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졸(拙)자에 깃든 뜻. 기교부리지 마라 질박함으로 진보한다 <채근담>


문장은 질박함으로써 진보하고

도는 순박함으로서 이루어지나니

졸(拙)자 한 자에 무한한 뜻이 깃들어 있다.

‘도원에서 개가 짖고 뽕밭에서 닭이 운다’고 하면 얼마나 순박하고 진솔한가.

그러나 ‘찬 연못에 달 비취고 고목에 까마귀 운다’고 하는데 이르면

기교가 있어 보이기는 하나 그 가운데 문득 쇠락한 기상을 느끼게 된다.


文以拙進,  道以拙成.  一拙字有無限意味.
문이졸진,  도이졸성.  일졸자유무한의미.
如桃源犬吠,  桑間鷄鳴,  何等淳龐.
여도원견폐,  상간계명,  하등순방.
至於寒潭之月,  古木之鴉,  工巧中便覺有衰颯氣象矣.
지어한담지월,  고목지아,  공교중변각유쇠삽기상의.

<菜根譚채근담/明刻本명각본(萬曆本만력본)/後集후집>


  • 졸[拙]  옹졸하다. 졸하다. 둔하다. 어리석다. 질박하다. 꾸민 데가 없이 수수하다. 참고로, ​도덕경(道德經) 45장에 “크게 곧은 것은 굽은 것처럼 보이고, 크게 공교한 것은 졸렬한 것처럼 보이고, 큰 언변은 어눌한 것처럼 보인다.[大直若屈, 大巧若拙, 大辯若訥.]”라고 하였다.
  • 질박[質樸]  겉으로 꾸미거나 공교(工巧)로움이 없음. 별스럽게 꾸민 데가 없이 수수하고 사치스럽지 아니함. 자연 그대로 인위가 가미되지 않은 것. 소박. 순박함.
  • 도원[桃源]  복숭아밭. 도화원(桃花源). 별천지. 이상향. 도연명(陶淵明)의 도화원기(桃花源記)에 나오는 무릉도원(武陵桃源)의 약칭으로 이상향(理想鄕), 별천지(別天地)를 비유적(比喩的)으로 이르는 말. 도연명집(陶淵明集) 권6 도화원기(桃花源記)에 의하면 동진(東晉) 태원(太元) 연간에 무릉의 한 어부가 시내를 따라 올라가다가 갑자기 도화림(桃花林)이 찬란한 선경을 만나 그곳에 들어가서, 일찍이 진(秦)나라 때부터 난리를 피해 들어와 대대로 살고 있다는 그곳 사람들로부터 극진한 대접을 받고 되돌아왔는데, 그 후로는 다시 그 도화림을 찾을 수가 없었다고 하였다. 참고로, 두보(杜甫)의 악록산도림이사행(嶽麓山道林二寺行)에 “무릉도원 가옥은 단순하여 짓기 쉽고, 귤주 지역 전토는 여전히 기름지네.[桃源人家易制度, 橘洲田土仍膏腴.]”라고 하였고, 왕유(王維)가 도화원기(桃花源記)를 근거로 지은 도원행(桃源行)에서 “나무꾼이 처음으로 한나라의 성명을 전해 주는데, 사람들은 아직도 진나라 때 옷을 바꾸지 않았네.[樵客初傳漢姓名, 居人未改秦衣服.]”라고 하였다.
  • 하등[何等]  어떤. 어떠한. 무슨. 얼마나. 어쩌면 그토록. 아무런. 조금도. 주로 ‘하등의’의 꼴로 부정어와 함께 쓰여, ‘아무런’의 뜻을 나타내는 말. 주로 부정어와 함께 쓰여, ‘전혀’, ‘조금도’의 뜻을 나타내는 말. 한(漢)・위(魏)나 육조(六朝) 시대 사람들의 관용어로 무슨[什麽]의 뜻.
  • 순방[淳龐]  순박하고 질박한 모습. 순박하고 진솔한 것.
  • 지어[至於]  심하다 못하여 나중에는. ~의 정도에 이르다. ~한 결과에 달하다. ~할 지경이다. ~으로 말하면. ~때에 이르러. ~에 이르다.
  • 쇠삽[衰颯]  쓸쓸한 모습. 쇠약하다. 낙심하다. 낙망하다. 쇠퇴하다. 실의로 소침(消沈)해지다. 퇴폐하다. 쇠락해져 적막하다. 노쇠하다. 낯선 곳에서 의기소침해 있다.

【譯文】 不弄技巧,  以拙爲進.
文章以質拙才有進步,  道德以樸拙才能成就,  一個 “拙” 字含有無窮的意境趣味.  猶如桃花源中的狗叫,  桑樹林間的雞鳴,  多麼淳樸敦龐.  至於寒涼水潭的月影,  古老樹上的烏鴉,  細致精巧中就感覺有一種衰落蕭颯的景象了.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