 삼 년이라도, 가의는 만고에 남은 것은 가의의 슬픔이네.[三年謫宦此棲遲 萬古惟留楚客悲]”라고 하였고, 도잠(陶潛)의 시 구일한거(九日閒居)에 “한가로이 지내는 것 본래 즐거움 많거니 오래 머물다 보면 어찌 이루는 게 없으랴.[棲遲固多娛, 淹留豈無成?]”라고 하였다.
  • 불위[不違]  어그러지지 않다. 어긋나지 않다.
  • 원불위[願不違]  원하던 일이 어긋나지 않음. 소원이 달성됨.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