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소[斗筲] 작은 기량을 말한다. 두소(斗筲)는 두(斗)와 소(筲)이다. 두(斗)는 10승(升)이 들어가고, 소(筲)는 대나무 그릇인데 1두(斗) 2승(升)이 들어간다. 모두 양이 작은 용기이다. 인신하여 기량이 협소하고 변변치 못한 재주나 그런 재주를 가진 사람의 비유로 쓰인다. 참고로 소식(蘇軾)의 상군론(商君論)에 “상홍양(桑弘羊)에 이르러서는 하찮은 국량의 보잘것없는 재주요 남의 집 담을 뚫고 담을 넘어가 도둑질하는 작은 지혜로 말할 만한 것이 못 되는데, 사마천(司馬遷)이 그를 칭찬하기를 ‘세금을 더 부과하지 않고도 나라의 재용을 풍족하게 하였다.’라고 하였다.[至於桑弘羊, 斗筲之才, 穿窬之智, 無足言者, 而遷稱之曰 不加賦而上用足.]”라고 한 데서 보인다.
두소[斗筲] 그릇이 작은 것. 도량이 좁은 사람. 두(斗)는 1말, 소(筲)는 1말 2되 들이의 대나무 용기[죽기竹器]로 모두 용량이 작은 용기를 말하는데, 보통 국량(局量)이 협소하고 식견이 천박하며 좁은 소견을 가진 사람을 비유한다. 자공(子貢)이 일찍이 공자에게 “지금 정사에 종사하는 자들은 어떻습니까?[今之從政者何如]”라고 물은 데 대하여 공자가 이르기를 “아, 한 말이나 한 말 두 되쯤 들어갈 만한 좁은 소견을 지닌 사람들을 어찌 따질 것이나 있겠는가.[噫! 斗筲之人, 何足算也.]”라고 한 데서 온 말로, 이는 본디 비루하고 자질구레한 속 좁은 사람을 지칭한 말이다. <論語 子路> 한유(韓愈)의 원도(原道)에 노장(老莊) 등 이단자(異端者)가 주장하는 “성인이 죽지 않으면 큰 도적이 그치지 않고, 말을 쪼개고 저울을 부숴 버려야만 백성들이 다투지 않게 된다.[聖人不死, 大盜不止, 剖斗折衡, 而民不爭.]”는 말이 있다. <東雅堂昌黎集註 卷11>
두소[杜召] 두시(杜詩)와 소신신(召信臣). 모두 한(漢) 나라 시대의 훌륭한 수령(守令)이다. 소신신(召信臣)은 전한(前漢)의 원제(元帝)·성제(成帝) 때 사람으로 남양태수(南陽太守)가 되어 백성들에게 선정(善政)을 크게 베풀었고, 두시(杜詩)는 후한(後漢) 광무제(光武帝) 때 사람으로 여남도위(汝南都尉)·남양태수(南陽太守) 등을 역임하면서 크게 선정을 베풀었다. 이들은 모두 남양 태수(南陽太守)가 되어 선정을 베풀어서 백성들로 하여금 편안한 삶을 영위하게 하니, 이곳 백성들이 “앞에는 소부(召父)가 있고, 뒤에는 두모(杜母)가 있다.[前有召父, 後有杜母.]”고 하였다. 그 뒤로 이 말은 소부두모(召父杜母: 아버지 같은 소신신과 어머니 같은 두시)라는 성어(成語)가 되어 지방관의 선정을 찬양하는 말로 활용되고 있다. <漢書 卷89 循吏傳> <後漢書 卷21 杜詩列傳>
두소공황[杜召龔黃] 두소(杜召)는 전한(前漢) 시대 때의 두시(杜詩)와 소신신(召信臣)을 가리키고 공황(龔黃)은 공수(龔遂)와 황패(黃霸)를 가리키는데, 이들은 모두 훌륭한 수령의 대명사로 쓰인다.
두소군[竇少君] 두광국(竇廣國). 한(漢)나라 문제(文帝)의 비(妃)인 두황후(竇皇后)의 동생이다. 문제가 그가 어질다는 것을 알고서 정승으로 삼으려 하였으나 “천하 사람들이 내가 두광국에게 사정(私情)을 둔다고 할까 두렵다.”라고 하여 결국 그만두었으니, 외척에게 사사로이 관직을 준다는 혐의를 두려워하여 임명하지 않은 것이다. <通鑑節要 卷8 漢紀 文帝 後元 2年>
두소릉[杜少陵] 당(唐)나라의 시성(詩聖)으로 알려진 두보(杜甫)를 가리킨다. 소릉은 그의 호이다. 두보가 소릉야로(少陵野老)라고 자호(自號)하였으므로 사람들이 두소릉으로 일컬었다. 두보는 우국충정(憂國衷情)의 마음을 읊은 시를 많이 남겼다. 참고로, 그의 시 도보귀행(徒步歸行)에 “청포 입은 조관 중에 가장 빈곤한 이는, 수레 없이 걸어가는 백발의 습유라네.[靑袍朝士最困者 白頭拾遺徒步歸]”라고 한 바 있고, 발민(拔悶)에 나오는 “듣자니 운안의 국미춘은, 한 잔만 기울여도 즉시 사람을 취하게 한다지.[聞道雲安麴米春 纔傾一盞卽醺人]”라고 하였다.
두소말기[斗筲末器] 두(斗)는 1말들이 대그릇, 소(筲)는 1말 조금 넘는 대그릇을 각각 말하는데, 그릇이 작아 재능이 보잘것없음을 뜻한다.
두소부[杜少府] 왕발(王勃)의 친구로 생애는 자세하지 않다. 소부(少府)는 현위(縣尉)의 별칭이다.
두소자[斗筲者] 지식이 짧고 도량(度量)이 협소한 사람. 두(斗)는 10승(升)을, 소(筲)는 1두(斗) 2승(升)을 수용하는 작은 양구(量具)이니, 식견(識見)이 얕고 기량(器量)이 좁은 사람을 비유하는 말이다.
두소지류[斗筲之流] 두소(斗筲)의 무리. 두(斗)는 10승(升), 소(筲)는 12승의 용기(容器)로, 잗달고 속이 좁은 사람들을 말하는데, 보통 자격이 없는 위정자(爲政者)를 비유하는 말로 쓰인다. 자공(子貢)이 공자(孔子)에게 선비의 인품을 물으면서, “오늘날 권력을 잡은 사람들은 어떻습니까?[今之從政者 何如]”라고 묻자, 공자가 “두소의 인물을 어찌 따질 것이 있겠는가.[斗筲之輩 何足算也]”라고 대답한 데서 유래하였다. <論語 子路>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