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두마[竇馬], 두막루[豆莫婁], 두만[頭曼], 두망비[杜妄轡], 두면[豆麪], 두명독[竇鳴犢]


두마[竇馬]  후한(後漢) 환제(桓帝) 때의 장군인 두무(竇武)와 명제(明帝) 때 마원(馬援)을 가리킨다. 이들 모두 딸이 황후가 되었다.

두마[竇馬]  후한(後漢) 환제(桓帝)와 명제(明帝)의 황후인 두 황후(竇皇后)와 마 황후(馬皇后)에게 각각 아버지가 되는 대장군 두무(竇武)와 복파장군(伏波將軍) 마원(馬援)을 가리킨다.

두막루[豆莫婁]  고대 국가의 이름으로, 흑룡강(黑龍江) 동쪽, 동해 바닷가에 있었다.

두막부[杜幕府]  두 막부(杜幕府)는 당나라 시인 두보(杜甫)를 이르는데, 두보가 당시 검남 절도사(劍南節度使)이던 엄무(嚴武)의 막부에 있었기 때문에 그렇게 부른다.

두만[頭曼]  흉노의 왕 이름으로, 아들인 묵특(冒頓)에게 살해당하였다.

두만강[豆滿江]  두만강(豆滿江)은 백두산 동쪽에서 발원하여 한반도의 동북부를 가로질러 동해로 들어가는 강으로 현재 북한, 중국, 러시아 세 나라의 국경이 된다. 두만강의 발원지는 1962년 조중변계조약(朝中邊界條約)에 따라 홍토산 북쪽의 원지(園池)로 하고 있다.

두망비[杜妄轡]  남제(南齊) 때 주옹(周顒)이 일찍이 북산(北山)에 은거하다가 뒤에 조정의 부름을 받고 변절하여 해염 현령(海鹽縣令)이 되었는데, 그 후 임기를 마치고 조정으로 돌아가는 길에 다시 그 북산을 들르려고 하였다. 이때 종산(鍾山)에 은거하고 있던 공치규(孔稚圭)가 주옹의 변절을 매우 못마땅하게 여긴 나머지, 북산이문(北山移文)을 지어 그로 하여금 다시는 북산에 발을 들여놓지 못하도록 하는 뜻을 서술했다. 그 글에 “가벼운 안개를 거두고 흐르는 여울물을 감추어서, 주옹의 수레 끌채를 골짝 어귀에서 차단시키고, 망녕된 말고삐를 교외 끝에서 막아야 한다.[斂輕霧藏鳴湍, 截來轅於谷口, 杜妄轡於郊端.]”라고 했던 데서 온 말이다.

두망비어교단[杜妄轡於郊端]  남제(南齊) 때 공치규(孔稚圭)가 지은 북산이문(北山移文)에 “엷은 안개를 거두고 흐르는 여울물을 감추어서, 주옹(周顒)의 수레 끌채를 골짝 어귀에서 차단시키고, 망녕된 말고삐를 교외 끝에서 막아야 한다.[斂輕霧 藏鳴湍 截來轅於谷口 杜妄轡於郊端]”라는 내용이 있다. 여기서의 주옹은 일찍이 북산(北山)에 은거해 있다가 변절하여 벼슬을 하고 다시 그 북산을 들르려고 한 공치규의 친구이다. 공치규는 주옹의 이러한 행동이 못마땅해 <북산이문>을 지어 다시는 북산에 발을 들이지 못하도록 하는 뜻을 서술하였다.

두면[豆麪]  접시에 담긴 부침개 같은 것을 말한다.

두명독[竇鳴犢]  공자가 진나라의 조간자(趙簡子)를 만나러 가던 중 하수에 이르러 진나라 현신(賢臣)인 두명독(竇鳴犢)과 순화(舜華)가 살해되었다는 말을 듣고 진으로 가는 길을 포기했다고 한다. <史記 孔子世家>

두명독[竇鳴犢]  춘추시대 진(晋)나라 사람이다. 공자(孔子)가 유세 중에 조간자(趙簡子)를 만나 보려고 조(趙)나라에 들어가려 했으나 조간자가 대부 두명독(竇鳴犢)과 순화(舜華)를 죽였다는 말을 듣고 발길을 돌렸다는 기록이 있다.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