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se

맑은 흥취는 자적함에 있으니, 격식과 관습에 얽매이지 마라 <채근담>


그윽한 이의 맑은 흥취는 자적함에 있으니

술은 권하지 않음을 기쁨으로 여기고

바둑은 다투지 않음을 이김으로 삼으며

피리는 구멍이 없음을 마땅하게 여기고

거문고는 줄이 없음을 고상하게 여기며

만남은 기약 없음을 진솔하게 여기고

손님은 마중과 배웅이 없음을 평안히 여긴다.

만약 한번 겉치레와 관습에 얽매이게 되면

문득 속세의 고해에 떨어지고 만다.


幽人淸事總在自適.
유인청사총재자적.
故酒以不勸爲歡,  棋以不爭爲勝,  笛以無腔爲適,  琴以無絃爲高,
고주이불권위환,  기이부쟁위승,  적이무강위적,  금이무현위고,
會以不期約爲眞率,  客以不迎送爲坦夷.
회이불기약위진솔,  객이불영송위탄이.
若一牽文泥跡,  便落塵世苦海矣.
약일견문니적,  변락진세고해의.

<菜根譚채근담/明刻本명각본(萬曆本만력본)/後集후집>


  • 유인[幽人]  그윽하고 고요하고 편안한 사람. 속세(俗世)를 피해 조용히 사는 이. 어지럽고 번잡한 속세(俗世)를 피하여 그윽하고 깊숙한 곳에 조용히 숨어사는 사람으로, 은자(隱者), 은사(隱士)를 뜻한다. 참고로, 주역(周易) 이괘(履卦) 구이(九二)에 “구이는 행하는 도가 평탄하니, 유인이라야 정(貞)하고 길(吉)하리라.[九二, 履道坦坦, 幽人貞吉.]”라고 보이는데, 정이(程頤)는 역전(易傳)에서 유인(幽人)을 ‘그윽하고 고요하고 편안한 사람[幽靜安恬之人]’이라고 풀이하였다. 또, 맹호연(孟浩然)의 시 야귀녹문가(夜歸鹿門歌)에 “암비와 송경은 늘 적요한데, 오직 유인만이 스스로 오고 가네.[巖扉松徑長寂寥 惟有幽人自來去]”라고 하였고, 소식(蘇軾)의 시 정혜원우거월야우출(定惠院寓居月夜偶出)에 “숨어 사는 이 일 없어 문밖 출입 안 하다가, 우연히 봄바람 따라 밤 깊도록 서성였네.[幽人無事不出門 偶逐東風轉良夜]”라고 하였고, 소식(蘇軾)의 시 추회(秋懷) 2수 가운데 둘째 수에 “빈 섬돌에 남은 빗방울이 떨어지니, 마치 유인과 이야기를 나누는 듯.[空堦有餘滴, 似與幽人語.]”라고 하였다.
  • 청사[淸事]  고상한 일. 깨끗한 일. 맑은 취미.
  • 자적[自適]  무엇에도 속박됨이 없이 마음 내키는 대로 생활함. 무엇에 얽매이지 않고 제 마음 내키는 대로 편안하게 즐김. 아무런 속박을 받지 않고 마음껏 즐김. 마음이 가는 대로 유유히 생활함. 유유자적(悠悠自適). 참고로, 도잠(陶潛)의 시 귀전원(歸田園)에 “동쪽 언덕에 모 심으니, 모가 자라 두둑에 가득하네. 비록 호미 메고 다니는 수고로움 있으나, 탁주로 애오라지 스스로 즐긴다네.[種苗在東皐, 苗生滿阡陌. 雖有荷鋤倦, 濁酒聊自適.]”라고 하였고, 장자(莊子) 대종사(大宗師)에 “이러한 사람은 다른 사람이 할 일을 대신 처리하고 다른 사람의 즐거움을 자신의 즐거움으로 여겨 자기의 즐거움을 스스로 즐거워하지 못하는 자들이다.[是役人之役, 適人之適, 而不自適其適者也.]”라고 한 데서 보인다.
  • 무현금[無絃琴]  무현금(無絃琴)은 줄[弦]이 없는 거문고[琴]이다. 동진(東晉)의 처사(處士) 도연명(陶淵明)이 좋아했다고 한다. 송서(宋書) 권93 은일열전(隱逸列傳) 도잠(陶潛)에 “도잠(陶潛)은 음률(音律)을 모르면서 소금 한 벌을 집안에 두었는데 줄이 없었으니, 술기운이 얼큰하면 손으로 어루만져 뜻만 부쳤다.[潛不解音聲, 而畜素琴一張, 無弦, 每有酒適, 輒撫弄以寄其意.]”라고 하였다. 또, 진서(晉書) 권94 도잠열전(陶潛列傳)에 “성품이 음률을 알지 못하나 소금(素琴) 하나를 마련해 놓고 줄과 타는 제구도 갖추지 않았으나, 늘 벗과 술을 만나면 거문고를 어루만지고 화답하면서 말하기를 ‘거문고의 정취만 알면 되지, 무엇하러 번거롭게 줄을 당겨 소리를 내겠는가.’라고 하였다.[性不解音, 而畜素琴一張, 弦徽不具, 每朋酒之會, 則撫而和之, 曰: ‘但識琴中趣, 何勞弦上聲!’]”라고 하였다. 이백(李白)이 이러한 고사를 차용하여 지은 시 희증정율양(戱贈鄭溧陽)에 “소금은 본래부터 현이 없고, 술 거를 땐 갈건을 사용하지.[素琴本無絃 漉酒用葛巾]”라고 하였고, 또, 이백(李白)의 시 증임명현령호제(贈臨洺縣令皓弟)에 “도잠이 팽택 영의 직책 버리니, 아득히 태고인의 마음이었네. 오묘한 소리 절로 곡조 이루니, 줄 없는 거문고를 탈 뿐이었네.[陶令去彭澤, 茫然太古心. 大音自成曲, 但奏無絃琴.]”라고 하였다. <全唐詩 卷168 贈臨洺縣令皓弟> <李太白集 卷8> 소금(素琴).
  • 진솔[眞率]  진실(眞實)하고 솔직(率直)함. 참되어 꾸밈이 없음. 순진하고 담백하다. 참고로, 진서(晉書) 권49 양만열전(羊曼列傳)에 “진(晉) 나라 양고(羊固)가 임해 태수(臨海太守)가 되어 하루 종일 진수성찬으로 대접했는데, 논자(論者)들이 ‘양고의 진수성찬이 양만(羊曼)의 진솔만 못하다.[固之豐腆 乃不如曼之眞率]’라고 하였다.”고 하였고, 매요신(梅堯臣)의 시 곡윤자점(哭尹子漸)에 “완적은 본성이 순진하고 담백했으나, 아쉽게도 수명이 길지 못했네.[阮籍本眞率, 感慨壽不長.]”라고 하였고, 두보(杜甫)의 시 낙유원가(樂遊園歌)에 “장생목 표주박에 진솔함을 보이고, 안장 얹은 말 길들여 마음껏 즐기네.[長生木瓢示眞率, 更調鞍馬狂歡賞.]”라고 하였고, 성호전집(星湖全集) 본집 권48에 수록되어 있는 ‘장생표에 대한 찬[長生瓢贊]’에 “산에는 보기(寶器)와 산거(山車)가 나니, 천고의 세월이 흐르는 동안, 나무에 옹두리가 자연히 생겨, 질박하고 꾸밈없는 그릇이 되었네. 예는 근본을 잊지 않나니, 웅덩이 물을 손으로 먹던 일과 비슷하도다. 나의 표주박으로 떠서 마시어, 이렇게 진솔함을 닦아 가리라.[山出器車 世易千古 木癭天成 旣樸且素 禮不忘本 事近窪抔 我擧我瓢 眞率是修]”라고 한 데서 보인다. 장생표(長生瓢)는 나무에 생긴 옹두리를 가지고 만든 바가지이다.
  • 영송[迎送]  사람을 맞아들이는 일과 보내는 일. 마중과 바램.
  • 탄이[坦夷]  아무런 시름이 없이 마음이 진정(鎭靜)되어 평탄(平坦)함. 높낮이 없이 평탄(平坦)함. 땅 등이 평평한 것. 참고로, 한유(韓愈)의 시 장귀증맹동야방촉객(將歸贈孟東野房蜀客)에 “소부(巢父) 허유(許由)가 은거하던 영천 물은 맑고 고요하며, 또 거기 기산은 평탄하다네.[潁水淸且寂, 箕山坦而夷.]”라고 하였다. 탄솔평이(坦率平易).
  • 탄솔[坦率]  성품(性品)이 너그럽고 대범(大汎)함. 성품이 너그럽게 진솔(眞率)함. 솔직하다. 정직하다. 담백(淡白)하다.
  • 견문[牽文]  글자 그대로에 얽매이다. 겉치레에 이끌리다. 예절이나 의식에 얽매이다. 참고로, 명(明)나라 왕수인(王守仁)의 전습록(傳習錄)에 “이른바 움직임과 고요함은 끝이 없고, 음양은 비롯함이 없으며, 도를 아는 사람은 묵묵히 알아차리며, 말로써 드러내지 않는다. 만일 그저 문자에 얽매이고 문구에 고집하며 본떠 만든 형상을 비교한다면 소위 마음이 법화(法華)를 따라 맴도는 것이지 법화를 깨닫는 것은 아니다.[所謂動靜無端, 陰陽無始, 在知道者默而識之, 非可以言語窮也. 若只牽文泥句, 比擬仿像, 則所謂心從法華轉, 非是轉法華矣.]”라고 하였고, 청(淸)나라 왕부지(王夫之)의 독사서대전설(讀四書大全說) 대학(大學) 보전(補傳)에 “마음을 가다듬어 배움에 힘씀이 말 밖에 있음을 알고, 문자에 얽매여 의로움을 해치지 말고, 청허한 맑음과 아무것도 없음을 증거로 삼으라.[然後知正心工夫之在言外, 而不牽文害義, 以虛明無物爲證.]”라고 한 데서 보인다.
  • 니적[泥迹]  과거의 흔적. 형식에 얽매임. 자취에 거리끼다. 관습·업적에 구애받다. 참고로, 소식(蘇軾)의 화자유민지회구(和子由澠池懷舊)에 “인생이 가는 곳마다 그 무엇과 같을꼬, 눈 위에 발자국 남긴 기러기 같으리라. 눈 진창에 우연히 발자국 남겼지만, 기러기 날아가면 어찌 다시 동서를 알리오.[人生到處知何似, 應似飛鴻蹈雪泥. 泥上偶然留指爪, 鴻飛那復計東西.]”라고 하였다.
  • 진세[塵世]  티끌세상. 정신에 고통을 주는 복잡하고 어수선한 세상. 속세(俗世). 인간세상(人間世上). 참고로, 송(宋)나라 홍매(洪邁)의 채진인사(蔡眞人詞)에 “속세에는 이 곡조를 아는 사람이 없어, 문득 황곡을 타고 요경을 날아오르니, 바람은 차고 달빛은 깨끗하구나.[塵世無人知此曲 却騎黃鵠上瑤京 風冷月華淸]”라고 하였고, 두목(杜牧)의 시 구일제산등고(九日齊山登高)에 “강은 가을 그림자 머금고 기러기 처음 날 제, 손과 함께 술병 들고 산 중턱에 올랐네. 속세에선 담소 나눌 이를 만나기 어렵거니, 국화를 모름지기 머리 가득 꽂고 돌아가리. 다만 곤드레 취하는 걸로 좋은 명절에 보답할 뿐, 높은 데 올라서 석양을 한탄할 것 없고말고. 고금 이래로 인생사가 이와 같을 뿐인데, 어찌 우산탄의 눈물로 옷깃 적실 필요 있으랴.[江涵秋影雁初飛 與客携壺上翠微 塵世難逢開口笑 菊花須揷滿頭歸 但將酩酊酬佳節 不用登臨恨落暉 古往今來只如此 牛山何必獨霑衣]”라고 하였다.
  • 고해[苦海]  고통의 바다. 고통스런 환경. 곤경. 현세(現世)의 괴로움이 깊고 끝없음을 바다에 비유하여 이르는 말. 불교에서 말하는 고통의 세계라는 뜻으로, 괴로움이 끝이 없는 인간 세상을 이르는 말이다. 참고로, 불가(佛家)의 말에 “고해는 끝이 없으나 머리만 돌리면 바로 거기가 언덕이다.[苦海無邊, 回頭是岸.]”라는 말이 있다. 모든 사람에게 기왕의 허물을 뉘우치고 스스로 새로워질 것을 면려하는 말이다.

【譯文】 任其自然,  萬事安樂.
幽居隱士淸雅之事總是在於自我舒適.  因此飮酒以不勸酒爲歡樂,  下棋以不爭棋爲勝舉,  吹笛以無腔調爲適意  ;  撫琴以無鳴弦爲高雅  :  會面以不期待約見爲眞誠坦率,  待客以不迎來送往爲坦率平易.  如果一旦注重繁文縟節拘泥於禮貌規矩,  就落入凡塵俗世的苦難海洋中了!

Leave a Reply

Copyright (c) 2015 by 하늘구경 All rights reserved